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동정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송원근 교수, 한국과총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

카바페넴 내성 녹농균 요로감염·사망률 높이는 주요 고위험 인자 확인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송원근 교수는 최근 '2025 세계 한인과학기술인대회'에서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전했다.

수상 논문은 송원근 교수 연구팀(정세리·박민정·이누리·전기범 교수)이 ‘카바페넴 분해효소 생성 녹농균에 의한 요로감염의 유전자형 분포, 항균제 감수성 및 위험인자’라는 제목으로 2024년 대한진단검사의학회지 제44권 1호에 발표한 논문이다.

카바페넴(Carbapenem)은 강력한 β-락탐계 항생제(Beta-lactam antibiotics) 중 하나다. 광범위한 항균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으며 강한 내성을 지닌 세균에 효과적인 약제로 주로 병원에서 중증 감염이나 다제내성균 감염 치료에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카바페넴에 내성을 보이는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카바페넴 내성 녹농균(CRPA)이라고 한다. CRPA는 일반적인 항생제로는 치료가 어려워 다제내성균으로 분류되며, 치료 선택지를 제한하는 심각한 문제를 나타낸다.

송원근 교수팀의 연구는 2015년부터 5년간 녹농균이 분리된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입원 환자 499명을 대상으로 항균제 감수성, 카바페넴제 유전자형(카바페넴 분해효소를 생성하는 유전자 유형), 요로감염 위험 요인 및 관련 사망률을 분석했다. 특히 의료 관련 요로감염의 주요 원인균으로 알려진 카바페넴 내성 녹농균에 주목해 그 추이와 임상적 위험도를 분석한 연구다.

연구 결과, 2019년 이후 카바페넴 내성 녹농균이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항생제 사용이 증가하고 감염 관리 체계가 약화된 것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됐다.

이 균주는 콜리스틴을 제외한 대부분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슈퍼박테리아로, 치료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평가된다. 전체 감염환자 중 약 64%는 요로감염 환자였으며, 카바페넴 항생제 투약 이력은 요로감염의 독립적인 위험 인자로 확인됐다.

또한, 전체 환자 중 약 8.6%가 사망했으며, 이들 환자에게는 중환자실 입원, 카바페넴 사용 이력, 백혈구 수치 상승이라는 세 가지 공통된 위험 요인이 관찰됐다.

결과적으로, 카바페넴 내성 녹농균은 요로감염 발생률과 사망률을 높이는 주요 고위험 인자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항생제의 철저한 관리와 감염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전략 수립이 필수적임을 시사했다.

송원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카바페넴 내성 균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항생제 관리 프로그램의 강화가 필수적”이라며, “좋은 연구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함께 연구에 참여한 교수님들께 감사하다. 앞으로 다제내성균에 대한 연구로 내성세균감염의 진단 및 감염관리의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