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항고혈압제 ‘디오반’, 동맥 경직도 완화에 효과

연구 결과, 디오반이 소실된 혈관 탄력 회복 효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디오반(성분명 발사르탄)이 고혈압 환자 및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동맥 경직도를 낮추어 준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동맥의 경직 현상은 자연적인 노화의 한 현상이지만, 고혈압 또는 당뇨병 환자의 경우에는 동맥의 경직이 가속화될 수 있다. 동맥 경직이 진행되면 환자의 뇌졸중, 심장마비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최근 유럽당뇨병학회(EASD,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Diabetes)에서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세계 1위 항고혈압제로 ARB(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계 항고혈압제인 디오반과 이뇨제를 병용할 경우 동맥 경직도가 완화되고, 고혈압과 당뇨로 인해 소실된 혈관 탄력성이 다소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오반은 칼슘 채널 차단제인 암로디핀에 비해 월등한 결과를 보였다.

이번 연구는 24주간에 걸친 디오반 치료(디오반-이뇨제)가 131명의 고혈압, 제2형 당뇨병, 미세알부민뇨 환자들의 대동맥파 속도(aortic pulse wave velocity, 동맥 경직의 척도) 및 알부민 배설률(albumin excretion rate, 신장 기능의 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암로디핀 치료와 비교 평가했다.

두 가지 약물은 수축기 혈압 감소에 있어서는 비슷한 효과를 보였지만, 디오반 치료군의 평균 대동맥파 속도(Ao-PWV)의 저하 효과가 암로디핀 치료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우수했다(-1.1 m/s, p= 0.001). 또한, 디오반 치료가 알부민 배설률을 35% 감소시킨 반면, 암로디핀 치료는 오히려 24% 증가시켰다(p=0.0004).

이번 연구의 책임 연구자인 런던 킹스 칼리지의 자나카 카랄리에드 박사는 “이번 연구로 입증된 디오반의 동맥 경직도 및 알부민뇨 완화 효과는 매우 고무적이며, 구체적인 심, 신장 보호 효과의 입증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동맥파속도는 맥압이 얼마나 빨리 동맥을 따라 이동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단위: 초당 미터). 60세 이하의 건강한 사람들의 경우 수치가 보통 8m/s 이하이지만, 동맥의 경직도가 높을수록 대동맥파속도는 상승한다. 대동맥파 속도가 1m/s 상승하면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39% 증가한다.

대동맥파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수치가 증가하며, 10년에 약 10-15% 증가한다. 대동맥파는 고혈압 환자의 심혈관 질환 위험 및 사망률을 예상할 수 있는 독립적 수치이기도 하다.

디오반의 효과는 지금까지 100,000명 이상의 환자가 참여한 여러 다양한 임상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대규모 임상연구인 VALUE, VALIANT, Val-HEF를 통해 여러 환자군에 대한 디오반의 혈압 강하 및 심장 보호 효과가 입증되었다. 최근 발표된 DROP 연구 또한 디오반이 제2형 당뇨 및 고혈압 환자의 단백뇨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준 바 있다.

한국노바티스 임상의학부 책임자 최종태 상무는 “고혈압 및 당뇨병 환자들은 심장 및 신장 질환의 발병 위험이 높으며, 따라서 가능한 최상의 장기보호작용을 필요로 한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각기 다른 환자군에서 디오반이 혈압 강하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뇌졸중 및 신규 당뇨병 발생 위험의 유의한 감소효과를 보이는 등 장기 보호 효과가 있다는 것에 또 하나의 결과를 추가하게 되었다.” 라고 말했다.

디오반은 강력한1차 고혈압 치료제로서 국내를 포함한 전세계 100여 개국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현재 90여 개국에서는 심부전 치료제로 추가 적응증 승인과 현재 70여 개국 이상에서 심근경색 후 환자의 사망위험성 감소에 대한 추가 적응증 승인을 받았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