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행사

‘2024 대한의학회 학술대회’ 개최(6/14)

지방의료, 거버넌스, 전공의 수련, 의대교육, 임상진료지침 개발, 의료정책 등 다양한 세션 마련

대한의학회가 오는 6월 14일 더케이호텔에서 ‘2024 대한의학회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소통과 공감, 그리고 한마음으로’를 슬로건으로 진행되는 이번 학술대회는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주요 의료정책을 여러 단체와 함께 논의하는 장을 마련해 의료계 내 합의된 의견을 이끌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조강연에서는 서울대학교 성원용 교수가 ‘초저출산, AI기술, 국가 경쟁력의 관점에서 본 의대 증원’을 주제로 의료계가 아닌 외부의 시선에서 초고령화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정부가 추진하는 의사 증원 방안이 과연 옳은 방법인지를 살펴보고, 바람직한 해결안을 제시하는 강연이 펼쳐진다.

이어서 진행되는 6개의 세션 프로그램은 주제 발표와 패널토의로 구성됐다. 

세션별로 살펴보면, 첫 번째 세션인 [전공의 수련의 질과 환경 개선, 바람직한 길을 묻다] 세션에서는  대한의학회 박용범 수련교육이사가 ‘우리나라 인턴수련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주제로 인턴들이 충분한 일차진료 능력과 전문성을 갖추고, 진로 탐색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대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어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신영석 교수가 ‘전공의 수련교육에 대한 재정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전공의 수련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해 전공의 수련교육에 대한 재정 지원 방안을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며, 전공의 수련비용을 지원하는 국가지원제도 도입 시 어느 정도의 비용이 필요한지 그 추산내용을 설명한다.

또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박시내 교수가 ‘지도전문의 역량 강화 및 국가 책임제의 필요성’을 주제로 왜 지도전문의 지도 교육이 국가가 책임지고 지원해야 하는지를 설명할 예정이다.

두 번째 세션인 한국의학교육평가원에서 준비한 [학생규모와 의과대학 교육 역량] 세션에서는 한국의학교육평가원 양은배 수석부원장이 ‘학생규모와 의과대학 교육역량의 함수’를 주제로 우리나라 의과대학의 교육 역량과 의과대학별 현황을 알아보고, 어떻게 해야 의과대학 교육의 질을 유지·개선할 수 있는지 방법을 알아본다.

이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승희 교수가 ‘의학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의대교수의 전문영역별 교육활동 방향’을 주제로, 우리나라 의과대학 교수들의 번아웃 현상을 알아보고, 의학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통해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지 방법을 제안한다.

세 번째 세션인 대한민국의학한림원에서 마련한 [미래의료는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의대정원과 교육을 중심으로] 세션에서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박은철 교수가 ‘한국 보건의료의 단중장기 정책방향’을 주제로, 우리나라의 중장기 발전 계획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진다.

또, ‘의사인력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주제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인력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정부와 의료계 간의 갈등과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거버넌스의 역할과 향후 방향을 다루는 발표가 펼쳐진다.

더불어 고려대학교 한희철 명예교수가 ‘어떠한 의사를 양성할 것인가?’를 주제로 의료정책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제시하며, 정부와 의료계는 협력하고 거버넌스 시스템을 구축해 합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보건의료 체계를 마련해야 함을 설명한다.

네 번째 세션인 [지역의료 활성화를 위한 제언] 세션에서는 김대연 순천의료원장이 ‘지방의료원 폐쇄 혹은 활성화’를 주제로, 지방의료원의 현황과 경영위기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한다.

또한, 신경철 영남대병원장이 ‘지역상급종합병원을 빅5 수준으로?’를 주제로, 국립대병원 중심 정책이 아닌 민간 병원에도 동등하게 지원해 지역의료의 균형 발전을 도모해야 하며, 지속 가능한 병원이 되기 위해 필수의료 인력 확보와 경영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발표한다.

더불어 대한의학회 김유일 정책이사가 ‘필수의료 정책패키지(지역의료):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를 주제로, 지역의료의 강화를 위해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를 제안하며, ▲전달체계 정립 ▲인력 확보 ▲투자 확대 ▲병상 관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서는 정책의 세부 사항을 충실히 이행함과 동시에 정부와 지역사회 및 의료계의 협력이 필수적임을 설명한다.


다섯 번째 세션인 대한의사협회에서 마련한 [바람직한 의료정책] 세션에서는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 안덕선 원장이 ‘의료개혁을 위한 과제’를 주제로, 2000년에 제정된 보건의료기본법이 제대로 이행되고 있지 않으며, 의사가 바라는 의료정책이 어떤 것인지를 설명하고, 바람직한 의료정책을 위해서는 개혁의 선결과제로 무엇이 필요한지 알아보는 시간을 준비했다.

이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오주환 교수가 ‘한국 의료시스템 개혁: 지금 바로!’를 주제로, 한국 의료시스템의 개혁의 목표는 무엇이어야 하는지 설명하고, 우리 의료시스템의 당면과제와 위기가 무엇인지 알아본다.

여섯 번째 세션인 한국보건의료연구원에서 준비한 [근거기반 임상진료지침 개발·활성화를 위한 협력방안] 세션에서는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김원 교수가 ‘한국 심근경색증 약물치료 진료지침 개발’을 주제로, 한국의 심근경색 치료 가이드라인을 개선하기 위한 최신 동향과 개발 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이현정 부연구위원이 ‘금연치료 임상진료지침 개발’을 주제로, 금연치료 임상진료지침 개발의 중요성과 그 과정 및 체계적인 개발과정을 통해 근거기반의 권고문을 마련하는 등이 목표임을 설명할 예정이다.

아울러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최미영 연구위원이 ‘임상진료지침 개발과 활용 고도화를 위한 플랫폼 기획 연구’를 주제로, 근거기반의 임상진료지침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효율적으로 개발·활용하기 위한 플랫폼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아울러 대한의학회는 학술대회에서 다뤄졌던 내용들이 학술대회 차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향후 토론회, 공청회, 백서 제작 등을 통해 실제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학술대회 프로그램 및 등록은 홈페이지(www.kamscongress2024.or.kr)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사전등록기간은 6월 12일까지이다. 학술대회 참가자들에게는 대한의사협회 평점 4점이 부여될 예정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