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바이오헬스혁신위, 2025년도 바이오헬스 R&D다부처 협업 예산 패키지 제안

첨단재생의료·데이터 AI 활용한 디지털 바이오헬스·감염병 백신 분야 대해 제안해

정부가 2025년도 바이오헬스 R&D 다부처 협업 추진방안을 마련했다.

정부는 6월 19일 한국형 ARPA-H 프로젝트 추진단 대회의실에서 ’제3차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를 개최했다.

바이오헬스혁신위에서는 5가지‘다부처 협업예산 패키지(안)’을 마련하여 부처 기획 - R&D 예산 심의 - 집행 전 과정에서 투자 공백을 사전에 막고 원활한 부처 간 협력을 이행해 줄 것을 제안했다.

바이오헬스혁신위는 ▲정부 주요 정책 ▲부처·단계별 연계 시급성 ▲사전적 규제 등 비R&D 정책의 중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협업 분야를 선정했다.

이어 협업 분야 내 부처별 2025년 R&D 예산 요구안을 바탕으로 다부처 연계와 공백 및 규제·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영역을 분석해 다부처 협업예산 패키지(안)을 마련했다.

바이오헬스혁신위에서 선정한 다부처 협업이 필요한 분야는 ▲첨단재생의료 ▲데이터·AI를 활용한 디지털 바이오헬스 ▲감염병 백신 분야 등이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CAR-X, TCR, TIL 등 면역세포 유전자치료제에 대해 원천기술부터 임상 진입 등을 위한 규제과학과 기술사업화 등을 전주기적으로 지원한다.

또한, DNA 서열의 변형 없이 그 외에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시키는 인자들의 집합인 후성 유전체 및 유전자 편집기술 등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 임상 진입, 규제과학, 기술사업화 등 유전자치료제 딥테크 연구개발 지원을 추진한다.

더불어 범부처 바이오헬스 데이터 구축 및 시스템 고도화와 보건의료데이터 통합·활용 플랫폼 마련으로 보건의료 데이터에 대한 수요자 중심 2차 활용 활성화 지원을 꾀한다.

이외에도 기존의 데이터를 학습해 새로운 텍스트·이미지·음악 등의 콘텐츠 생성·분석·추론하는 AI 모델인 생성형 AI를 바탕으로 보건의료 AI모델을 개발하고, AI 모델의 의료현장 활용을 위한 데이터 상호운용성과 융합인재 양성 등 종합 지원해 첨단의료 AI 헬스케어 토탈 솔루션을 마련한다.

아울러 넥스트 팬데믹 발생 시 100/200일 이내 신속하게 백신 등을 개발하기 위한 국산 mRNA 백신기술 확보 및 신속개발체계를 위한 기초·원천 기술부터 임상까지의 전주기 지원에 나선다.

바이오헬스혁신위 김영태 부위원장은 “다부처 협업예산 패키지를 통해 부처 간 분절된 R&D 투자구조를 타파하고, R&D 뿐 아니라 규제·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분야를 통합하여 R&D 성과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바이오헬스혁신위에서 의결된 안건은 국가 R&D 조정·배분 절차를 거쳐 ‘25년도 정부 예산안에 반영될 예정이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