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9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정책

‘만병의 근원’ 당뇨 환자 급증…건강 불평등 확산 우려

15년 比 지난해 당뇨 환자 57.2% 늘어
당뇨 환자 60대가 가장 많아, 20대 미만도 1.3%

당뇨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당뇨는 소아, 청소년기에 발병시 긴 유병기간으로 인해 합병증 위험이 높고, 장기적인 건강 부담 및 사회적 비용으로 연결될 수 있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박희승 국회의원(남원장수임실순창, 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위)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당뇨 환자는 2015년 252만 5454명에서 2024년 397만 1113명으로 10년 만에 57.2% 늘었다. 올해도 6월 기준, 355만 8285명에 달해, 증가세가 가파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해보면 2024년 기준, 당뇨 환자 397만 1113명 중 남성이 223만 2449명(56.2%)으로 여성 173만 8664명(43.8%)보다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123만 1531명(31.0%)으로 당뇨 환자의 주 연령층을 차지했으나, 20대 미만도 5만 3241명(1.3%)으로 나타났다. 
 
또 유형에 따라 1형 당뇨와 2형 당뇨 환자수를 분석한 결과, 2024년 총 환자 366만 1753명 중 2형 당뇨가 360만 9041명(98.6%)이었으며, 1형 당뇨는 5만 2712명(1.4%)이었다. 

문제는 소득분위별로 살펴보면, 1형 당뇨, 2형 당뇨 모두 저소득층 환자의 비율은 높아지는 반면, 고소득층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1형 당뇨의 경우 1분위 환자 비율은 2015년 7.4%에서 2024년 8.0%로 높아졌으나, 10분위는 19.6%에서 17.9%로 낮아졌다. 2형 당뇨도 같은 기간 1분위 환자 비율은 7.1%에서 9.4%로 높아졌으나, 10분위는 21.0%에서 18.9%로 낮아졌다. 

실제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연구에 따르면, 저소득층은 중·고소득층에 비해 1형 당뇨병 발생 상대 위험도가 2.9배, 2형 당뇨병은 3.7배 증가했다. 특히 1형 당뇨병 발생 위험은 영유아기(0~5세), 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은 청소년기(13~18세)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1형 당뇨병은 주로 소아청소년기에 발병하며,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 베타세포가 자가면역 반응에 의해 파괴되어 인슐린이 거의 생성되지 않는 질환이다. 2형 당뇨병은 주로 비만이나 대사증후군을 동반한 인슐린 저항성과 상대적인 인슐린 분비 부족 등으로 발생한다. 최근 보건복지부는 1형 당뇨 장애 인정 내용을 담은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시행 규칙 및 고시 개정안’ 입법을 예고했다. 

박희승 의원은 “당뇨는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고, 삶의 질을 급격히 저하시키는 주요 질환 중 하나다. 소아당뇨 등의 실태를 면밀히 분석하고, 특히 소득 격차가 건강 격차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이재명 정부가 소아당뇨에 대한 국가책임 강화를 공약으로 제시한 만큼, 보다 종합적인 대책이 마련될 수 있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