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2 (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정책

무더위에 식품매개 감염병 폭증…5년만에 환자 3.6배

집단발생 건수 폭증과 특정 원인병원체별 발생도 함께 증가
서미화 의원 “폭염이 감염병 확산에 영향…확산방지 대응책 마련해야”

최근 5년간 폭염특보(경보)가 2배이상 증가하며 무더운 날이 늘어남에 따라,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 집단발생 건수와 유증상자가 폭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집단발생 건수와 함께 특정 원인병원체별 발생현황도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미화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 집단발생 건수 및 유증상자 수’에 따르면, 2020년 이후 집단발생건수는 234건에서 537건으로 129.5% 증가했고, 유증상자는 3323명에서 1만 2161명으로 265.9%나 폭증했다. 같은 기간, 폭염특보(경보) 발령건수도 50건에서 115건으로 2배 이상 늘어났다.

원인병원체별 발생현황을 보면 노로바이러스의 증가세가 뚜렷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020년 51건에 불과하던 노로바이러스 원인 감염병 집단발생수가 2024년 203건으로 298%나 폭증했고, 같은기간 살모넬라균 원인 감염병 집단발생수는 19건에서 57건으로 200%나 증가했다.

발생건수당 평균 유증상자 수를 보면, 2020년 14.2명에 불과하던 유증상자 수는 22.6명으로 59.2% 높아졌다. 실제로 2024년에는 남원시의 초·중·고등학교의 급식문제로 단일 사건 중 865명의 최다 유증상자 수가 발생한 적이 있다. 이 사건의 경우에도 원인병원체는 노로바이러스로 지목됐다.

질병관리청 관계자에 따르면, “코로나19 이후, 단체급식 및 외식건수의 감소로 일시적으로 감소한 발생건수가 전 수준으로 회복한 것”이라며 “폭염경보 등 무더운 날씨가 원인이 됐을 수 있지만, 다양한 원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서미화 의원은 “이상기후로 인한 폭염특보 건수가 상승하면서, 식품매개 감염환자 폭증은 피할 수 없었던 결과”라며, “앞으로도 집단감염 사례가 매년 더 많아질 수 있는 만큼, 정부는 지금부터라도 무더운 날씨에 대응하는 적합한 위생상태를 유지하고, 감염병 확산을 막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