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는 다른 상품과는 다르게 생명과 직결된 서비스이고, 공공성을 띠고 있다. 모든 국민이 필요할 때 적합한 치료를 받을 수 있게 하려면, 공공의료가 살아나야 한다.
우리나라 의료체계는 대도시와 민간병원을 중심으로 발달돼 있다. 더 많은 자원이 투입되고, 더 많은 기회가 있는 곳에서 발전이 이뤄지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최근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주관한 두 개의 심포지엄을 연달아 들었다. 하나는 코로나19 시기 감염병 전담 병원으로 운영됐던 지역공공의료기관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내용이었고, 다른 하나는 지역 의료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책임의료기관들의 현장 사례에 대한 내용이었다.
지역 의료 협력체계 구축은 민간병원의 자원을 이용한 치료 시스템을 마련하는 좋은 방법이지만, 결국 민간병원은 민간병원으로서의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공공의료를 실현하려면 공공의료기관의 역할과 역량이 중요하다. 하지만 민간병원 중심으로 발달한 우리나라에서 현재 공공의료기관의 역량은 부족한 상황이고 코로나19를 겪으며 상황은 더욱 어려워졌다.
우리나라 의료 수준은 세계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세계적인 의료는 수도권과 일부 대도시에 한정돼 있다. 최근에는 서울의 한 상급종합병원에서 일하는 간호사가 제때 심뇌혈관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한 사건이 충격을 줬지만, 대체로 수도권의 경우에는 지방보다 상황이 훨씬 낫다.
지방의료원의 경우, 돈을 아무리 많이 준다고 해도 의사가 오지 않는다고 한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의사도 사람인데 지방에서 사는 것은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국민들도 지방의료원을 가기보다는 더 좋은 치료를 받기 위해서 돈을 들여 서울의 큰 병원으로 가는 등, 공공의료기관은 여러 가지로 찬밥 신세다.
공공의료기관이 종합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수준의 역량을 갖춰야한다는 말은 아니다. 최소한 지역 환자가 믿고 찾아올 수 있고, 제때 필요한 의료를 제공하며, 응급환자를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생각한다.
역량을 갖추려면 사람이 모여야 하고, 재정이 있어야 한다. 공공의료기관 역량 향상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 소위 돈 되는 일은 아니더라도, 필요성에 공감하고 노력을 쏟아야 할 것이다.
그동안 방법을 몰라서 못 한 것은 아닐 것이다. 말처럼 쉬운 일도 아니다. 하지만 코로나19를 겪으며 공공의료의 필요성이 대두된 이때, 지역 공공의료기관의 역량 개발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