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대병원 중환자실에서 발생한 CRE 집단발생 사태가 종식됐다.
제주대학교병원은 지난해 12월 ‘CRE(카바페넴계 항생제 내성장내 세균종)’환자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2개월 만에 종식하는데 성공했다고 20일 밝혔다.
앞서 제주대병원은 첫 CRE 환자 발생 후 집단감염 확산을 우려해 CRE 유행발생 비상대책위원회를 열고 확진자 추가발생 차단과 대응방향을 논의하는 등 다각적인 중재 활동을 펼쳐 신속히 대응했다.
능동감시를 통한 접촉자 관리를 비롯해 CRE 보균자 1인실 격리 및 담당의료진 지정과 환경오염도 측정 및 환경 배양검사를 시행했으며, 집중치료실 의료진 대상 손위생 교육을 시행하고, 격리주의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감염관련 교육 및 훈련을 적극적으로 실시하며 감염관리를 더욱 강화했다.
또한, 집중치료실 전체 폐쇄가 아닌 부분폐쇄를 결정한 이유에 대해서는 제주도의 지리적 특성상 도내 중증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중환자실이 턱없이 부족한 실태에 대한 설명을 덧붙였고, ▲부분폐쇄를 위한 병상 조절 및 환자 격리 ▲중환자실 입실 시 선별검사 실시와 담당의료진 지정 등의 활동을 유지하며 추가적으로 환경관리 강화활동을 시행했다.
특히, 중환자실 환경 표면에 대해 구역별 환경 소독 전·후 균 배양검사를 실시하고, ▲환경소독 적절성 모니터링 및 매뉴얼 재정비 ▲손위생/접촉주의 모니터링 강화 ▲의료진 능동감시와 중환자실 축소 운영 ▲중환자실 내 1인 격리실 지정 등을 개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