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치료제 전문기업 하이(대표 김진우)는 지난 2월 18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하이 본사에서 AI기반 의료시스템 디지털 전환 지원 사업의 본격적 추진을 위한 개시 미팅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본 사업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의 정밀의료 SW 서비스 구축 지원 사업의 일환이다. 전국 주요 국립 공공병원의 디지털 헬스케어 보급과 활용을 통해, 의료 복지 수준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진행하고 있다. 하이는 2024년 4개의 의료기관에서 시범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올해는 그 규모와 기간을 확대해 시행할 예정이다.
본 실증 사업에 참여하기로 한 기관은 공공의료 기관은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병원과 국립재활원, 서울적십자병원 이상 8곳이다. 참여 기관은 제주도 지역의 병원도 추가될 예정이다.
하이는 현재 개발 중인 뇌졸중 후 언어재활 디지털 헬스케어 제품을 탑재한 태블릿형 제품을 참여기관에 제공한다. 참여기관에서는 대상자 모집 후 3개월 간 사용하고 사용자의 언어장애 개선정도 뿐만 아니라 병원 내에서의 디지털 헬스케어 활용의 개선 및 보완점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특히, 2년차 과제에는 수행 범위를 확대해, 뇌졸중 환자의 재발 위험성을 낮추는 연구도 함께 병행될 예정이다. 본 사업의 실증기간은 총 3개월이며 150명 이상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올 해 2분기부터 진행 예정이다.
본 사업의 실증을 주도하고 있는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권형민 교수는 “의료 현장에서 디지털 헬스케어를 활용해, 환자에게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 질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지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라며 “이번 실증 기회를 통해 의료기관과 환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사례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본 실증에 대한 의미를 설명했다.
하이의 김진우 대표이사는 “본 사업의 취지를 이해하고 주저 없이 참여해 주신 의료진께 감사 드린다”라며 “이번 대규모 실증을 통해 수집된 여러 사례와 개선점들이,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를 활용한 환자의 보편적 의료 복지를 향상시키는 데 상당히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본 사업에 대한 성공적 추진 의지를 피력했다.
하이는 국내 최고의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중 하나로, 2024년 중에 범불안장애 치료제인 엥자이렉스의 확증적 임상시험을 완료하고 식약처 품목허가 심사를 기다리고 있으며, 이외에도 치매 진단과 뇌졸중 후 마비말장애 치료제의 확증적 임상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