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정책

국민 정신건강 트렌드 모니터링, IT 활용한 ‘실시간·미래형 정신건강 대응체계’ 모색

SNS 흔적 분석 활용 실시간 정신건강 대응체계, 2차년도 연구중… 개인데이터 접근성 확보 등 과제 있어
서강대 신문방송학과-컴퓨터공학과, 고대 정신건강의학과, ㈜액스콘 융복합 R&D 성과 발표

기존의 사후 대응이 아닌, SNS 등 미디어 흔적을 통해 실시간으로 국민의 정신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대응하는 체계가 연구되고 있다.

지난해 7월부터 진행된, 정부의 정신건강정책 혁신방안 발표에 따른 국민 정신건강 미래형 대응체계 마련을 위한 ‘국민 정신건강 트렌드 모니터링·관리 플랫폼 개발’ R&D 연구 성과가 공유됐다.

신현영 의원실과 헬스커뮤니케이션 전문회사 ㈜하우즈커뮤니케이션앤컨설팅 주최로 ‘국민 정신건강 개선과 IT의 역할’ 토론회가 12월 26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 열렸다.


해당 연구는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유현재 교수, 고려대 정신건강의학과 한창수·김준형·이승훈 교수, 서강대 컴퓨터공학과 양지훈·박성용 교수, 대구가톨릭대 미디어영상광고홍보학부 민병운 교수,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임유진 겸임교수와 산업계인 ㈜액스콘 최기석 CTO 등 다수 연구진이 참여한 초연결시대 맞춤형 융복합 연구다.

토론회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진행 과정, 연구에 사용된 기술에 대한 발표에 이어, 한계점 및 발전 방향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연구책임자인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유현재 교수는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20년째 자살률 1위를 기록하고 있지만, 현재는 정기적 통계를 바탕으로 사후 대응만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상시적·실시간 정신건강 대응체계를 마련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됐다”고 말했다.

유현재 교수는 “정신건강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문제이며, 조기발견과 적기치료를 통해 경제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 정신질환은 7번째로 질병 부담이 높은 항목”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총 5개년 연구계획 중 2차년도를 맞은 올해 ‘정신건강 키워드 도출 및 정신건강 파일럿 모니터링 및 검증’을 시행 중이다. 최근 12월에는 ‘2023년 사회적 이슈와 국민 정신건강의 연관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남녀 및 다양한 연령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기도 했다. 

실시간 정신건강 대응체계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은 ‘감정분류모델에 기반한 SNS 미디어 분석’이다. 연구팀은 국민의 정신건강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유튜브와 뉴스 데이터 분석을 진행했으며, 78가지 정신질환에 대한 3년치 통계 데이터 또한 분석했다.


㈜액스콘 최기석 대표는 “초창기에는 트위터 데이터를 사용하려고 했으나, 데이터 유료화 정책으로 인해 네이버 등을 찾다가 현재는 유튜브 데이터에 집중하고 있다. 유튜브 뉴스 댓글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연구참여자인 고려대 정신건강의학과 한창수 교수는 “현대 사회에서 질환으로 분류되지 않는 무기력증, 효율 저하, 분노감을 다루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런 시스템을 바탕으로 내 감정이 무엇인지 국민들 개개인이 판단할 수 있게 해주고, 이성적으로 통합된 반응을 보일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사회와 국가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고대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주현 교수는 “현재는 아주 기초적인 질문을 해결해나가는 수준이다. SNS를 보건의료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는가? 어떤 사건·재난에 실제적으로 반응하는가? 등이다. 미세먼지 데이터가 공유됨으로써 호흡기 질환 외에도 정신질환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들이 가능해진 것처럼, 구축된 모니터링 데이터가 향후 많은 연구에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향후 이 연구를 통해 플랫폼이 구축된다면 그것을 운영하고 사용하는 것은 국가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연구에서 가장 어려움을 겪는 부분은 ‘데이터 확보’이기 때문이다. 현재로서는 개인정보보호법을 근거로 SNS나 포털 사이트 등 민간 기업이 소유한 개인 데이터를 연구에 활용하는 것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한편 데이터 접근성과 운영에서 국가가 민간 기업에 비해 플랫폼 운영에서 자유롭지만, 모니터링을 통해 국가가 어디까지 개입할 것인지도 문제다. 


보건복지부 전명숙 정신건강정책과장은 “코로나19 이후 국내 정신건강질환 수진자 수가 400만 명을 넘어섰다. 정신건강 질환 치료를 금기시하던 인식이 바뀐 것과 별개로 국민 정신건강에 악영향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명숙 과장은 “과거 기초생활수급자 자살 사건 때 위기 가구를 예측하는 시스템을 만들자고 해, 현장 사회복지사들로부터 반발을 듣기도 했다. 가난하다고 해서 늘 문제가 있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정신건강의 접근에 있어서도 이 부분이 조심스럽지만, 자살 가능성 예측 등 구체적으로 활용 가능한 방법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연구책임자 유현재 교수 등 연구팀은 “현재의 높은 자살률 등 정신건강 문제는 정부가 큰 폭으로 개입하지 않으면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있다. 심각성을 인지한다면 데이터에 대한 연구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기술적 발전을 위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