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0.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상위 의약품 지각변동…‘타그리소’ 4위 안착

1분기 원외처방 실적 분석 결과, TOP50 제품 1조원 돌파


1분기부터 주요 제품들이 원외처방 누계가 1조원을 돌파하며 순항을 하고 있다. 특히 상위권 의약품에서 지각변동이 일어났다.

 

케이캡이 로수젯을 맹추격하고 있는 가운데, 리피토는 3위를 차지하며 케이캡에 순위를 내준 것. 또 타그리소가 크게 성장하며 4위로 안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를 통해 2025 1분기 상위 50위 이내의 제품들의 원외처방 실적을 분석한 결과, 총 합계는 2024 1분기 9981억원에서 2025 1분기 1 732억원으로 7.5% 증가했다.

 

상위 5개 제품을 살펴보면 한미약품의 로수젯 2024 1분기 488억원에서 2025 1분기 52억원으로 11% 증가했고, HK이노엔의 케이캡452억원에서 514억원으로 13.7% 증가했다.

 

비아트리스의 리피토 2024 1분기 469억원에서 2025 1분기 447억원으로 4.5% 감소한 가운데,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 2024 1분기 279억원에서 2025 1분기 429억원으로 53.7% 확대됐다. 또 대웅바이오의 글리아타민 381억원에서 422억원으로 10.9% 증가했다.

 

타그리소가 순위권에 진입한 만큼, 또 다른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인 유한양행의 렉라자도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4 1분기 89억원에 그쳤지만 2025 1분기 176억원으로 원외처방이 96.2% 증가해 주요 제품들 중에서는 가장 높은 성장세를 그리고 있다.

 

이와 함께 릴리의 트루리시티도 원외처방액이 2024 1분기 70억원에서 12025 1분기 120억원으로 70.5% 확대하며 1년 사이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타그리소와 트루리시티 외에도 원외처방이 20% 이상 증가한 제품들이 다수 눈에 띄고 있다. 같은 기간 동안 JW중외제약의 리바로젯 205억원에서 261억원으로 27.4%, 대웅제약의 펙수클루 169억원에서 214억원으로 26.3%, 베링거인겔하임의 자디앙 153억원에서 189억원으로 23.7% 확대됐다.

 

반면에 상위 50개 제품 중 원외처방액이 감소한 제품들도 10개 이상 있었다. 대표적으로 BMS엘리퀴스 192억원에서 135억원으로 29.8%, 베링거인겔하임의 타라젠타듀오 145억원에서 118억원으로 18.9% 축소됐다.

 

또 대원제약의 펠루비 159억원에서 147억원으로 7.3%, 노바티스의 엑스포지 202억원에서 193억원으로 4.6%, 삼진제약의 플래리스 212억원에서 203억원으로 4%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