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의약품·의료기기 제조업체의 생산성과 품질경쟁력 강화를 위한 ‘부처협업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재)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대표 허경화, 이하 KIMCo재단)은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과 함께 2025년 부처협업형(의약품·의료기기 업종)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을 공고하고, 신규 과제를 모집한다고 5일 밝혔다.
이 사업은 의약품·의료기기 제조업체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글로벌 수준의 스마트 제조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추진된다. 특히 GMP(우수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기준) 기반의 스마트공장 모델을 확산하는 데 초점을 맞췄으며, 협업부처인 보건복지부(한국보건복지인재원)의 지원사업(바이오헬스 전문인력 양성 기반 구축 사업,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사업)과 연계하여 GMP 스마트공장 운영에 필요한 전문 인력 양성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원 대상은 의약품 및 의료기기 제조업을 영위하는 중소·중견기업으로, 기존 제조공정을 스마트공장 기반으로 고도화하고자 하는 기업이 신청할 수 있다. 지원금은 기업당 최대 2억 원으로, 지원과제는 15개 내외이다. IoT, 5G, 빅데이터, AR·VR, AI, 클라우드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 및 구축에 필요한 자동화 설비·제어기·센서 등 도입을 지원하며 기존 시스템의 고도화 및 연계시스템의 추가 구축·연동을 위한 지원도 포함된다.
주요 지원내용으로는 ▲설계기반 품질고도화(QbD) 시스템 구축(데이터 분석 장비, 자동화 소프트웨어 등) ▲스마트공장 운영 최적화를 위한 AI·빅데이터 활용 ▲GMP 환경의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구축(온도, 습도, 압력 등) ▲의약품 품질관리 및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 도입 ▲클라우드 기반의 문서관리 시스템 적용 등이 있다.
사업 유형은 구축 수준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된다. 구축 목표를 중간1 수준 이상으로 하여, 고도화(수준 향상) 유형의 경우 사업기간은 9개월, 정부지원금은 기업당 최대 2억원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고도화(동일 수준) 유형의 경우 사업기간 6개월 동안 기업당 최대 5천만 원을 지원받는다.
접수기간은 2025년 2월 14일부터 3월 14일 17시까지이며, 신청은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에서 가능하다. 자세한 사업 내용 및 신청 방법은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문의는 KIMCo재단 사업 담당 부서(02-6247-0914)로 하면 된다.
KIMCo재단 관계자는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국내 의약품 및 의료기기 업종의 스마트공장 보급이 확대되고, GMP 스마트공장 운영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함으로써 중소·중견 기업의 경쟁력이 강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