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1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정책

의사과학자 양성, ‘연구중심의대’ 선정해 전주기적으로 지원해야

‘의사과학자 왜, 얼마나 필요한가?’ 토론회 개최
신찬수 이사장 “양성한 의사과학자를 유지할 수 있는 토대도 마련돼야”

의사과학자 육성 방안으로 연구중심의대 선정 및 집중 지원 방안과 R&D 예산 확충, 개인 지원 사업 병행, 의대-과기특성화대 콘소시엄, 의대 교육과정 혁신 등 다양한 방안들이 제안됐다.

한국과학기자협회가 주최·주관하는 ‘2023 과학기자대회’가 7월 11일 오후 1시 한국과학기술회관 1관 지하 1층 국제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날 진행된 프로그램 중 세션1에서는 ‘의사과학자 왜, 얼마나 필요한가?’를 주제로 하는 토론회가 진행됐다.



해당 토론회에서 신찬수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이사장은 미국에서는 학부생부터 의사과학자가 될 때까지 촘촘이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전주기적으로 의사과학자 양성을 지원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현행 보건복지부의 프로그램의 경우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해 ▲학부생 지원 ▲전공의 지원 ▲전일제 박사 지원 ▲디딤돌 사업 ▲심화지원 사업 ▲신진연구자 지원사업 등 다양하게 있는데, 프로그램마다 지원 대상이 개인, 기관 등으로 분절화돼 있어 효율적으로 파악 및 지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에 신 이사장은 효율적인 의사과학자 양성 방안으로 기존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40개 중 연구 역량을 가진 의대·의전원 5~15곳을 선정해서 집중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의대·의전원 3~5곳에서 전주기적으로 의사과학자를 지원(1유형)하도록 하고, 나머지 의대·의전원들도 2유형 및 3유형 형태로 의사과학자 양성을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또한, 신 이사장은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의사과학자를 양성할 수 없었던 이유 중 하나로 R&D 예산을 지목했다.

우선 미국의 R&D 예산의 경우 국방부 1230억불, 국립보건원(NIH) 450억불, 국립과학재단(NSF) 88억불, 항공우주국(NASA) 76억불 등으로 예산을 편성·집행되고 있음을 설명했다.

반면에 우리나라에서는 보건복지부 R&D 예산은 1.3조원으로 미국이 한화로 계산하면 58.2조원(2023년 7월 11일 기준)과 비교하면 빈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예산 비중도 미국에서는 보건의료에 집중을 한다면 우리나라에서는 보건복지부 대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R&D 비중이 압도적으로 컸는데, 이에 대해 신 이사장은 “제약·바이오 및 메디컬 부문에 대한 투자가 얼마나 빈약한지를 잘 알 수 있다”라고 꼬집었다.

이와 함께 과기부 내 차관급 인사가 책임지는 과학기술혁신본부에서 전 부처 정부 R&D를 총괄 조정하는 구조로 인해 과기부 이외의 R&D의 싹을 틔우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음도 덧붙였다.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의과대학 대학원의 혁신 필요성도 제기됐다. 기존과 다른 혁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신 이사장은 “의학과에 있는 기초의학 전공과 임상의학 전공은 학부생 교육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점 때문에 10여년 전부터 의과학과(의생명과학과)를 만들어서 첨단의학연구를 하고 있는 대학이 생겨나고 있다”라고 현재 추세를 전했다.

이어 “연구 중심 의대에서는 의과학과(의생명과학과)의 교수·학생 정원 확보 및 연구 인프라를 지원해서 선도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무엇보다 신 이사장은 기존 의과대학을 활용하는 연구중심의대 사업은 의과대학 자체가 종합대학에 소속돼 있어 종합대학 안에 있는 ▲공과대학 ▲자연과학대학 ▲보건대학원 ▲데이터사이언스 학과 등과 다학제적 공동 학위 프로그램 등을 통한 융복합 연구가 가능하며, 학석사나 학석박사 통합과정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을 강조했다.

의사과학자를 희망하는 개인을 위한 지원 사업도 제안됐다.

이는 의사과학자가 되고 싶은 사람 중 개인의 능력과 역량 및 동기 등이 모두 있지만, 본인이 속해있는 의대 등이 연구중심의대에 선정되지 못해 의사과학자 교육 등을 효과적으로 받을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으로, 의사과학자가 되고 싶은 개인을 위한 지원사업도 병행돼야 함을 제언했다.

의과대학과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콘소시엄 사업도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한 방안으로 제안됐다.

신 이사장은 대표적인 참고 사례로 미국의 하버드 의대와 MIT 공대가 협력하는 HST 프로그램을 소개하며, “우리나라에 있는 5곳의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이 연계해 공동 커리큘럼 및 공동 학위를 인정하는 콘소시엄사업을 통해 의사과학자 양성에 있어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라고 견해를 밝혔다.

의사과학자 양성에 걸림돌이 되는 ‘병역’ 문제에 대한 해결책에 대한 요청도 제기됐다.

긴 임상 수련 등의 과정을 거치고도 국방의 의무를 위해 군의관이나 공중보건의사 형태로 3년간 군 복무를 수행해야 하는데, 일반 사병의 군 복무 기간은 절반 수준인 18개월에 불과해 의대생 등에게 불리하므로 軍전문연구요원 제도 등을 통해 의사과학자 양성에 힘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신 이사장은 주장했다.



의사과학자 양성 정책과 함께 육성한 의사과학자를 어떻게 지켜낼 것인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신 이사장은 “독립적인 의사과학자로 성장을 한 후에도 경제적 어려움과 연구비 수주 어려움 등으로 의사과학자를 도중에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라고 지적했다.

이는 미국도 마찬가지로, 신 이사장은 미국에서도 100명이 의사과학자가 되고 싶어 들어오더라도 단계를 거쳐가면서 계속 빠져나가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음을 강조하며, 의사과학자 육성 정책보다 양성한 의사과학자를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가 더 중요함을 꼬집었다.

끝으로 신 이사장은 연구석좌교수나 신진연구교수(가칭) 등을 만들어 최소한의 진료(25%)와 연구(75%)를 병행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고, ▲신분 안정 ▲안정적 연봉 ▲연구비 수혜 등을 통해 의사과학자와 의사과학자를 희망하는 사람들이 안정적으로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함을 조언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