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리스크 하이리턴’으로 대변되는 제약산업에서 리크스는 더욱 커지고, 리턴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R&D 비용의 증가와 높아진 신약 허가심사 기준, 그리고 낮은 시장성공률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이런 위험은 신약 개발의 효율성 증대라는 고민으로 이어졌고, 글로벌 제약사들은 AI에서 해답을 찾고 있다.
헬스케어 정보기업 Deep Knowledge Analytics는 최근 이런 내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를 바탕으로 1편에서는 제약업계에 닥친 어려움을 살펴보고, 2편에서는 글로벌 제약사와 AI업체의 협력 현황을 알아본다. 3편에서는 이런 변화에 대응하는 국내상황을 조명하고, 한계를 진단해본다. [편집자 주]
신약개발을 위한 과정은 험난해지고, 보상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글로벌 제약계는 AI벤처를 찾고 있다. 다국적 제약사들도 이런 흐름에 동승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AI를 도입한 일부 제약사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다. 화이자는 당기순이익이 3배 가까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 GSK∙MSD∙화이자∙바이엘 등 빅파마,
신약후보물질 발굴 등에서 AI 활용
헬스케어 정보기업 Deep Knowledge Analytics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AI벤처와 협력하고 있거나 활용하고 있는 다국적제약사는
GSK, MSD, 화이자, 베링거인겔하임, 바이엘, 존슨앤존슨, 로슈, 사노피, 노바티스, 아스트라제네카, 암젠, 아스텔라스, BMS 등이다.
구체적으로 GSK는 Insilico
Medicine, Exscientia, Cloud Pharmaceuticals 등 AI업체와
협력하고 있다. MSD는 CYCLICA∙Atomwise∙Numerate, 화이자는 Biovista∙XtalPi, 존슨앤존슨은 BenevolentAi 등과 계약을 맺었다. 로슈는 Exscientia, AiCure∙GNS HEALTHCARE, 아스트라제네카는 BERG, 바이엘은 GYLICA∙ATOMWISE∙AiCure와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들 다국적제약사는 모두 신약후보물질 발굴 분야에서 AI를 활용하고
있다. AI를 임상시험 분야에서도 적용한 기업은 암젠∙화이자∙바이엘∙노바티스
등이다. 바이오마커 발굴 분야에서는 GSK∙암젠∙아스텔라스∙사노피∙BMS, 다중약물학(Polypharmacology) 분야에서는 머크∙사노피 등이 AI를
이용하고 있다.
◇ AI 도입, 일부에서 긍정적 효과···화이자, 당기순이익 3배↑
이런 협력이 회사의 이익적인 측면에서는 어떻게 작용했을까. 당기순이익의
변화를 단순히 AI 활용 전후로 살펴보면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화이자는 2016년 AI를 도입했다. 당해 당기순이익은
72억 달러(약 8조원)였다. 이듬해 이런 이익은 213억
달러(25조원)로 3배
가까이 늘었고, 2018년에는 111억 달러(13조원)를 기록했다.
아스텔라스 역시 2016년 AI를
도입했다. 당기순이익의 변화는 2016년 16억 달러에서 2017년 19억 달러(2조2000억원)로 증가했고, 2018년에는 15억 달러로 다소 감소했다.
2017년 AI를 도입한
제약사에서는 희비가 엇갈렸다. GSK의 당기순이익은 2017년 19억 달러에서 2018년 48억
달러(5조6000억원)로
늘었다. 반면 사노피의 당기순이익은 2017년 95억 달러(11조원)에서 2018년 50억 달러로 줄었다.
지난해부터 AI를 활용하기 시작한 암젠, 아스트라제네카, BMS, 릴리, 존슨앤존슨, 로슈, 머크 등은 아직 이익적인 측면이 확인되지 않았다.
◇ "AI벤처 최고 고객은 중국···중견제약사와의 협업 늘어날 것"
향후 AI벤처의 최고 고객이 될 국가로는 중국이 지목됐다.
Insilico Medicine의 CEO인 Alex Zhavoronkov 박사는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 정부는 혁신신약 개발을 목표로 제약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며
“이런 지원에 힘입어 중국 제약사들이 AI벤처를 활용하는
빈도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규모별로는 중견제약사가 AI벤처를 찾을 가능성이 컸다. 내부 R&D 역량 부족을 AI기술로 만회하려는 시도가 늘어날 것이란 견해다. 반면 예상과는 달리 빅파마는 AI벤처의
활용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유지할 것으로 평가했다.
Zhavoronkov 박사는 “빅파마는 매우
보수적”이라며 “그들이 협업 대상을 고려한다면, 아마도 제약사 출신 CEO가 운영하는 AI벤처일 것”이라고 풀이했다.
이와 함께 2019년은 AI벤처에
큰 투자가 이뤄지는 한 해가 될 것이란 예측도 내놨다. 이런 투자금을 바탕으로 AI벤처들이 역량 신장에 주력할 것이란 전망이다. 빅파마가
제안하는 파일럿 연구에 대한 참여는 저조할 것으로 분석했다. 성과 달성에 긴 시간이
소요되고 성공확률도 희박하기 때문이다.
Zhavoronkov 박사는 AI벤처 가운데
최고의 딜 메이커로 Exscientia을 꼽았다. Exscientia는
사노피, GSK, 로슈와 계약을 체결했다. 최근에는 세엘진과
항암제 및 자가면역질환치료제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Insilico Medicine은 AI신약개발 분야에서 가장 유망한 기업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신약후보물질 발굴과 화합물 생성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노화관련 질환 치료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