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및 독감 특수로 그간 지속적으로 성장을 해왔던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제 원외처방 시장이 이번 2024년 1분기 그 규모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시장 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제 시장은 165억원을 기록하면서 2023년 4분기 177억원 대비 13% 감소했다.
특히 압도적으로 우위를 차지하는 존슨앤드존슨의 ‘타이레놀’도 2023년 4분기 32억원에서 2024년 1분기 30억원으로 원외처방액이 8% 줄어든 모습이다.
그 뒤를 잇고 있는 제품들 역시 원외처방이 줄줄이 감소했다. 한미약품의 ‘써스펜’이 2023년 4분기 21억원에서 2024년 1분기 17억원으로 19.7%, 부광약품의 ‘타세놀’이 19억원에서 16억원으로 17.9% 하락했다.
이어 4위인 종근당의 ‘펜잘’이 2023년 4분기 18억원에서 2024년 1분기 15억원으로 15.8%, 코오롱의 ‘트라몰’이 17억원에서 13억원으로 22.8% 줄어들었다.
전반적인 업계 하락세 속에서 약 7개 제품은 전분기 대비 원외처방액이 증가했다.
이 중 휴비스트제약의 ‘타이레펜’은 2023년 4분기 400만원대였지만 이번 2024년 1분기 4200만원으로 953.5% 증가했다.
또 서울제약의 ‘파인큐아세트펜’은 2023년 4분기 1억 9800만원에서 4억 2500만원으로 114% 규모가 확대됐다.
이밖에 한국글로벌제약의 ‘타미스펜’이 2023년 4분기 9500만원에서 2024년 1분기 1억 6000만원으로 68.4% 상승했다.
하락세가 높았던 제품들 중 휴온스의 ‘아미세타’가 1억 4000만원에서 8500만원으로 감소했으며, 제뉴파마의 ‘아니스펜’이 6억 7400만원에서 4억 3200만원으로 36% 하락했다. 또한 하나제약의 ‘타이리콜’이 6억 7300만원에서 4억 3400만원으로 35.6% 줄어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