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08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폐경 여성 위협하는 골다공증, “지속적인 치료 중요”

암젠코리아 프롤리아‧이베니티 미디어세션 성료


골다공증은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하면 작은 충격에도 심각한 골절을 겪을 수 있어 평생 관리가 필요하다. 때문에 골절위험에 따른 신속한 약제 선택과 장기적인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질환이다.

프롤리아, 이베니티 등 주요 골다공증 치료제들을 보유하고 있는 암젠코리아가 19일 미디어세션을 개최하고 국내 골다공증 치료 환경 변화와 치료 전략에 대해 소개했다.

먼저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김범준 교수가 ‘골다공증 골절 위험성과 장기 지속치료 중요성’에 대해 밝혔다.

김범준 교수는 “골밀도는 신체 노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자연 감소하며, 폐경기에 이르면 감소 속도가 10배 가속화된다. 따라서 골다공증은 진단 및 치료 이후 골밀도 수치가 일부 개선돼도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만성질환이지만 골다공증 지속 치료율은 당뇨병 등 다른 만성질환 대비 현저히 낮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골다공증으로 뼈가 약해져 있으면, 일상 속 작은 충격에도 골다공증 골절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골다공증 골절은 한 번 발생하면 독립적인 생활 능력과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재골절과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어, 골다공증 장기 지속 치료를 통한 노인 골절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범준 교수는 “그간 프롤리아를 비롯한 주요 골다공증 치료제의 국내 급여 기준은 T-score -2.5를 초과해 골밀도가 개선될 경우 급여가 중단돼 환자들이 치료를 지속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지난 5월부터 추적 검사 T-score -2.5 초과 -2.0 이하 범위까지 최대 2년간 추가로 급여 기간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여러 치료를 통해 골밀도가 증가할수록 골절 위험이 유의하게 감소함이 확인된 바 있고 국내·외 유관 학회와 전문가 역시 골다공증 골절 위험 최소화를 위해 T-score -2.0 이상의 치료 목표를 설정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김범준 교수는 “장기임상 연구는 물론 최근 미국 건강보험 데이터 기반 대규모 장기 리얼월드 연구에서도 지속 치료 시 타 치료제 대비 더 높은 골절 위험 감소 효과를 보인 만큼, 프롤리아 등 오랜 기간 지속적인 골밀도 개선 효과가 입증된 치료제의 급여 기간 확대가 실질적인 골다공증 장기 지속 치료 환경 조성과 골절 예방으로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강남세브란스병원 척추 정형외과 이병호 교수가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과 최적의 치료 전략’에 대해 공유했다. 

이병호 교수는 “국내 골다공증 골절의 발생 건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골절을 겪고도 1년 내 골다공증 약물 치료를 받는 환자는 35.5%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한 연구 사례를 토대로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 후 1~2년 이내에 새로운 골절을 경험할 확률은 5배 높아지며, 고관절 골절과 척추 골절 후 1년 내 사망률은 각각 약 30%, 약 22%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골절 위험이 매우 높은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은 약물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이 교수는 “최근 골절이 있거나 T-score -3.0 미만에 해당하는 등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은 향후 수년 이내에 골절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효과적이고 신속한 치료가 필요한데, AACE/ACE, 대한골대사학회 진료지침 등에서는 이를 빠르게 달성할 수 있는 골형성촉진제를 1차 치료제로 권고한다”고 설명했다.

또 “이베니티는 FRAME과 ARCH 연구에서 위약 및 알렌드로네이트 대비 유의미한 척추 골절 위험 감소 효과를 보였고, FRAME post-hoc 분석(라틴 아메리카 지역 제외)과 ARCH 임상에서는 비척추 골절 위험도 유의하게 개선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골형성촉진제 이후 골흡수억제제로 순차 치료하는 것이 그 반대의 경우보다 더 효과적이었다”며 골절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 골형성촉진제 우선 치료가 중요한 점을 강조했으며, “이베니티로 얻은 치료 효과(Foundational effect)를 유지하기 위한 프롤리아와 같은 골흡수억제제 후속 치료가 필수적이다”고 전했다.

한편 프롤리아는 기존에는 T-score -2.5를 초과하면 더이상 급여를 받을 수 없었다. 그러나 5월부터 골다공증에 대한 약물치료 후에도 골밀도가 -2.5 초과 -2.0 이하인 골다공증 환자에게도 최대 2년 간 4회까지 지속 투여할 수 있도록 급여가 확대됐다. 

해당 2년 간의 치료 기간 내에서는 프롤리아, 라록시펜, 바제독시펜, 비스포스포네이트 개별 성분 사이의 교체투여도 가능하며, 추적검사 시 T-score가 -2.5 이하에 해당한다면 기존 급여 기준과 동일하게 약제 투여가 계속 필요한 경우 계속해서 골다공증 약제에 대한 급여 인정을 받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적검사에서도 T-score가 동일 범위 내로 확인된다면 1년 더 추가로 급여 처방이 가능하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