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 직후 성장 상태에 따라 초극소저출생체중아의 장기적인 뇌신경 발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은 소아청소년과 김세연 교수(제1저자)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이경 교수(교신저자) 연구팀이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3일 밝혔다.
먼저 연구팀은 초극소저출생체중아(출생시 체중이 1000g 미만인 환아)가 통상 신경발달장애 위험에 노출될 위험이 높으며 출생 후 신생아중환자실에서 퇴원하기까지 성장 패턴이 장기적인 뇌 발달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어, 초극소저출생체중아를 대상으로 인지 기능 발달과 함께 최신 기법의 뇌자기공명영상을 분석했다.
연구는 성장이 불량했던 미숙아 출생 아동 21명, 성장이 양호해던 미숙아 출생 아동 17명, 만삭 출생 후 정상 발달 중인 44명의 초기 학동기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지능검사, 실행능력검사, 주의력 검사 및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과 확산 텐서 영상 검사를 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그 결과, 성장이 불량했던 미숙아 출생 아동은 성장 양호 아동보다 주의력이 불량했고 확산 텐서 영상에서 뇌량 등 특정 부위에서 미성숙한 패턴을 보였으며, 휴지기 기능적 뇌자기공명영상에서 기능적 연결 강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팀은 초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뇌량의 후측 부위 (forceps major)와 상두정엽 (superior parietal lobule)가 취약했으며, 이는 출생 직후 성장 상태가 뇌 취약 부위의 장기적인 발달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했다.
김세연 교수(제1저자)는 “이번 연구는 최신 영상 기법을 활용하여 초극소저출생체중아의 뇌신경 발달 차이를 확인한 것으로, 성장이란 교정 가능한 인자가 향후 초극소저출생체중아의 장기 예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찾는 기초가 되는 결과를 도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의학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 국제학술지 ‘자마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IF 13.37)’ 2023년 3월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