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치의 제도가 의원과 환자를 강하게 결합시키고, 대형병원과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해 동네의원이 가진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강력한 제도적 장치라는 의견이 제기돼 눈길을 끈다.
서울대 이진석 교수는 최근 발간된 비판과 대안을 위한 건강정책학회의 정책동향 보고서에서 ‘주치의 제도는 동네의원 활성화의 해법’을 통해 이 제도 시행에 따른 섬세한 의료서비스의 제공이 대형병원을 선호하는 환자들의 발걸음을 동네의원으로 돌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교수는 우선 대한의사협회가 최근 동네의원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진료의뢰와 회송절차의 강화 및 제도화, 3차 대형병원의 외래 환자 진료 억제, 병상공급 적정화 등 의료전달체계 확립을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나서고 있지만 이는 동네의원 활성화에 매우 제한적인 성과 밖에는 내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이어 “환자들이 동네의원이 아니라 대형병원을 선호하게 된 근본 원인을 제대로 짚어야 어려운 상황에서 벗어 날 수 있다”며 그 근본적인 해결책이 곧 주치의 제도의 실행이 될 것이라고 제언했다.
이에 따르면 환자들이 이동시간, 교통비, 대기시간, 동네의원보다 비싼 진료비 등, 이미 이런 추가 비용을 감수하면서 대형병원을 선호하기 된 근본 원인은 동네의원의 질적 수준을 믿지 못하기 때문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치의 제도의 실행이 하나의 해법이 된다는 것이다.
즉, 나에 대해서 잘 알고, 나의 질병에 대해서 잘 알고, 친절하고, 설명 잘 해주고, 나의 말을 잘 들어주는 의사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바로 양질의 의료서비스이인데 주치의제도를 통해 이를 동네의원이 확립하게 되면 대형병원에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는 것.
이 교수는 또한 보건소에 대한 동네의원 활성화를 위해서 보건소의 일반진료를 금지하라는 요구를 할 것이 아니라, 동네의원도 보건소와 같이 친절하고 설명을 잘해주고, 여러 가지 교육과 상담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이러한 활동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 바로 ‘주치의 제도’라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덧붙여 주치의 제도가 부재한 상황에서는 진료의뢰와 회송절차의 강화 및 제도화가 이루어질 수도 없다. 동네의원 활성화를 요구하면서, 주치의 제도 도입 요구를 빼먹거나, 심지어 반대하는 것은 명백한 모순이라며 주치의 제도를 근거로 해야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지원도 요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등록 환자 수에 따라 지급받게 될 등록비는 동네의원의 경영을 안정화시키는 재정적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현재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공적 지원을 요구하는 것은 사회적 설득력과 공감을 얻을 수 없다고 일침을 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