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계가 진료비 상승분 둔화, 인건비 상승, 전문인력 확보 등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대한병원협회(이하 병협) 수가협상단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공단) 수가협상단이 25일 오후 3시 당산 스마트워크센터에서 2019년도 2차 수가협상을 진행했다.

협상 후 만난 병협 박용주 상근부회장은 "지난 협상 때는 우리가 병원의 여러 경영 위기 상황을 설명했다. 본 협상에서는 공단이 보험 결과치 등을 설명했는데, 병원계 경영이 한계에 이르렀고, 이런 상황이 수가에 반영돼야 한다는 것을 적극적으로 간청했다."라고 입을 열었다.
전공의법이 시행되면서 인력 확보가 굉장히 어렵다고 했다.
박 상근부회장은 "정부가 일자리를 주요 시책으로 추진하면서 일자리위원회를 구성함에 따라 우리도 위원회에 적극적으로 참가 · 논의하고 있다. 그런데 전문 인력을 구하기도 힘들고, 인력 공급 부족, 인건비 인상 등으로 일자리 마련이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라면서, "환자 진료 시 배치할 의무 인원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채용 안 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그런 것들이 모두 수가에 반영돼야 하고, 그렇게 되어야만 우리도 규정에 따른 인력 확보를 이룰 수 있으며, 정부의 일자리 정책에도 호응할 수 있다."라고 주장했다.
이어서 "문재인 케어(이하 문케어)로 인한 급여화 확대에 직접 영향을 받는 것은 병원이다. 그런 것도 병원 경영을 악화하는 요인 중 하나로, 함께 수가에 반영돼야 문케어에 병원이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라고 했다.
병원이 한계에 다다랐다고 했다.
박 상근부회장은 "본 수가협상에서는 특단의 변화 자세를 요구했다. 이 자리를 계기로 이런 것들이 촉구되면서, 다음 협상에서는 의료보험자로서 새로운 자세로 협상에 임해줬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이후 진행된 인터뷰를 메디포뉴스가 일문일답으로 정리했다.
◆ 오늘 병협에서 어떤 근거를 제시했는지?
행위 진료비 등 몇 가지 통계 수치를 제시했다. 지난해 대비 병원계 진료비 상승분이 상당히 둔화했다. 자료로 확인해보면 다 나온다. 이러한 증가 요인들은 지난해 다 반영되면서 수입 증가세가 상당히 꺾여, 삼사 년간 거의 두 자릿수였던 것이 한 자릿수 이하로 떨어졌다. 타 공급자단체보다 더 낮은 수준이다. 그런 것들이 객관적인 통계 자료로 확인됐다.
◆ 어떤 통계치를 제시했는지?
지난해 여러 보험 급여 자료를 제시했다. 급여 규모, 증가율 등의 일반적인 통계 자료이다.
◆ 어느 정도의 피해인지를 수치로 제시했는지?
피해 수치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다. 병원마다 상황이 다르다. 건축 시기 등에 따라 차이가 커서 수치를 제시하기가 어렵다.
◆ 병원계가 문케어에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것 같다.
그간 주장한 것들이 제대로 반영 안 되면 병원에서는 문케어를 수용해서 따라가고 협조하기가 어렵다. 그러한 점을 강조하며, 협력해서 같이 갈 수 있도록 반영해달라고 주장했다.
◆ 오늘 공단 재정운영위원회 소위원회(이하 재정소위)가 열린다. 어느 정도 올라갈지를 예상하는지?
예상할 수 없지만, 어려운 상황은 얘기했다. 그런 게 재정소위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고 촉구했다. 공단에서는 우리 입장을 최대한 전달할 수 있게 노력하겠다는 얘기를 했다. 기대하고 있다.
◆ 금년 수가인상률은 어느 정도를 생각하는지?
이는 우리 지휘부와 계속 상의하면서 방향을 공유하며 협상에 임해야 할 사항이라고 본다.
◆ 전년 대비 큰 상승 폭을 원하는지?
그렇게 돼야 한다.
◆ 복지부가 문케어와 수가협상을 별개로 둬야 한다고 했다. 의협에서는 같이 가야 한다고 자료를 냈는데, 병협도 같은 생각인지?
별개가 아니다. 수가협상에서 당연히 반영 · 고려돼야 한다.
◆ 금년 협상은 예년과 다르게 기대할 만한 분위기인지?
그건 모르겠다. 다만 우리가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절실하고 간절한 상황을 전했다.
◆ 다음 3차 수가협상 일정은?
5월 28일(월) 오후 2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