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학술/학회

이번엔 소화기내과 붕괴?…“지방에 분과 전문의 없을수도”

복지부, 지방의 소화기내과 분과 전문의 현황도 파악 못해
이현웅 교육이사 “지역 병원 협력 네트워크 구축·소화기 응급진료 인증제 도입 등 필요”

최근 수 년간 필수의료가 뜨거운 감자로 부상해 필수의료 개선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논의·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소화기내과에서도 분과 전문의 수가 지방을 중심으로 급감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와 함께 보건의료 분야를 컨트롤해야 하는 보건복지부조차 아직까지 지방에 어떤 분과의 전문의가 몇 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어떤 소화기내과 관련 응급환자들이 응급실을 내원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드러나 이에 대한 대책 마련도 필요해 보인다.

대한소화기학회가 주최하는 2023 대한민국 소화기질환주간(KDDW 2023) 국제학술대회가 16일 서울 그랜드 워커힐호텔에서 개최됐다.

이날 대한소화기학회 이현웅 교육이사(연세의대 강남세브란스병원 교수)는 ‘소화기내과 응급 및 고난이도 치료의 실제 현장 현황’을 발제하며, 소화기 분과 전문의 수가 급감하고 있는 것에 대한 심각성을 강조했다.

이 이사는 “현재 의대 교수들이 업무 강도는 밤 당직과 연구는커녕 진료에만 매달려야 할 정도로 높아진 반면, 급여는 낮고, 교수직을 바라보는 사회적 분위기가 바뀌면서 자부심과 명예로 버텨왔던 교수들이 자괴감을 느끼면서 연쇄적으로 이탈하고 있다”라고 현실을 전했다.

특히, 병원에서 중추적인 역할로 활발히 연구와 진료를 해야 하는 40~50대 초반의 교수가 사라졌으며, 조만간 지방 의대에서 소화기내과 교수가 없어질 수도 있음을 우려했다.

그 근거로 소화기 분과 전문의 응시율 변화 추세가 발표됐는데, 이 이사에 따르면 2015년까지만 해도 202명으로 200여명이 넘었던 소화기내과 분과 전문의 수는 2016년부터 153명으로 떨어지더니 2020년까지 130~140명대를 유지하다가 2021년 120명으로 줄어들었으며, 2022년 139명으로 잠깐 반등했다가 2023년에는 97명으로 100명 밑으로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 함께 이 이사는 지방은 소화기 분과 전문의 수급 환경이 심각한 상황으로 지역 간 소화기 분과 분야 응급의료 접근성에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지방 인구가 감소하면서 환자가 없어도 24시간 대기해야 하는 응급의료 특성상 소화기 분과 전문의 인력 운영 유지가 어려워 지방 응급의료기관 내 소화기 분과 전문의 수가 급감하고 있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이 이사는 분과전문의 1인당 치료 건수 현황을 공개했는데,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분과 전문의 1인당 고난이도 진료를 특별시·광역시 등의 도심보다 도 단위의 지방의 전문의가 1.3배~2.2배 더 많이 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진료항목별로는 ▲정맥류출혈은 도심 33.2건과 지방 42.3건으로 지방이 도심보다 1.3배 ▲상부위장관 출혈은 도심 59.5건과 지방 120건으로 지방이 도심보다 2배 ▲상부위장관 이물 제거는 도심 16.4건과 지방 36건으로 지방이 도심보다 2.2배 ▲하부위장관 출혈은 도심 23.4건과 지방 38.4건으로 지방이 도심보다 1.6배 더 많이 보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부위장관 이물 제거는 도심 1.0건과 지방 1.3건으로 지방이 도심보다 1.3배 ▲췌담도내시경은 도심 187.9건과 지방 285.3건으로 지방이 도심보다 1.5배 ▲상부위장관 내시경 점막절제는 도심 11건과 지방 14건으로 지방이 도심보다 1.3배 더 많은 진료량을 보여줬다.

더불어 ▲상부위장관 내시경 점막하절제는 도심 64건과 지방 97건으로 지방이 도심보다 1.5배 ▲하부위장관 내시경 점막절제는 도심 235건과 지방 309건으로 지방이 도심보다 1.3배 진료량이 더 많았다.

이어 ▲하부위장관 내시경 점막하절제는 도심 17건과 지방 34건으로 지방이 도심보다 2배 ▲하부위장관 용종절제술은 도심 646건과 지방 840건으로 지방이 도심보다 1.3배 순으로 지방이 도심보다 더 많이 진료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이 이사는 지방의 경우 인구 대비 소화기 응급의료서비스의 공급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므로 인구 증감 및 의료자원의 분포 등 지역별 특성을 고려해 도시와 취약지 간의 구분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

또, 응급의료기관 지정기준을 소화기질환의 시술·입원 등 최종 치료역량까지 포괄하도록 개정하는 것을 비롯해 ▲상급종합병원 지정기준 및 의료질 평가항목으로 확대 반영 ▲최종 진료가 가능한 소화기 분과 전문의 고용 강화 ▲소화기 응급진료 전문센터 인증제 도입 ▲수가 및 보조금 지원 등을 통해 응급의료기관 단계별 최종치료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지역 내 병원 간 순환당직제(요일별 당번 병원제) ▲응급환자 전원 조정을 위한 협진에 대한 건강보험 보상 확대 ▲종합상황판과 응급전원협진망 등 전산시스템 활용도를 강화해 전원과정 효율성 증대 ▲응급의료기관 간 협력을 유도하는 지역 내 네트워크 단위 평가 및 보상 추진 등을 통해 지역 내 병원 간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함을 덧붙였다.

다만, 이 이사는 질의응답 시간에서 응급의료기관·상급종합병원 지정기준 개선과 소화기 응급진료 전문센터 인증제 도입과 관련해 최소 인력기준은 어느 수준 이상은 충족하는 방향으로 생각·논의 중인지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는데, 그 이유는 지방마다 어느 병원에 어떤 소화기 분과 전문의가 몇 명이 있는지에 대해 파악조차 되지 않기 때문이었다.

더 심각한 것은 보건복지부 의료인력정책과 또한 각 지방 및 병원별로 어떤 소화기내과 분과 전문의가 몇 명이 있는 지에 대한 현황조차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와 응급실을 내원하는 응급환자 중 소화기내과 관련 환자가 어떻게 분포하고 있는지에 대한 데이터 자체가 없어 파악이 불가능하다는 것에 있다.

이에 대해 이 이사는 “앞으로 최소한 1~2년 동안은 각 지역별 및 병원별로 어떤 분과의 소화기내과 전문의가 몇 명이 있는지에 대한 조사를 펼치는 것이 선행될 필요가 있으며, 이후 각 지역별로 필요한 소화기내과 분과 전문의를 파악해 적정 수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의견을 밝혔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