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크레스토, LDL/HDL-C 통합적 지질관리에 안성맞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ENCORE SEOUL 2007 심포지움 크레스토 세션 발표

한국아스트라제네카는 지난 8일, 서울 그랜드 힐튼 호텔에서 대한순환기학회와 중재시술학회 후원으로 개최된 ENCORE(Endovascular & Coronary Revascularization) SEOUL 2007 심포지엄에서 크레스토 런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런천 심포지엄은 서울대병원 오병희 교수가 좌장을 맡고, 세계적인 심장의학 권위자인 캐나다 달후지 대학(Dalhousie University)의 조나단 하울렛(Jonathan G. Howlett) 박사가 연자로 참석해 ‘HDL 콜레스테롤과 관상동맥경화의 퇴행에 있어서의 스타틴(Statin,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Regression of Coronary Atherosclerosis)’을 주제로, 스타틴 치료 효과에 대한 최신 지견을 국내외 심혈관 전문의들과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하울렛 박사는 높은 LDL-C 뿐만 아니라 낮은 HDL-C, 흡연 인구가 많은 한국의 경우, 동맥경화 진행 위험이 높고, 이로 인한 죽상혈전증의 위험이 증가해 심혈관 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을 수 있음을 경고했다.

하지만 이는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며, 심혈관 질환의 효과적인 예방과 치료를 위해 적극적인 스타틴 치료를 기반으로 하여, 최적의 치료 방법을 찾아 효과를 분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를 위해 보다 진보된 조영 기술 방식이 필요하며, 이를 반영한 최신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가장 대표적인 것이 CIMT(Carotid artery Intima Media Thickness, 경동맥 내막 비후도)를 활용한 최장 기간, 최대 규모 연구인 크레스토의 METEOR 연구”라며, “METEOR 연구를 통해 크레스토의 초기 죽상동맥경화의 진행 억제 효과가 입증되면서 예방적 차원에서의 보다 적극적이고 강력한 스타틴 치료가 지니는 가치를 다시금 확인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덧붙여 “이미 IVUS(Intravascular Ultrasound, 혈관 내 초음파 진단)를 활용해 대규모 연구에서 최초로 혈관 내 플라크 감소 및 동맥경화 퇴행 효과를 입증했던 ASTEROID 연구 또한 강력한 스타틴 치료의 필요성을 지지하는 대표적인 연구”라고 말했다.

반면 하울렛 박사는 “강력한 스타틴 치료의 이점들이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럽에서 조차 고지혈증 환자 중 39% 이상이 치료를 받지 않고 있으며, 치료를 받는 환자 중 상당 수가 목표 수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더욱 강력한 스타틴 치료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했다.

이어서 그는 “크레스토는 전 용량에 있어 LDL-C를 53% 이상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HDL-C을 8% 이상 높임으로서 총 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통합적인 지질 관리에 적합한 약제”라고 소개했다.

한국아스트라제네카 의학부 최현아 이사(내과 전문의)는 “여러 개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 있어 강력한 스타틴 치료로 기대할 수 있는 LDL/HDL-C 통합적 지질 관리의 중요성은 이미 화두가 되어왔다”며, “앞으로도 이와 관련된 국내외 최신 지견들을 공유하는 자리를 적극적으로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죽상동맥경화는 동맥 내벽에 지방질이나 섬유질이 축적되어 동맥 내벽에 플라크를 형성함으로써 발생하게 된다. 플라크가 축적되면 동맥벽이 좁아져 심장과 뇌 같은 중요한 기관에 혈액 공급이 줄어들고 협심증 및 일과성허혈발작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혈전이 형성 되어 혈액 순환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면 심장마비, 뇌졸중 등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죽상동맥경화는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질환이며 심혈관 질환의 주요 원인이자 세계적인 사망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크레스토는 고위험 관상동맥질환 환자를 포함한 관상동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한 ASTEROID 연구를 시작으로, 관상동맥질환 위험이 낮은 초기 환자를 대상으로 한 METEOR까지, 죽상동맥경화에 대한 일련의 연구를 진행해왔다.

최근 ASTEROID를 포함한 4개(METEOR, ORION, ASTEROID, COSMOS)의 전향적 연구 결과를 종합한 독립 후향 분석에서 LDL-C를 감소시키고 HDL-C를 7.5% 이상 증가시킬 경우 죽상동맥경화에 있어 유익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현재 크레스토는 이중 3개의 연구결과 분석을 토대로 2007년 1월, 유럽연합 및 미국허가당국에 죽상동맥경화 적응증에 대한 서류를 제출했다. 이를 통해 크레스토의 사용범위를 지질감소 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에게 죽상동맥경화 치료까지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