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성인 7~8명 중 1명이 앓고 있는 만성콩팥병 환자가 최근 10년간 2배 가까이 급증했지만, 정부의 국가 차원 관리체계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최보윤 국회의원(보건복지위원회, 비례대표)이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및 대한신장학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와 보건의료빅데이터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만성콩팥병 환자 수는 2015년 17만 576명에서 2024년 34만 6518명으로 103.1% 증가했으며, 투석 환자도 같은 기간 6만 1218명에서 10만 2033명으로 66.7%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콩팥병은 신장 기능이 3개월 이상 저하돼 노폐물과 수분을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는 질환으로, 치료하지 않으면 말기신부전으로 진행해 투석이나 이식 없이는 생명을 유지할 수 없다.
의원실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 말기신부전 유병률은 인구 100만 명당 2608명으로 대만·일본에 이어 세계 3위이며, 투석·이식 환자는 현재 13만 7천명으로 10년 새 2배 증가했다.
2023년 만성콩팥병 진료비는 2조 6671억원으로 단일 질환 중 3위를 기록, 2024년에는 약 2조 8300억원으로 불과 1년 만에 1600억원(6%) 이상 증가했다. 대한신장학회는 10년 내 투석 관련 총진료비가 6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말기신부전 환자의 5년 생존율은 62%로 전체 암 환자(70.97%)보다 낮다. 신장이식 평균 대기기간은 2019년 약 6년에서 2024년 약 7년 7개월로 늘었으며, 현재 대기자만 3만 5,707명, 이식 대기 중 사망자는 하루 평균 6.8명에 달한다.
서울대학교병원 등 24개 기관이 수행한 ‘유형별 만성콩팥병 장기추적 코호트’(’11~’21) 분석 결과에 따르면, 1~3기 환자는 투석까지 약 10년, 4기 환자는 4년, 5기 환자는 불과 1년 3개월 만에 투석으로 진행됐다. 질환 단계가 높을수록 투석 이행률이 40%에서 80% 이상으로 급증해 조기 진단과 관리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아주대병원 연구팀에 따르면, 말기신부전 환자의 28.3%가 우울·불안 등 정신질환을 겪고 있으며, 대부분은 평생 주 3회, 회당 4시간의 투석에 의존해야 해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24년 세계보건총회에서 신장질환을 비감염성질환 중 최초로 결의안에 포함, 전 세계 환자가 6억 7천만 명, 2050년에는 제5위 사망원인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나 우리 정부는 ‘암관리법’에 따라 암에 대해서는 5년마다 종합계획을 수립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지만, 만성콩팥병은 법적 근거도, 국가 기본계획도 없는 실정이다.
최보윤 의원은 “만성콩팥병은 국민 7~8명 중 1명이 앓는 흔한 질환이지만, 환자 10명 중 9명은 자신이 병을 앓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르는 ‘침묵의 살인자’”라며, “이미 사회·경제 전반에 막대한 부담을 주는 국가적 위협임에도 정부 대응은 턱없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암처럼 국가 기본계획 수립과 법제화를 통해 조기발견·예방·관리체계를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