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지역주민 기다리는 것이 아닌 ‘디지털 보건소’ 돼야”

‘공공형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발전방향 제시
인근지역·취약계층 중심으로만 서비스 제공되는 보건소 운영형태 지적

보건소 등 지역보건의료기관들의 역할이 미흡하다는 지적과 함께, 지자체 차원에서 지역사회 내 보건의료 인력에 대한 교육이 자체적으로 수행돼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이하 개발원)은 ‘공공형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현황 및 발전방향’ 연구보고서(책임연구자 개발원 조인성 원장)를 최근 공개했다.

연구진은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부터 이어온 코로나19 대유행과 정부의 한국판 뉴딜정책 추진 등으로 그간 지지부진했던 공공 분야의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하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보건의료서비스 강화 방안을 내놨다.

먼저, 연구진은 지역사회 디지털헬스 건강관리 요구도를 기반으로 사업을 설계할 때 이를 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전략 개발이 수반돼야 할 것과 서비스 대상자가 누구인지,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인지 등에 대한 조사와 판단이 우선돼야함을 강조했다.

연구진은 “서비스를 주도적으로 제공할 기관과 인력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검토해 디지털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활용해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며 “새로운 서비스를 지역사회에 제공하기 위해 대부분 중앙 차원에서 사업 수행과 관련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기획되고 운영되고 있지만, 실제 서비스를 제공할 기관, 인력의 특성을 반영하는 데는 다소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고 꼬집었다.

연구진은 보건소, 보건지소, 건강생활지원센터, 보건진료소 등 지역보건의료기관들의 역할이 미흡함도 지적했다.

그 중 보건소는 직접 대면을 통한 서비스가 대부분이고,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 의료취약지 시범사업 등 일부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는 유선전화, 문자전송, 영상배포 등에 한정되어 있다는 것.

연구진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특성이 고려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보건의료 인력에 대한 교육도 지자체 차원에서 자체적으로 수행하는 형태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하며 중앙 차원에서의 역할로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 콘텐츠 개발·제시 ▲강사 및 지도자 육성 ▲지자체간의 벤치마킹 여건 마련 등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또 오프라인에서 지역주민이 오기만을 기다리는 소극적인 서비스 제공 형태의 보건소가 아니라,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면 누구든지 어디서나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가칭 ‘디지털 보건소’ 운영을 제안했다.

국민의 가장 가까이에서 건강관리·질병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 보건소임에도 지금의 보건소들은 지역사회 전체를 아우르지 못하고, 인근지역과 취약계층 중심으로만 서비스가 제공된다는 인식이 강하다는 것.

연구진은 “가칭 디지털 보건소 운영을 통해 보건소에 대한 접근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온라인으로 가능한 서비스를 발굴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전통적 보건의료서비스를 어떻게 연계해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지 검토해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 대안을 제시했다.

아울러 연구진은 지역사회 내에서 현재 추진되고 있는 건강관리·질병관리 서비스의 지속적인 확대와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진은 “서비스 모형에 대한 지속적인 정비와 함께 서비스 효과를 평가해 근거에 기반한 사업 확대가 추진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평가 시에는 사업의 목적, 성격 등에 따라 결과를 해석하는 데 주의도 기울여야 할 것”이라며 “예를 들어, 의료취약지 의료지원 시범사업은 도서·벽지 등 의료취약지 주민의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 의료접근성 강화를 주요 목적으로 추진하고 있음에 따라 단순히 비용-효과성 평가만으로 결과를 평가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서비스 제공에 따른 편익을 살펴보고 현재의 경제성만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 보건의료 환경, 사회 변화 등을 고려한 사업 추진 타당성 평가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