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29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공보의, ‘신종플루 대응정책’을 말하다

국가재난사태 정책회의에 공보의 참여 필수

공중보건의사가 바라본 신종플루 대응정책의 문제점은 무엇일까?

최근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개최된 대한공공의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 천재중 대변인은 ‘공중보건의사가 바라본 신종플루 대응현황’을 주제발표해 관심을 끌었다.

신종플루의 대응에 큰 역할을 했으나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당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공보의가 신종플루 대응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
주요내용을 요약·정리한다.

▲‘공중보건의사가 바라본 신종플루 대응현황’(천재중 대공협 대변인)
=신종플루 초기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에게까지 타미플루 투약을 장려했다.
신종플루가 잠잠해질 무렵, 기존의 예방접종 계획에는 없던 대학생까지 출장예방접종 했다.
실제적으로 구상권이 사용된 적은 없지만, ‘예방접종 이상반응이 생길 경우 예진한 의사에 대한 면책권이 없다’라는 사실은 공보의 들이 신종플루 대응에 있어 소극적인 자세를 가지게 하는 원인이 됐다.

즉 신종플루의 정부정책에 있어서 과학적인 근거와 전문가적인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인식을 공보의에게 갖게 했으며 정부정책에 대한 불신을 심어주게 됐다.

적절한 수의 예진자 접종이 선행돼야 한다.
첫째, 대공협은 먼저 하루 500여명을 예진해야 했던 것에 대해 강한 비판을 했다.
예진의사 일인당 하루 500여명의 접종자를 예진했는데, 하루 8시간 접종으로 계산했을 시에 일인당 예진시간이 50여초에 불과 함을 지적했다.
예진 시 문진 항목수는 기본사항 문진 10여 항목, 정밀예진 시 20여 항목이며 이를 읽는 데에만 위의 시간이 소비된다는 지적을 함께했다.

둘째, 적절한 수의 예진자 접종이 선행돼야 함을 주장했다.
지나치게 많은 수의 접종자를 예진하는 것은 부실한 예진을 할 수 밖에 없고 이는 예방접종의 금기자나 이상반응여부에 대한 판단, 선행질환에 대한 판단을 어렵게 해 결국은 안전하게 접종할 수 없음을 주장했다.
대공협에서는 지난해 신종플루 학교예진에 앞서 하루 적절한 예진 환자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설문결과 80명 이내(82.5%)가 가장 많았고 200명 이내(13%), 300명 이내(3.8%), 350명 이상(0.7%) 순으로 나타났으며, 실제로 하루 350~1000여명의 접종자를 예진한 현실과 공중보건의사들의 인식과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신종플루가 국가적 재난으로 부각되고 그 위험성이 국민의 큰 관심을 가지게 되는 현실에서 어느 정도의 신종플루 비상근무를 공보의들은 인정했다.
각자 휴가 및 주말휴식을 포기하고 신종플루 비상근무를 했지만 반년 넘게 지속된 신종플루비상근무에 대한 회의적 입장은 존재한다.
실제적으로 신종플루환자에게 해줄 수 있는 유일한 처방인 타미플루가 준비되지 않았던 보건소나 보건지소에서도 비상근무가 지속됐으며 근무일에 신종플루 환자 한명도 내원하지 않는 보건기관도 상당수 존재했다.
신종플루비상근무가 필요한지, 그리고 어떻게 시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근거가 선행돼야 한다.

작년 신종플루의 대응에 있어서 공보의 들은 스스로 ‘값싸고 이용하기 쉬운 의료인력’ 이라는 자괴감을 얻게 됐다. 스스로를 ‘공노비’ 라 부르는 자조 섞인 말까지 만들어져 사용됐다.
이는 신종플루의 대응에 있어서 공보의가 철저히 배제된 것에 기인한다.
실질적인 공공의료의 최전선에서 그 의무를 다하고 있는 공보의들의 사기저하는 국민의 건강과 보건의료의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될 것이다.

해결을 위해 앞으로 신종플루와 같은 국가재난 상태에 있어서 질병관리본부 및 재난대책본부의 대응정책에 관한 회의에 의학계와 정책수행의 주체인 공중보건의사 대표기관이 참석해야 한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