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의사협회(회장 김필건)가 천연물신약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보건복지부에 촉구했다.
한의협은 30일 성명을 통해 “대한민국을 제약강국으로 만든다는 취지로 추진된 천연물신약 정책이 정부에 의해 심각히 왜곡됐으며, 한약제제로 연구·개발돼야 할 것들이 천연물신약이라는 미명으로 둔갑해 한약에 대한 문외한인 양의사에 의해 처방되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지난 9월 8일 한의협 사원총회에 참석했던 다수의 국회의원들 역시 잘못된 천연물신약 정책을 비판하고, 이 문제를 국가의 정책적인 차원에서 전면 재검토해야 할 필요성을 역설했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 해 10월 열린 국정감사에서도 당시 이희성 식약청장이 천연물신약 정책의 실태에 대해 잘못을 인정하고 이를 시정하겠다고 약속을 한 바 있다고 밝혔다.
현행 천연물신약 정책에 대해 한의협은 “한의사와 양의사간의 처방권에 대한 문제가 아니라 정부당국이 잘못을 인정하고 정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할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나몰라라하며 수수방관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복지부가 이에 대한 해결책을 오는 10월 2일 개최되는 보건의료직능발전위원회에서 내놓을 것이라고 밝힌 데 대해 한의협은 “책임회피성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일축했다.
각 보건직능간의 의견충돌이나 대립을 원만히 해결하겠다는 취지로 만들어진 직능위에서 천연물신약 문제를 다루겠다는 것은 복지부가 자신들의 책임은 회피하고 이 사항을 한의사와 양의사의 갈등문제로 폄하시키려는 비겁한 의도가 숨어 있다는 주장이다.
한의협은 “천연물신약 문제의 본질은 직능간 처방권에 대한 갈등이 아니라, 국가가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중대한 과오를 범해 국민건강을 위협하고, 수 천억 이상의 국가재정을 낭비한 것임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 문제는 정부당국이 직접 책임지고 전면 재검토해야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또 한의협은 “만일 직능위가 정부당국의 근본적인 책임은 외면하고, 천연물신약 문제를 한의사와 양의사의 갈등으로 치부해 처방권에 대한 미봉책만을 내놓는다면 결코 그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하며 “지금이라도 정부당국이 잘못을 인정하고 전면적인 재검토를 시행하라”고 강력히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