2024.04.26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배아줄기세포 연구두고 “상반된 평가”

생물학계↔윤리학계, 지속적 허용여부 ‘이견’

복제배아줄기세포연구를 지속적으로 허용할 것인지에 대한 생물학계와 윤리학계의 의견이 상반되는 것은 물론 세포치료 효과에 있어서도 엇갈린 평가를 내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목된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및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회원, 한국생명윤리학회 및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체세포복제배아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을 주제로 각각 2차례씩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BRIC 등 생물학계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는 5얼 2일부터 6일까지 5일간 진행됐으며, 총 436명이 설문에 참여했다.
 
이어 6월 26일부터 30일, 7월7일부터 9일까지는 윤리학계 회원 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뤄졌다.
 
조사결과 두 집단 모두 체세포복제배아 줄기세포연구 수준과 경쟁력에는 높은 점수를 주었으나, 줄기세포연구를 통한 세포치료에 있어서는 이견을 드러냈다.
  
먼저 국내의 배아줄기세포 연구수준에 대해 생물학계는 ‘부분적으로 세계적 수준이며, 다른나라를 선도·협력해 실용화에 성공할 것’이라는 응답한 비율이 36%, ‘부분적으로 세계적 수준이나, 다른나라를 선도하기 어려우며 다른나라의 주도적인 협력 없이는 실용화가 불투명하다’는 37%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윤리학계 역시 부분적으로 세계적 수준이라는 점에는 동의했으나, 다른나라의 협력없이는 실용화가 불투명할 것이라는 응답이 53%로 가장 많았다.
 
배아줄기세포 연구가 다른 관련연구(수정란 줄기세포 연구, 성체줄기세포 연구 등)와 비교할 때 생물학계 71%와 윤리학계 51%가 ‘배아줄기세포의 경쟁력이 있으나, 다른 관련 연구와 보완적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아줄기세포가 세포치료 뿐만 아니라 기타분야(신약개발, 임상실험, 유전병 연구 등)에도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관련, 양 분야의 유망성을 묻는 조항에서 생물학계는 ‘둘 다 유망하며, 세포치료쪽이 더 유망하다’에 34%, ‘둘 다 유망하며, 기타분야쪽이 더 유망하다’에 33%가  동의했다.
 
윤리학계는 ‘둘 다 유망하지 않다’는 응답과 ‘기타분야쪽이 유망하나, 세포치료쪽은 유망하지 않다’는 응답이 각각 22%로, ‘둘다 유망하나, 세포치료 쪽이 더 유망하다’는 응답률 20%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복제배아연구의 성공가능성과 관련해 ‘정부지원 등 여건만 조성된다면 유능한 연구자를 확보할 수 있다’는데 양 집단은 의견을 같이 했다.
 
그러나 윤리학계는 ‘체세포복제기술이 아무리 앞서 있어도, 결국 분화연구가 앞선 나라에만 좋은 일을 할 뿐’(41%)이라고 부정적인 견해를 밝힌 반면, 생물학계는 ‘체세포복제기술이 앞서 있으면 특허 등의 수단을 통해 우리나라의 지분을 확보할 수 있다’(44%)고 내다봤다.
 
생물학계는 복제배아 배반포를 만드는 기술에서 경제적 이익을 기대할 수 있는 특허가 ‘가능하다’는 응답이 55%로, 윤리학계는 ‘가능하지 않다’가 45%로 가장 많았다.
 
생물학계의 64%는 ‘복제배아 줄기세포 연구가 경제적으로 타당성이 있다’고 답했으나, 윤리학계는 49%가 ‘타당성이 없다’고 전망하며 세포치료에의 실용화 가능성이 희박한 것을 그 이유로 제시했다.
 
한편 배아줄기세포 연구가 수반하는 가장 심각한 윤리문제로 생물학계는 ‘연구목적의 난자제공, 이용 및 난자매매 가능’(58%)을 꼽은 반면, 윤리학계는 ‘인간복제의 길을 열 가능성’과 ‘배아의 파괴’가 35%와 31%로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배아줄기세포 연구허용이 타당한지에 대한 질문에서 양 집단은 매우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생물학계는 ‘허용하고, 적어도 기초연구 단계에서의 적정한 규모의 지원은 필요하다’는 응답이 56%로 가장 높은데 이어 ‘허용함은 물론, 적극적으로 지원·육성해야 한다’는 응답도 25%를 차지했다.
 
반면 윤리학계의 49%는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으며, ‘‘허용하고, 적어도 기초연구 단계에서의 적정한 규모의 지원은 필요하다’가 35%로 뒤를 이었다.
 
조현미 기자(hyeonmi.cho@medifonews.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