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의료기기/IT

아큐브, 블루라이트 팩트체크 인포그래픽 공개

현대인, 디지털 기기 사용 증가로 유해한 블루라이트 노출 확률 더욱 높아져
블루라이트 차단 렌즈 등... 보호기구 통해 눈 스트레스 줄이기 위한 노력 필요

한국존슨앤드존슨비전의 콘택트렌즈 브랜드 아큐브가 디지털 스크린과 인공 조명의 과도한 노출 속에 살아가는 현대인의 눈 건강을 위해 블루라이트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알아보는 인포그래픽 ‘블루라이트 팩트체크’를 4일 공개했다.

펜데믹 이전에 비해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사용자는 70%, 노트북 및 컴퓨터 사용자는 40%가 증가하면서, 디지털 기기 화면에서 나오는 빛의 일부로 알려진 ‘블루라이트’에 대한 현대인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아큐브는 블루라이트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알림으로써, 소비자들이 눈 건강과 시력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주기 위해 이번 인포그래픽을 제작했다. 

블루라이트, 무조건 해로운 것은 아니다?

블루라이트는 LED 광원이 포함된 인공 조명에서는 물론 태양에서도 방출되는 빛의 한 스펙트럼으로, 인간이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중 빛의 파장이 약 380~500nm(나노미터)인 구간을 의미한다. 즉, 블루라이트는 우리 일상 어디서나 존재하는 빛의 한 종류로, 디지털 기기 화면뿐만 아니라 실내 조명, 태양 빛 등에서도 발생한다. 

다만 이러한 블루라이트가 사람에게 무조건 유해한 것은 아니다. 블루라이트 중 450~500nm의 구간은 호르몬 생성에 영향을 주는 등 인체에 유익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380~450nm의 구간은 사람의 눈에 들어올 경우 눈의 피로감, 시각적 불편함 등 좋지 못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유해한 영역이다. 다른 구간의 블루라이트에 비해 보라색에 가깝고 에너지가 높아 광 독성을 지니고 있다.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 있는 렌즈로 유해한 빛 영향 줄일 수 있어


현대인은 일생의 90%를 실내에서 보내면서 실내 조명, 디지털 기기 스크린 등에 과도하게 노출된 삶을 살고 있다. 각종 실내 조명과 스크린에 포함된 LED 광원은 현대인을 블루라이트에 더 길고 강렬하게 노출시킨다.

블루라이트에 대한 자문을 담당한 조명 분야 전문기관 ‘키엘연구원’ 최서영 본부장은 “오늘날 현대인은 LED 조명과 같은 인공 광원이 설치된 실내에서 PC나 스마트폰, TV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해 업무 및 여가 활동을 하기 때문에, 잠자는 시간 외 대부분의 시간 동안 블루라이트에 노출된다고 할 수 있다”며, “이 같이 블루라이트에 장시간 노출될 확률의 증가는 눈의 피로, 빛의 산란으로 인한 시각적 불편함 등 눈 건강에 잠재적 위험을 내재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국존슨앤드존슨비전 아큐브 학술부 황미선 팀장은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이 있는 렌즈를 착용할 경우 차단 기능이 없는 렌즈를 착용했을 때보다 빛으로 인한 스트레스 회복 속도가 더 빨랐다는 연구 결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시력의 질이 향상되고 눈의 피로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이 있는 렌즈 등을 활용하면 일상 생활에서 시각적으로 더욱 편안한 생활을 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며, “아큐브는 이러한 블루라이트 차단에 대한 정보를 전파하는 데 있어, 안 보건 전문가인 안경사 분들과 협력해 소비자들의 눈을 보호하는데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아큐브는 자사 콘택트렌즈 전 제품에 자외선 차단 기능을 적용하는 등 소비자 눈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되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 아큐브 브랜드 및 콘택트렌즈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큐브 공식 홈페이지와 아큐브 모바일 멤버십 앱 ‘마이아큐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