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고령 환자라도 암이나 심장 수술 등 고난도 수술 치료가 가능한 가운데, 80세 이상 환자의 척추수술 안전성을 규명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은 정형외과 방청원(제1저자)·김영훈(교신저자) 교수 연구팀이 65세 이상의 척추 수술 환자 2056명 중에서 퇴행성 요천추 질환에 대해 척추유합술을 받은 환자 400명을 조사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고령 환자의 수술을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연령 요인에 초점을 맞춰 성향점수매칭 기법을 사용해 80대 환자 49명과 65세~79세 환자 49명을 선별해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수술 전과 수술 후 통증 정도를 척도로 나타내는 VAS(visual analogue score)나 요통장애 지수 ODI(oswestry disability index) 뿐만 아니라 수술 후 주요 합병증 발생률에서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방청원 제1저자는 “ 본 연구에서 조사해보니 80세 이상의 고령 환자가 척추 유합술을 받더라도 입원 기간이나 비용, 수술 후 3개월 내 사망률 등을 포함한 모든 주요 지표에서 안정적이었으므로, 의사들이 더 고민해서 준비하고 최신 기술이 접목된 척추 수술을 적절하게 행한다면 척추 수술에서 고령의 나이는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요소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김영훈 교수는 “80세 이상의 환자라도 기저질환의 관리와 수술 계획을 잘한다면 큰 합병증 없이 잘 회복될 수 있음을 이번 연구로 확인한 만큼, 수술에 대한 부담감이 높은 고령 환자들이라도 면밀하게 평가하고 척추 수술을 계획한다면 척추 질환으로 인한 고통에서 해방되면서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일수 있을 것” 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미국, Global Spine Journal)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