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9홀덤디비❤️~텔RADARDB|%'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04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도표첨부] 쿠웨이트 의료기기 수입 규모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심전도, 심장병, 당뇨 및 고혈압 등 전문 첨단 진단치료기 등의 수출 전망이 밝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김익환 쿠웨이트 무역관은 최근 ‘쿠웨이트 의료기기 시장 현황’ 자료를 통해 이같이 전했다. 김익환 무역관에 따르면 쿠웨이트정부는 GDP의 4%를 의료산업 분야에 투자하고 있다. 의료장비는 100%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수입규모는 2005년 기준으로 1억4000만 달러 이었고 매년 4.8%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 무역관은 “쿠웨이트 수입시장 특성상 의료기기도 현지 에이전트를 통해야만 정부병원발주 대규모입찰에 참가할 수 있기 때문에 쿠웨이트 의료기기 수출을 위해서는 유능하고 경험 있는 에이전트 선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걸프지역 의료전문전시회의 참가와 수시로 현지를 방문해 병원 및 의료기기 실수요자들에게 프리젠테이션·세미나를 실시해 한국 의료기기의 우수성을 설명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는 “수출 후에는 AS를 강화해 수입업자들에게 신뢰감을
요양기관별 8월 급여비 청구실적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모든 요양기관들이 부진한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달 청구액이 6.4% 급락한 의원은 이 달에도 전월대비 3.71%가 감소해 전체적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청구액이 8.93% 증가해 눈길을 끌었던 병원도 이 달에는 4.14% 증가에 머물러 다소 힘이 달리는 양상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발표한 ‘월중 동기간 급여비 청구실적(월계)’ 자료를 보면 8월 급여비 청구실적은 1조7901억8200만원으로 전월 1조8157억6900만원에 비해 1.41%가 감소했다. 2006년 8월말현재 &
올 상반기 급성호흡기감염증(감기) 환자들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보다 감기환자가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특히 급성기관지염 환자들이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배포한 ‘2006년 상반기 건강보험 통계지표’ 중 급성호흡기감염증 외래 진료 현황을 살펴본 결과 올 상반기 총 진료인원은 전년동기 1816만명에서 8.1% 증가한 1963만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요양급여비용은 15.2% 증가한 8066억원이며 1인당 진료비는 전년도 같은 기간의 3만8561원에서 6.6% 증가한 4만1093원이었다. 심평원 관계자는 “감기 외래 진료건수는 4431만건으로 약국을 제외한 외래 진료건수 2억1131만건 중 21.0%를 차지했으며 감기로 인한 요양급여비용 8066억원은 약국을 제외한 외래 요양급여비용 6조 2098억원 중 13.0%를 차지해 높은 비중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원외처방에 의한 약국 약제비가 포함되면 실제 감기 관련 요양급여비용은 더 크게 발생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감기 관련 상위 상병의 진료비와 구성비를 살펴보면 급성상기도감염이 3548억7000만
스페인의 의료장비 시장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국내 의료기기의 수입량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페인 현지에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 한국 의료기기의 기술발달 및 가격경쟁력을 감안하면 스페인은 매우 매력적인 시장이라는 주장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손수연 마드리드 무역관은 “스페인은 의료장비를 절대수입에 의존하는 국가로 정밀성을 요하는 의료기기 특성상 유럽, 미국, 일본산 수입이 많으나 한국 의료기기의 기술발달 및 가격경쟁력을 감안하면 충분히 도전해 볼만한 시장이다”고 강조했다. 손 무역관에 따르면 스페인 의료장비 시장은 국내 생산기반이 거의 전무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데 독일, 오스트리아 등 유럽지역 및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이 많으며, 아시아 지역으로는 일본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국내 의료장비의 수입이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장비 중 대 스페인 한국수출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분야는 의료용 전자기기(MTI 코드8147)로, 2006년 7월 현재 총 1093만1000달러 어치가 수출돼 전년동기대비 99%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nb
[도표첨부] 올해 상반기 요양기관종별 이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병원급의 요양급여비용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배포한 ‘2006년 상반기 건강보험 통계지표’ 중 진료형태별, 요양기관종별 이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병원의 지난해 요양급여비용은 9144억2100만원이었으나 올해 상반기에는 1조846억5100만원으로 무려 18.62%의 증가율을 보였다. 전체 의료기관의 요양급여비용을 살펴보면 지난해 상반기에는 8조6305억6800만원 이었으나 올해 같은 기간에는 9조9337억9500만원을 기록해 15.10%가 증가했다. 총요양급여비용에 대한 구성비율을 보면 의원이 26.6%(3조7048억원)을 차지했으며 이어 종합전문요양기관 14.3%(1조9910억원), 종합병원 14.0%(1조9503억원), 병원 7.8%(1조847억원), 한의원 4.0%(5523억원), 치과의원3.7%(5125억원), 보건기관 0.5%(733억원), 한방병원 0.3%(411억원), 치과병원 0.2%(237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요양급여비용의 증가율은 병원이 18.62%으로 가장 증가 폭이 컸으며
[도표첨부]올해 상반기 의원 표시과목별 요양급여비용 증감률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13.27%가 증가한 가운데 이비인후과와 내과의 상승세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비인후과의 경우 지난 1/4분기에서도 전년 동기대비 24.32%가 증가한데 이어 이번에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해 경영성과가 좋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28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배포한 ‘2006년 상반기 건강보험통계지표’를 분석한 결과다. 이 자료에 따르면 전체 요양급여비용은 3조7047억6800만원으로 전년 동기 3조2706억3500만원에 비해 13.27%가 증가했다. 표시과목별로 살펴보면 이비인후과가 3407억8100만원을 기록,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16.43%가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내과가 6356억7400만원으로 16.06%의 증가율로 이비인후과의 뒤를 이었으며 소아과 15.64%(2801억6700만원), 기타 14.69%(4335억8400만원), 정형외과 12.77%(4253억3400만원), 산부인과 12.75%(1995억8700만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원 요양급여비용의 표시
시도별 진료인원 및 1인당 월 진료비를 조사한 결과 의료이용률은 전북이 가장 높았고 1인당 월 진료비는 전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2006 상반기 건강보험 주요통계’를 분석한 결과다. 이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의료이용률은 87.7%로 나타났으며 월 진료비는 4만8413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시도별 진료인원 및 1인당 월 진료비 구 분 대상자(명) 진료인원(명) 의료이용률 1인당월진료비 계 서 울 부 산 대 구 인 천 광 주 대 전 울 산 경 기 강 원 충 북 충 남 전 북 전 남 경 북 경 남 제 주 47,545,055 10,067,310 3,503,278 2,413,350 2,561,833 1,336,418 1,415,735 1,076,258 10,661,321 1,446,214 1,438,757 1,894,239 1,745,730 1,808,354 2,570,850 3,069,693 535,715 41,677,870 8,553,531 3,073,818 2,138,577 2,183,577 1,181,353 1,278,076 952,662 9,25
민간 건강보험 관련 상당수 질병이 보장대상에 해당되지 않아 보험금을 지급 받지 못하는 피해 사례가 빈발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보호원은 2003년 1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접수된 질병보험 관련 피해 구제 121건을 분석한 ‘질병 관련 보험 소비자 피해 실태 조사’를 통해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와 관련, 피해구제 121건 가운데 ‘진단 받은 질병이 약관 보장대상에서 제외돼 보험금 지급이 거절된 사례’가 40.5%(49건)로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수술 후 보험금을 청구했으나 보험금 지급이 거절된 사례’가 32.2%(39건)로 나타났으며, ‘직접적인 치료를 목적으로 한 입원·수술이 아니라며 보험금 지급이 거절된 사례’가 13.2%(16건), ‘담당의사의 진단내용을 불인정한 사례’ 5.7%(7건)이 각각 그 뒤를 이었다. [표1] 질병보험 관련 소비자 피해 유형(2003.1~2006.3) (단위:건, %) 구 분 생명보험 손해보험 공제 계 진단받은 질병이 약관 보장대상에서 제외 41(46.6%) 4(15.4%) 4(
동아제약 등 국내 주요 8개 제약사의 상반기 실적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증권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8개 제약사의 상반기 총 매출액은 1조 3917억원으로 전년동기비 12.8% 성장세를 보였으며, 영업이익 1860억원(+28.1%), 경상이익 1851억원(+8.7%), 순이익 1232억원(+4.1%)의 실적을 보였다. 대상 제약회사는 *동아제약 *유한양행 *한미약품 *중외제약 *제일약품 *녹십자 *종근당 *보령제약이다. 이러한 매출액의 증가는 고령화 진전에 따른 내원율 증가와 전문의약품의 두 자리수 성장성장세를 이끌었다. 매출액 증가율 면에서 살펴보면 보령제약 923억원(+27.8), 한미약품 2058억원(+17.7%), 녹십자 1768억원(+13.6%), 중외제약 1712억원(+12.9%), 종근당 1247억원(+12.7%) 순으로 매출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보령제약의 지난해 구조조정이 어느 정도 일단락 되면서 큰 성장세를 보였고, 한미약품의 경우 아모디핀, 트리악손 등 주력제품이 호조를 보이며 계속 고도 성장을 이끌었다. 영업이익 부분에서도 보령제약
요양기관별 7월 급여비 청구실적을 분석한 결과 의원은 6.40% 급락한 반면, 병원은 7월 한 달 동안 1645억700만원을 청구해 전월대비 8.93%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해 대조를 보였다. 또 지난 달 12.84%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종합병원은 1.95%의 증가율을 보이는데 그쳤다. 이 같은 결과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1일 발표한 월중 동기간 급여비 청구실적을 분석해 나온 것이다. 이 자료를 보면 7월 전체 급여비 청구실적은 1조8157억6900만원으로 지난달 1조8491억3300만원에 비해 1.80%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7월말현재 (단위:백만원,%) 요양기관 05.07월 06.05월 06.06월 06.07월 전월대비 전 체 1,534,035 1,746,791 1,849,133 1,815,769 -1.80% 종합병원 450,886 479,715 541,308 551,887 1.95% 병 원 121,467 141,126 151,021 164,50
우리나라의 국민의료비 지출 대비 본인부담 비율이 2004년 36.9%로 OECD 국가들 중 멕시코(50.6%), 그리스(45.2%)를 제외하고는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14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OECD Health Data 2006을 통해 본 한국의 보건의료 현실’ 중 공공 및 민간재정 지출을 분석한 결과다. 공단은 “한국에서 공공지출에 비해 민간지출이 높은 것은 본인부담금때문이며 국민의료비 지출 대비 본인부담 비율은 2004년 36.9%로 OECD 국가들 중 멕시코(50.6%), 그리스(45.2%)를 제외하고는 가장 높은 수준이다”고 전했다. 국민의료비 지출 대비 본인부담 비율(2004년 기준, 단위 : %) 순위 국가 본인부담(%) 순위 국가 본인부담(%) 1 멕시코 50.6 13 뉴질랜드 17.2 2 그리스 45.2 14 아이슬란드 16.6 3 한국 36.9 15 노르웨이 15.7 4 스위스 31.9 16 캐나다 14.9 5 폴란드 28.1 17 오스트리아 14.7 6 헝가리 24.2 18 덴
노바티스의 면역억제제 산디문뉴오랄이 타크로리쿠스보다 신장이식 환자의 당뇨병 발현율을 더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4일 보스턴에서 개최된 세계이식학회(World Transplant Congress)에서 발표된 DIRECT 임상결과에서 새로 발생한 당뇨병 또는 공복혈당장애의 발현율은 산디문뉴오랄 군이 타크로리무스 군보다 유의하게 더 낮았으며(26 % vs. 33.6 %, [p=0.046]), 타크로리무스 투여군에서 당뇨병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이 산디문뉴오랄 투여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18 % vs. 12.5 %, [p<0.05]).
노바티스 관계자는 “DIRECT 임상결과는 이식 후 면역억제 치료 효능만이 장기이식 환자의 장기적인 예후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 거”이라며 “당뇨병은 장기이식 환자의 심혈관계 질환 사망의 주요인으로, 이식환자에 대한 당뇨병 발병위험 감소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nb
[도표첨부] 우리나라에서 하루평균 38.39명이 귀중한 생명을 스스로 끊는 것으로 나타나 복지부 자살예방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경찰청이 안명옥 의원(한나라당)에게 제출한 ‘2001~2005년 자살현황’에 따르면 2005년 자살자는 1만4011명으로 전년대비 무려 718명이 증가했으며, 남성은 226명 증가한데 비해 여성은 492명이나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2000~2004년 5개년 전체 자살자 통계에서는 남성이 71.4%, 여성이 28.6%였으나 2005년도 여성 자살자 수의 급증으로 2001~2005년의 5개년 통계에서는 남성이 70.7%, 여성이 29.3%로 여성 자살자의 증가율이 급격히 높아졌다(도표참조). <2001~2005년 자살 성별 현황> 구 분 5년간 자살 성별 현황 (2001-2005) 비고 합계(%) 남 여 합 계 (%) 66,041 (100.0%) 46,698 (70.7%) 19,343 (29.3%) 2001 12,277 8,847 3,430 2002
요양기관 별 6월 급여비 청구실적을 분석한 결과 종합병원이 6월 한 달 동안 5413억800만원을 청구해 전월대비 12.84%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에 비해 병원과 보건기관은 7%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의원은 2.54%로 요양기관 중 최하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3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월중 동기간 급여비 청구실적(월계)’을 분석해 얻은 것이다. 2006년 6월말현재 (단위:백만원,%) 요양기관 05.06월 06.04월 06.05월 06.06월 전월대비 전 체 1,588,368 1,769,184 1,746,791 1,849,133 5.86% 종합병원 428,731 524,397 479,715 541,308 12.84% 병 원 121,761 136,072 141,126 151,021 7.01% 의 원 448,647 466,028 482,861 495,131 2.5
최광해 영남대학교병원 소아과 Kwang-Hae Choi, M.D. & Ph.D. Dept. of Pediatrics, Yeungna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E-mail: ckh@med.yu.ac.kr 서 론 최근 경제성장으로 생활환경이 편리해지고 활동량이 부족하여 열량소비가 감소한 반면에 식생활의 서구화로 열량섭취가 증가하여 소아 비만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초ㆍ중학생의 신체검사 결과를 보면 소아비만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서울시 학교 보건원의 자료<최근 18년간 비만아 증가 양상>에 따르면 최근 18년간 초등학교 남자의 경우 6.4배(1979년 3.6%에서 1996년 23.0%), 여자의 경우 4.7배(1979년 3.3%에서 1996년 15.5%), 중ㆍ고등학교 남자의 경우 3.0배(1979년 5.2%에서 1996년 15.4%), 여학생의 경우 2.4배(1979년 6.3%에서 1996년 15.0%)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징적인 것은 여자보다 남자
[명단첨부] 지난해 상반기 분만을 실시한 의료기관들을 대상으로 제왕절개분만율을 조사한 결과 전체 제왕분만율은 37.5%로 나타났으며 214곳이 상대적으로 제왕분만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05년 상반기 분만을 실시한 1140곳 기관 중 분만 청구건수가 50건 이상인 680곳(분만 건수의 96%) 병·의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14곳(32%)의 의료기관이 제왕분만율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제왕분만율이 낮은 기관은 28%인 192곳이었으며 274곳(40.3%)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별로 살펴보면 연세대 원주의대 원주기독병원이 62.9%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원광대부속병원(62.6%), 부산대병원(59.8%), 전남대병원(57.7%), 충남대병원(57.6%), 영남대병원(57.5%), 경북대병원(57.0%), 경상대병원(56.2%), 동아대병원(51.9%) 등의 순으로 파악됐다. 한편 제왕분만율이 낮은 병원은 국립의료원(31.3%), 인제대부속상계백병원(33.0%), 강동성심병원(36.6%), 삼성의료재단강북삼성병원(38.3%), 가톨릭대성모병원(38.8%), 한양대병원(40.7%
[도표첨부]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20% 이상인 ‘수퍼고령 지역자치단체’의 건강보험재정 상태가 최악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사회보장체계 자체가 붕괴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2005년 11월 현재 ‘수퍼고령 지자체’는 6개 시와 57개군이며, 이 중 24개 군은 고령인구가 25%가 넘고, 14개 군은 30%를 상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005년 현재 65세 이상 노인인구 30% 이상인 지자체 전체인구 65세 이상 노령인구 비율(%) 전국 48,782,274 4,574,053 9.4 충북 괴산군 32,208 9,744 30.3 전북 임실군 25,682 8,671 33.8 순창군 26,250 8,232 31.4 전남 곡성군 29,612 8,996 30.4 고흥군 72,578 23,133 31.9 보성군 45,890 14,404 31.4 함평군 36,072 10,850 30.1 경북 군위군 24,404 7,723 31.6 의성군 56,522 18,512 32.8 영양군 17,63
간호사 근로조건 향상과 관련, 3교대 근무라는 간호업무의 특성을 고려해 자녀가 있는 기혼 간호사들을 위한 보육시설 확충과 연장운영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됐다. 병원간호사회가 최근 발표한 ‘간호사 근로조건 향상을 위한 근무형태 개발에 관한 연구’에서 이금자 국립서울병원 간호과장은 “3교대 근무로 인한 양육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보육시설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간호과장에 따르면 현재 조사 병원의 71%가 보육시설을 갖추고 있지 않고 있다.(표1참조) [표1] 병상유형별 보육시설 운영현황 구분 병상유형(%) 계(%) 대학병원 종합병원 병원 기타 유 15 20 1 1 37(21.9) 무 29 63 26 3 121(71.6) 기타 6 5 - - 11(6.5) 계 169(100) 이와 관련해 서울대병원에 근무한 적이 있는 병원간호사회 한 관계자는 “저녁 7~8시 이전에 아이들 데려오는 통상 근무자들과는 달리 3교대 근무를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이성재)은 가정경제의 어려움으로 보험료를 체납한 가입자들의 수급권을 보호하기 위해 28일 ‘체납기간 중 진료사실 통지서’를 발송했다고 전했다. 공단에 따르면 체납상태에서 진료를 받은 사람은 가입자 48만 세대, 78만 명이며 이번에 통지서를 받은 가입자들은 오는 9월 11일까지 개인별 체납보험료를 완납하면 통지서에 기재된 진료내역에 대해 건강보험을 적용 받게 된다. 아울러 공단은 “이번에 통지서를 받았으나 일시에 체납보험료를 완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9월 11일까지 공단 지사를 방문해 분할납부 신청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승인 받은 분할보험료를 정상적으로 납부하게 되며 통지서에 기재된 진료내역에 대해 마찬가지로 건강보험을 적용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분할납부를 신청하지 않은 상태에서 9울 11일까지 체납보험료를 납부하지 않거나 정당한 사유업이 2회 이상 분할보험료를 체납하게 되면 통지서에 기재된 진료비를 공단에 납부해야 한다. 기존에는 건강보험법 제48조 제3항에 의해 보험료를 3회 이상 체납한 가입자는 체납보험료를 완납할 때까지 보험적용을 받을 수 없었다.
월 별 급여비 청구 실적을 분석한 결과 2006년 5월 한달 청구된 급여비는 총 1조7467억9100만원으로 지난해 동월보다 1892억7300만이 증가, 10.8%의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지난달에 비해서는 223억9300만원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요양기관의 건보 수입이 다소 주춤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결과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1일 발표한 2006년도 건강보험 재정현황 자료 중 월중 동기간 급여비 청구실적을 통해 밝혀졌다. 요양기관 별로 살펴보면 대부분의 요양기관들이 지난해 5월보다 급여비 청구실적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종합병원의 경우 올해 5월 현재 4797억15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4102억2100만원보다 694억9400만원(14.5%)이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병원은 1411억2600만원을 기록해 전년 동월 대비 203억9700만원(14.4%)이 증가했으며, 의원의 경우 4828억610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373억2700만원(7.7%)만 증가했다. 치과병원의 급여비 청구 실적은 23억5500만원으로 작년 5월에 비해 2800만원이 늘었으며 한방기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