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환절기와 코로나19의 엔데믹이 겹쳐서 감기환자 뿐 아니라 알레르기 비염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알레르기 비염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 수는 2017년 683만명에서 2019년 707만명으로 해마다 증가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는 잠시 주춤했지만 최근 다시 급증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질병관리청 분석에서도 1998~2019년 국내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18배 증가했으며, 우리나라 성인의 18.8%는 알레르기 비염 진단을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1년 기준 알레르기 비염을 위해 진료를 받은 환자는 0세에서 9세까지가 27.4%로 가장 많았고, 10세에서 19세가 16.1%를 차지했다. 성별로는 20대에서 60대 사이에서는 여자 환자 비율이 높았고, 소아와 노년층에서는 남자 환자의 비율이 높았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소아청소년과 이미란 과장은 “어릴적 아토피피부염, 음식 알레르기, 천식이 있던 환자의 경우 알레르기 행진으로 성장하면서 비염이 발생할 수 있고, 알레르기 질환들은 유전 성향이 강하므로 부모가 알레르기 질환이 있으면 아이도 유의깊게 관찰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소아의 경우 성인보다 치료를 통한 비염 조절이 쉬운 편이어서 정확한 원인을 찾고 적극 관리하면 중증비염을 예방할 수 있다”라고 강조한다.
비염의 주 증상은 맑은 콧물, 코막힘, 재채기, 코 간지러움 등인데, 감기와 무관하게 이러한 증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눈이나 목이 가렵고 코피가 자주 날 경우, 알레르기 비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눈이 충혈되고 간지러운 알레르기 결막염을 동반할 수 있다.
알레르기 비염의 진단은 혈액 검사 또는 피부 시험을 통해 어떤 물질에 알레르기가 있는지 확인한다.
이미란 과장은 “알레르기 치료는 회피요법이 가장 기본이다. 검사를 통해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 물질이 확인되면 환경관리를 할 수 있도록 교육을 하고 필요 시 약물 요법을 시행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적절한 약물치료를 유지했음에도 콧물, 코막힘 등의 증상이 지속돼 이로 인해 수면 방해나 학업방해 및 일상생활에 제한이 생긴다면 면역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다만, 알레르기 면역요법은 면역계가 아직 미숙한 5세 미만의 소아에게는 일반적으로 시행하지 않는다.
알레르기 면역 치료는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 물질을 소량씩 주기적으로 피하주사, 설하, 또는 경구로 투여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감소시키는 치료방법으로, 대개 3~5년간 치료를 지속한다.
이 과장은 “코막힘으로 인한 만성적인 구강호흡은 안면 골발육 이상이나 치아의 부정교합 등을 유발해 장기적으로 얼굴 형태 변화를 야기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라며 “아이가 입으로 숨을 쉴 경우 정확한 진단을 통해 비염의 원인 물질을 확인하고 환경관리와 약물 치료를 통해 치료할 것을 권장한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