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가 의료기관 기능 재정립 마스터플랜 수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는 제구실을 못하고 있는 현재의 의료전달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것.
의원, 병원(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 등 각급 의료기관의 역할·기능 정립 및 소비자의 적절한 이용 유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먼저 의료기관 구분 기준을 현행 ‘규모’ 중심에서 질병의 중증도, 진료의 난이도 등에 따른 의료서비스 ‘기능’ 중심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즉 의료기관 종별 역할과 기능을 차별화해 제도화한다는 복안으로 복지부는 올해 하반기 ‘의료기관 종별 표준업무’ 고시 마련을 추진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특히 의료기관 계층간 보완 역할 및 적절한 이용을 유인키 위해 1차 의료를 활성화해 질병의 예방과 관리 기능을 강화하고, 2차 의료는 전문분야별 치료·입원 중심으로 재편하는 한편 3차 의료기관은 고도중증 의료·연구 및 교육 기능으로의 특화가 추진된다.
이를 위해 복지부는 향후 시범사업을 거쳐 모형을 확정하고 추진체계 구축 및 활성화를 꾀함과 동시에 인프라·급여구조 등 제도정비 완료의 단계적 추진을 통해 의료계는 물론 국민의 자발적 참여와 행태변화를 유도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복지부는 오는 7월까지 마스터플랜 초안을 마련하고 현재 운영중인 ‘의료기관 기능 재정립 TF’ 등을 통해 각 계의 의견수렴(9월)을 거쳐 10월부터 단기과제와 중장기과제를 나눠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으로 전해졌다.
한편, '의료기관 기능 재정립 TF'는 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을 단장으로 복지부(10명), 의료계(의협·병협 등 7개 단체), 학계(6명), 유관기관(심평원·건보공단), 시민단체(4명) 등 30명으로 구성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