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AI시대 의사는 인문학적 윤리학적 소양 갖춰야

복잡하고 빠르게 변하는 사회일수록 溫故知新 중요

최숙희 겸임교수(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인문사회의학과)5일 오후 이촌동 의협회관에서 열린 의료윤리연구회 제6차 정기총회에서 4대 회장으로 선출됐다. 최숙희 회장은 19802월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20128월 가톨릭대학교 생명대학원을 졸업했으며, 20133월부터 현재까지 가톨릭의과대학과 가톨릭생명대학원 겸임교수, 외래교수를 맡고 있다. / 메디포뉴스는 최숙희 의료윤리연구회 회장을 5일 만났다. 최숙희 회장으로부터 앞으로 윤리연구회 회장으로서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회무를 수행해 나갈 것인지 듣는 시간을 가졌다.

 

-의료윤리연구회 회장을 맡게 된 것을 축하드린다. 생명윤리를 공부하게 된 계기는?

 

산부인과전문의로서 뒤늦게 생명윤리를 대학원에서 연구했다. 산부인과의사라는 것은 태아와 산모 두 명의 생명을 다룬다. 그러다보면 딜레마에 많이 빠진다. 그래서 생명에 대해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가톨릭의대의 생명대학원에 들어가서 생명윤리를 공부했다. 의사 중 생명윤리학 박사 1호일 것이다.

 

-회장을 맡게 된 소감은?

 

사실 능력도 없고 회장을 해본 적도 없어서 고사했다. 하지만 앞으로 나오는 후배 의사들을 위해 맡게 됐다. 우리가 살았던 세대와 너무 다른 상황이다. 광고를 보면 3000년간 마차 사용했는데, 13년만에 자동차로 바뀌었다. 즉 인공지능이 상용화될 것이다. 의사의 역할이 달라져야 한다. 인공지능을 다루려면 알고리즘 짜는 것은 기본이고 더 많이 알아야 한다. 인문학적, 윤리학적 소양을 갖추지 않으면 앞으로 의사는 없어질 수 있는 직업 중 하나일 수 있다. 하지만 인간인 의사는 절대로 없어지지 않고 존재할 것이다. 환자 치료의 최종 단계에서는 결국 사람을 필요로 할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과제는 어떻게 매니지먼트 하느냐이다.

 

- 회장이 되기에 앞서 의료윤리연구회에서 지난 5년간 강의를 듣기도 하고, 또 강의를 하기도 하면서 느낀 점이 있다면?

 

지난 5년간 연구회 강의 들으면서 느낀 건데 이렇게 복잡하고 빠르게 변하는 사회일수록 온고지신(溫故知新)이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해외에서는 각 분야에서 온고지신을 통해 창조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터부시하는 분위기다. 그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다산의 실학사상을 연구하는 그룹이 있다. 스티브잡스가 괴짜기는 하지만 소크라테스를 만날 수 있다면 자신의 주식을 다 줘도 좋다고 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공지능이 의사를 대체한다는 얘기를 하지만, 인문학적 성찰, 지혜, 윤리적 판단 이런 것은 인간만 할 수 있다. 인간이 할 수 있는 것을 해야 디스토피아가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사는 의대생들이 알아야 할 것은 무엇인가?

 

학생들에게 생명윤리 강의할 때 모체는 의료윤리다. 의사-환자 간 의료윤리가 대세였다가 70년 이후부터 문학, 사회, 의과학 발전 등 생명이 하는 모든 것을 의사들이 알아야 하게 됐다. 생명윤리를 모르면 의사하기 힘들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앞으로 나오는 의사들은 더 공부할 것이 많고, 르네상스시대의 의사들처럼 다방면의 것을 알아야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의료윤리를 뛰어넘어 생명윤리까지 아는 의사를 지향하고, 그러려면 많은 공부를 해야 한다. 앞으로는 생명윤리를 아는 의사와 모르는 의사의 격차가 크게 벌어질 것이다. 그런 부분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한다.

 

- 의료윤리와 생명윤리의 차이를 말해줬는데 개원의들이 생명윤리까지 염두에 두기에는 어려운 것 같다.

 

작게 보면 윤리지만, 넓게 보면 우리가 접하는 상황들 즉 불임환자와 상담하다보면 호르몬 뇌하고 관계를 떠나서 직장생활 하면서 느끼는 스트레스 즉 기업문화이고, 기업의 생명윤리와 관계가 있는 것이다. 생명윤리라고 특별한 것은 아니다. 인간생명이 관여하는 모든 것에 생명윤리가 있는 것이다. 생명윤리는 분야가 너무 많다. 기업, 국가윤리 등이 모두 큰 카테고리에 들어가는 것이다. 시댁에서 받은 스트레스는 사회윤리에 들어가는 것이다.

 

- 주사기 재사용 등 임상현장에서의 비윤리적 문제들을 해소하려면?

 

쉬우면서도 어려운 얘기다. 평생교육을 의협에서 하려고 하는데, 그게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의사가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고, 나쁘게 말하면 알면서도 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을 받았다면 알면서 하는 일은 드물 것이다. 무의식적으로 그렇게 하는 것인데, 결국 교육이 필요한 이유다. 인문사회학 윤리 등 교육 받아야 한다. 의과대학을 졸업했다고 끝이 아니다.

 

- 최근 의과대학 교육 커리큘럼이나 패러다임에 변화가 있는지 궁금하다.

 

그 얘기는 꼭 하고 싶다. 가톨릭의과대학에서는 옵니버스 프로그램을 하고 있다. 인문사회 등 모든 것을 다 아울러 교육하고 있다. 영성 영혼과 같은 심층적인 것 까지 교육하고 있다. 시작한지 오래되지 않았지만, 조사 결과 기존 의사와 윤리의식 뿐 아니라 인문학적 소양 등에서 차별점이 있다는 논문도 있다. 환자를 대하는 매너도 달라질 수 있다. 공감능력을 키우기 힘든데, 교육을 받다보면 행위로 공감능력이 드러날 수 있다. 우리 학교 뿐 아니라 연대, 경희대 등 많은 학교에서 하고 있다. 희망적인 신호다. 아마도 미래 의사들은 배우고 나오는 의사가 많을 것이다. 의사도 인간이고 환자도 인간이다. 그렇다면 인간이 갖고 있어야 할 기본적인 것을 공부하는 것은 당연한데 너무 의학공부에 치이다보니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었다. 그러나 앞으로 의사들에게는 대세가 되어야 한다. 로봇의사와 차별점이 없다면 의사로서 존재가치가 없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