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들이 고된 근무 후에도 제대로 된 휴식을 취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대한전공의협의회(이하 대전협)는 전국 90여 개 수련병원의 660여 명 전공의 회원 대상으로 지난달 약 10일간 실시한 '전공의 업무 강도 및 휴게시간 보장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 92.9%의 전공의가 작업 종료 후 정신적 피로감을 자주 또는 항상 느끼며, 94.7%는 육체적 피로감을 자주 또는 항상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문항 모두 '항상 느낀다'고 답한 응답자 비율은 70%를 웃돌았다.
반면, 70.2%는 수련병원으로부터 휴게시간 안내를 받지 못했으며, 89.8%는 수련 중 계약서 내용대로 휴게시간이 보장되지 않거나 휴게시간이 언제인지 알 수 없다고 답했다.
84.1%는 휴게시간이나 식사 시간이 있더라도 대개 또는 항상 방해받는다고 답했다. 이 중에는 △자기 전까지 하루 30분 정도 밥 먹는 시간이 있다 △2주간 점심을 먹어본 적이 없다 △5일에 2번 정도 식사가 가능하다는 답변도 있었다.
휴게시간이 제대로 지켜질 수 있도록 소속 병원에서 지속적으로 충분한 안내 · 노력을 기울였는지를 묻는 문항에서는 90.8%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68.1%는 휴가를 원할 때 사용할 수 없다고 답했다. 전공의들은 △1~2주 전에 통보 △스케줄 임의 배정 △연차를 모두 보장받지 못하고 남는 일수는 수당으로 받았다 △눈치가 보여 쓰지 못한다고 토로했다.
대전협은 "이처럼 자율적인 휴가 사용에 제한이 따르는 것은 결국 인력 부족 때문이라고 전공의들이 입을 모았다. 이들은 △나의 업무를 대체할 인력이 없어서 △남은 동료들의 업무 가중 등으로 휴가 사용에 제한받고 있다고 답했다."고 언급했다.
전공의 91.6%는 지난 6개월 동안 하루 평균 1시간 이상 초과 근무한다고 답했다. 하루 평균 3시간 이상 초과해 일한 전공의는 41.1%에 달했으며, 무려 7시간 이상 근무시간을 초과해 일한 전공의도 8.3%나 됐다.
근무 스케줄 변경이나 초과근무가 발생되는 주된 이유로는 △인원 부족 64.4% △무리한 업무 일정 64.1% △응급환자의 발생 60.9% △초과근로 관행 46.5% 순으로 나타났다. 초과근무 및 과도한 업무량에 대한 병원의 후속 조치나 지원 여부에 대한 질문에는 전공의 91.0%가 '아니오'라고 답했다.
본인이 맡은 업무의 강도 · 책임에 대한 부담감으로 '힘들다'고 답한 응답자 비율은 89.9%에 달했으며, 34.4%는 '매우 힘들다'고 답했다. 진료 업무에서 겪는 주요 스트레스나 긴장 요인으로는 '환자 생사를 가르는 판단 · 결정해야 하는 경우'가 62.4%로 가장 많았다. 48.4%는 본인 실수로 인해 병원 · 본인 · 환자에게 중대한 손실이 발생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라고 답했다.
A전공의는 "처치가 실패할 경우 바로 사망으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내 처치가 실패할 경우 의지할 교수가 없다."며, "작은 실수로 교수가 폭언 · 고함을 지른다. 환자의 상태가 아닌 교수의 기분으로 폭언의 빈도 및 강도가 결정된다."고 답했다.
아울러 △43.8%는 '본인에게 고함을 치거나 화를 내는 등 위협을 받는 경우'를 스트레스 요인으로 꼽았고 △'진료 업무 중에 발생하는 위험 · 손실에 대한 책임을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없어서 홀로 처리해야 한다'는 응답은 37.0%로 나타났다.
B전공의는 "까다로운 환자를 응대할 경우 병원 측에서 대응하지 않고 바로 의사에게 전달하고 그 내용을 병원장에게 보고해 불이익이 가해질 것이라는 협박을 받았다."며, "의료 분쟁 발생 시에는 병원을 상대로 고소가 접수됐음에도 개인 의사에게 책임을 물었다."고 말했다.
C전공의는 "정신과 환자 진료 시 흉기를 소지한 적도 있었다."며, "故 임세원 교수 살인 사건에도 안전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보장돼 있지 않아 불안하다."고 답했다.
대전협 이승우 회장은 "교수 · 전공의 모두 과로하는 현실에서 병원에 오는 환자의 안전은 위협받고 있다. 특히, 전공의는 휴게시간이 언제인지도 모른 채로 계속되는 긴장 상태 속에서 환자를 진료해야 한다. 때로는 폭언 · 폭행 · 성희롱 등으로 더욱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며, "환자가 안전하고 전공의도 안전하게 진료할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야간 당직 시 담당 환자 수 제한 및 입원전담전문의 제도 확대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전협은 故 가천대 길병원 소아청소년과 신형록 전공의 사망 사건으로 또다시 대두된 전공의 과로 문제와 관련해 최근 전국 전공의 대표자 대회를 열고 안전한 진료환경 마련을 위한 대정부 요구안 발표했다. 대전협은 추후 환자 안전과 전공의 권리 보호를 위한 전공의 노동조합 지부 설립 등의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