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갱년기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골다공증 전(前) 단계인 골감소증에서도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발표됐다.
대한갱년기학회 (회장 오한진 을지의대 교수/ 이사장 유병연 건양의대 교수) 춘계학술대회가 6월 11일 개최됐다. 이날 ‘갱년기 뼈 건강 지키기’ 세션에서 대전 선병원 검진센터 김기덕 센터장(가정의학과)은 ‘골감소증에서 골다공증 약물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를 강의했다.
학회 총무이사를 맡고 있는 김 센터장에 따르면, 골다공증 환자에서 골절이 발생하는 비율이 골감소증 환자에서보다 높긴 하지만, 전체 골절 발생 건수는 골감소증에서 더 많으며, 이는 골감소증에 해당하는 인구의 비율이 골다공증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골감소증이라고 하더라도 위험도에 따라 적극적으로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척추골절의 경우 90%에 이르는 환자들이 골절 여부를 모르고 지내는 경우가 많아 ▲70세 이상 여성과 80세 이상 남성의 경우, ▲키가 4cm이상 감소한 경우, ▲골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스테로이드를 장기간 복용한 경우에는 기존의 진단이나 증상이 전혀 없더라도 척추 골절 여부 확인을 위한 영상의학적 검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만약 골절이 동반됐거나 골절 발생 위험이 높은 경우라면 비록 골다공증에 해당하지 않는 골감소증이라고 하더라도 골절 예방을 위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이 단계에서 적극적인 관리를 하게 되면 골다공증으로의 진행을 늦출 수 있을 뿐 아니라, 골절의 발생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모든 골감소증의 환자가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주치의가 위험도를 기준으로 적절하게 치료 필요 여부를 판단해 결정해야 한다.
갱년기 전문가 1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개최된 금번 춘계학술대회에 대해 학회 총무부회장 황희진 교수(가톨릭관동의대, 국제성모병원 가정의학과)는 갱년기 심장혈관 및 뇌혈관 건강(혈압, 혈당, 지질, 비만), 뼈 건강(골감소증, 골다공증, 비타민 D), 근감소증에 대한 기능의학적 접근, 역류성 식도염 및 기능성 소화불량증, 그리고 성인 예방접종과 해외 여행시 미릴 챙길 백신 등 지속적이면서도 포괄적인 진료에 도움이 되는 주제들에 대한 깊은 논의가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대한갱년기학회는 2011년 국민 보건 향상과 건강 증진을 위한 의학 발전 및 학술 진흥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됐으며, 학술대회 및 워크숍을 통해 갱년기 건강 관리에 대한 연구, 교육, 진료 성과를 공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