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입국비' 안 내면 왕따 · 레지던트 선발 불이익, 무조건 내야

병원 지원 의국비는 과장이 사용, 입국비 사용처도 알 수 없어

수련병원이 입국비 명목으로 적게는 수십만 원에서 많게는 수천만 원 이상 전공의에게 금전을 요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전공의협의회(이하 대전협)가 전국 70여 개 수련병원의 전공의 회원 5백여 명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약 2주간 온라인으로 진행한 입국비 실태조사에 따르면, 여전히 다수의 의국에서 관행적으로 입국비를 걷는 것으로 확인됐다.

28일 대전협에 따르면 △응답자의 96.1%가 입국비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으며 △77.1%가 '현재 근무하는 병원의 다른 과'에 입국비 문화가 있다는 이야기를 들어봤다고 답했다. 그 액수는 △100~1000만 원 66.1% △1000~5000만 원 19.2% △50~100만 원 7.1% 순으로 나타났고 △5000만 원 이상도 3.3%에 달했다. △1억 원 이상이라고 답한 전공의도 10명이나 있었다.

이와 함께 △'현재 근무하는 전공과'에 입국비 문화가 있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은 37.1%였다. 내야 하는 입국비는 △100~1000만 원이 47.1% △50~100만 원이 16.7%로 가장 높았다. △5000만 원 이상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2000만 원씩 현금 2회와 1년 치 밥값을 지불해야 했다고 설명했다.

입국비 지급 방식으로는 △계좌이체가 70.8%로 가장 많았으며 △현금 13.7% △본인 명의의 카드 7.8%가 뒤를 이었다. 기부금 명목으로 카메라 · 컴퓨터 등 의국 물품을 구매하도록 종용한다는 의견도 다수 있었다. 

대전협은 "이처럼 의국에 들어가기 위해 적게는 수십만 원에서 많게는 5천만 원 이상 입국비를 내야 하지만, 그 사용내역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응답자 중 입국비 사용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는 답변 비율은 23.3%에 그쳐, 전공의 4명 중 3명이 자신이 낸 입국비의 사용처를 알 수 없었다."며, "그런데도 전공의들은 왕따 · 교수님의 강요 · 입국 불가 등의 불이익 때문에 입국비를 내지 않을 수 없다."고 언급했다.

설문조사에서 A전공의는 "입국비를 내지 않으면 분과 결정 시 원하는 곳이 아닌 분과를 선택하게끔 종용한다."고 답했고, B전공의는 "입국비를 내는 것 자체가 불이익이다. 안 낼 수 없으니 '내지 않아서' 불이익을 받을 일이 없다."고 토로했다. 

입국비 문화가 없어져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81.3%에 달했다. C전공의는 "입국비가 수련 과정에 필요한 교과서 · 개인물품 구매에만 사용되면 괜찮지만, 그 외의 목적으로 쓰이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며, "사용 내역의 투명한 공개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전공의 72.3%는 의국 운영을 위해 필요한 비용을 병원에서 지원한다고 응답했지만, 병원 복지 차원에서 전공의에게 직접적으로 지원해주는 비용 · 혜택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52.4%에 불과했다.

D전공의는 "병원에서 지원하는 의국비는 과장만 안다."며, "의국비는 본인이 쓰고, 정작 의국에 들어가는 비용은 전공의로부터 걷은 입국비를 사용한다."고 폭로했다.

이승우 회장은 "새로 입국하는 레지던트 1년차로부터 적지 않은 금액을 강요받았다는 제보가 계속 들어오고 있다. 이와 다르지 않게 전문의를 취득하고 나가는 레지던트에게도 퇴국비를 걷는다는 제보도 많다."며, "사용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으면서 돈을 걷어가는 부조리한 문화가 아직도 남아있다는 것은 의료계에 정말 부끄러운 일"이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일부 의국에서는 교수님이 먼저 이런 관행을 없애고자 노력해서 사라지는 사례도 있고, 병원 차원에서 의국 운영비를 지원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경우도 있다."며, "이제는 학회 · 수련병원이 보고만 있지 말고 앞장서서 자정의 목소리를 내야 할 것이며, 전공의도 당연하다는 듯이 잘못된 문화를 물려주지도 받지도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