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0,418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결핵환자 190명이 결핵 역학조사를 통해 조기 발견됐다. 질병관리청은 지난해 발생한 결핵환자의 가족과 집단시설 접촉자를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 추가로 결핵환자 190명을 조기에 발견했다고 25일 발표했다. 2022년 결핵 역학조사로 추가로 발견된 결핵환자는 국내 결핵환자 감소세에 따라 매년 감소 추세로 2021년 대비 21.8%가 줄었으며, 특히 가족접촉자의 경우 전년 대비 36.1% 감소했다. 먼저 가족접촉자 대상 결핵 역학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호흡기 결핵환자(1만8137명)의 가족접촉자 2만2297명을 대상으로 결핵 검사 결과, 추가 결핵환자 101명을 발견(접촉자 10만명당 453명)했는데, 이는 일반인 결핵 발생률의 약 14배 높은 수준이다. 또한, 잠복결핵감염자는 4362명이 진단됐고, 잠복결핵감염률은 25.0%로, 2021년 잠복결핵감염률(27.3%)에 비해 다소 낮아졌다. 아울러 역학조사로 진단된 잠복결핵감염자 중 치료대상자 4044명의 72.9%(2950명)가 치료를 시작했고, 치료 완료 예정자 3069명 중 92.0%(2824명)가 치료를 완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치료시작율은 9.6%, 치료 완료율은 13.7% 각각
의료기관에서 간호사들이 환자 치료를 본인 밖에 할 수 있는 사람이 없어 교수·전공의로부터 불법진료를 요구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간호협회는 24일 ‘간호법 관련 준법투쟁 1차 진행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간호법에 대한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대한 준법투쟁의 하나로 지난 18일 오후 4시20분부터 운영해 온 불법진료 신고센터에 접수된 신고 현황을 공개했다. 이날 최훈화 대한간호협회 정책전문위원이 공개·발표한 1차 진행결과에 따르면 지난 18일 오후 4시 20분부터 23일 오후 4시까지 5일간 불법진료 신고센터에 접수된 내용은 총 1만2189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신고대상 병원 유형은 종합병원이 41.4%(5046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상급종합병원 35.7%(4352건) > 병원(전문병원 포함) 19%(2316건) > 기타(의원, 보건소 등) 3.9%(475건) 순으로 나타났다. 허가 병상 수로는 500병상∼1000병상 미만과 1000병상 이상이 각각 28.6%(3486건)와 21.6%(2632건)로 전체 신고 건수의 50.2%(6118건)를 차지했으며, 200병상∼300병상 미만 14.3%(1744건) > 100병상∼200병상
국내 상위 제약사들 매출의 8.2%는 수출액이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자공시를 통해 2023년 1분기 매출 상위 제약사들의 분기보고서를 확인한 결과 상위 30개사의 수출액은 매출의 8.2%인 3846억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황은 2022년 매출의 8%인 1조 5287억원을 수출액으로 달성한 것의 25.5%로 상위 제약사들의 수출 현황이 순항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상위 제약사 중 유한양행이 매출의 15.6%인 692억원을 올 1분기 수출을 통해 벌어들였다. 지난 2022년 수출액은 매출의 10.2%인 1819억원으로, 전년 대비 올 1분기 38%의 달성률을 보였다. 종근당의 수출액은 매출의 4.8%인 173억원으로, 2022년 매출의 4.4%인 651억원 대비 26.7%를 달성했다. 한미약품은 지난 해와 비교하면 매출 대비 비중은 소폭 감소한 편이다. 2023년 1분기는 매출의 10%인 361억원, 2022년에는 매출의 11.1%인 1476억원을 기록했으며 달성률은 24.5%로 살짝 더딘 편이다. 광동제약은 수출액의 비중이 낮은 제약사 중 하나로 매출액 대비 수출액의 비중이 0.9%였다. 2022년 수출액은 128억원으로 이번
코로나19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전주 대비 소폭 증가한 반면, 사망자는 전주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5월 3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는 전주 대비 0.7% 증가해 148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76명) 대비 3.9% 감소한 73명이며, 일평균 사망자는 1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만4670명이라고 24일 밝혔다. 5월 3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130명(87.8%)이었고,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10명(100.0%)이었으며, 5월 1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르면 각각 중증화율 0.16%와 치명률 0.06%로 분석됐다. 2023년 5월 19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7.1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80.3명(치명률 1.89%)으로 가장 높았고, ▲70대 211.8명(치명률 0.44%) ▲60대 55.0명(치명률 0.11%) 순으로 집계됐다. 5월 3주(5월 14~20일) 주간 신규 확진자는 13만3848명으로 전주 대비 4.6%
8세 미만 소아에서 기관 내 삽관(Endotracheal Intubation)을 할 때 공기주머니(Cuff)가 있는 튜브를 사용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소아응급환자에서 심한 폐렴 또는 의식 저하를 동반한 뇌졸중처럼 호흡곤란이 심하거나 기도가 막힐 위험이 있는 경우 기관 내 삽관이 필요하다. 기관 내 삽관 시 성인의 경우 공기주머니가 있는 튜브를 사용해 입 또는 위(胃)에서 폐로 흡인(배출) 되거나 반대로 폐에서 공기가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예방하고 있으나, 반면 8세 미만 소아의 경우 공기주머니가 없는 튜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2020년 이후 미국심장협회(AHA)가 8세 미만 소아도 공기주머니가 있는 튜브를 사용하도록 권고하면서 응급의학과 혹은 소아청소년과 분야에서 논란의 대상이 됐다. 이에 아주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채윤정·응급의학과 김중헌 교수팀은 지난 1997년부터 2022년까지 25여 년간 출판된 관련 논문 66편을 분석한 결과, 소아응급환자에서 공기주머니가 있는 튜브를 사용할 것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제시한 관련 근거를 살펴보면, 기존에 8세 미만 소아의 후두 구조에 대해 잘못 알려져 있는 정보로 인해 ‘공기주머니가 없
원광대학교병원(병원장 서일영) 신경과 김영서 교수가 2023년 대한신경집중치료학회로부터 ‘제1회 대한신경집중치료 전문수련 인증의’를 획득했다. 2025년이 되면 대한민국은 65세 이상 고령자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돼 신경계 질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뇌졸중‧뇌전증‧뇌염 등의 신경 질환으로 중환자실 치료를 받게 되는 신경계 중환자는 일반 중환자 치료와 접근 방식이 다를 수 있다. 혈액검사와 영상 검사 이외에도 주기적인 신경학적 진찰을 통해 의식 상태의 변화를 판단해야 하기에 신경계 중환자 전문의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미 미국과 유럽에서는 신경계 중환자만을 전문적으로 진료하는 신경중환자 세부 전문의(neurointensivist) 제도가 시행되고 있고, 국내외 다양한 임상연구에서도 중환자실에 신경계 중환자 전문의가 있을 경우 환자의 입원 기간이 짧아지고, 사망률이 낮아짐을 보여준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 뇌 손상이 있는 신경계 중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신경계 중환자들이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인프라가 부족했따. 이에 신경계 중환자 치료의
GC녹십자웰빙(대표 김상현)은 지난 20일 서울 드래곤시티 그랜드 머큐어 앰배서더 호텔에서 ‘2023 아텔로 콜라겐 좌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아텔로 콜라겐은 인체 내 이물질로 간주될 수 있는 ‘말단 텔로펩타이드(Telopeptide)’를 단백분해효소로 제거해 인체 투여 시 면역원성을 낮게 만든 주사로 회전근개파열을 비롯한 다양한 근·골격계 질환에서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번 좌담회는 상급종합병원부터 개원가까지 아텔로 콜라겐의 다양한 처방 사례를 공유하는 목적으로 진행했다. 좌담회 좌장은 김양수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교수가 맡았으며, 조평구 아주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이종진 재단법인 대성병원 병원장, 남승균 연세공감마취통증의학과 원장 등 3명의 전문가가 연자로 나섰다. 세부 발표로는 ▲아텔로 콜라겐을 활용한 회전 근개 부분파열에서의 비수술적 치료법(김양수 교수), ▲척추에서의 아텔로 콜라겐 임상적 사용 사례(조평구 교수), ▲아텔로 콜라겐을 활용한 부위별 통증치료(이종진 병원장), ▲기존의 치료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은 팔꿈치 외측상과 통증 환자에게 적용한 콜라겐 치료요법(남승균 원장)이 진행됐다. 이날 행사는 김재왕 GC녹십자웰빙 I
한국BMS제약(대표이사 이혜영)은 자사의 폐색성 비대성 심근병증 치료제 캄지오스(성분명: 마바캄텐)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증상성(NYHA class II-III) 폐색성 비대성 심근병증 성인 환자의 운동 기능 및 증상 개선을 위한 치료제로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캄지오스는 폐색성 비대성 심근병증(이하 oHCM, obstructive hypertrophic cardiomyopathy)의 발생 원인인 심장 마이오신과 액틴의 과도한 교차결합을 선택적으로 억제시키는 최초이자 유일한 치료제다. 캄지오스는 마이오신을 액틴으로부터 분리시켜 과도하게 수축했던 심장 근육을 이완시킴으로써 비대해진 좌심실 구조와 좌심실 유출로 폐색을 개선시킬 수 있다. oHCM은 심장의 좌심실 근육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면서 대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나가는 혈류가 차단되는 희귀 심장 질환이다. oHCM의 증상은 호흡곤란, 어지럼증, 흉통, 실신 등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심부전, 심방세동 등 각종 심혈관계 합병증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 특히 10-35세 사이의 젊은 성인이나 아동에게서 운동 중에 돌연 심장사를 야기할 수 있어 치명적이다. 현재 oHCM 치료는 근본적인 치료보다 증상 완화
2023년 1분기 매출 상위 30위 이내 제약사들의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전년 동기 대비 상승했다. 전자공시를 통해 상위 30개 제약사들의 분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1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3137억원으로, 지난 2022년 1분기 2921억원보다 7.4% 확대됐다. 특히 상위제약사 중 3분의 2가 영업활동 현금흐름 감소를 보였으나 매출 1,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유한양행과 종근당은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나란히 증가했다. 유한양행의 경우 2022년 1분기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354억원에서 2023년 1분기 427억원으로 20.8% 상승했다. 이어 종근당은 2022년 1분기 354억원에서 2023년 1분기 425억원으로 560.7% 확대돼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반면 3위 제약사인 한미약품은 2022년 1분기 972억원에서 2023년 1분기 774억원으로 20.4% 감소하게 됐다. 광동제약은 영업활동 현금흐름에 대해 지난 해에 이어 적자 흐름을 이어갔지만 이번 1분기 적자를 일부 회복했다. 2022년 1분기 -21억원에서 2023년 1분기에 -18억원으로 11.1%로 증가했다. 녹십자는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흐름이 2022년 1분기 158억원
오가노이드 기반 신약개발 및 정밀의료 플랫폼 기업 넥스트앤바이오(공동대표 이현숙, 양지훈)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최낙원 책임연구원은 세계 임상시험의 날(5월 20일)을 맞아 신약 개발 과정에서 전임상시험의 중요성과 동물시험 대체 모델로서 오가노이드의 장점 및 활용 가치에 대해 설명했다. 신약 개발은 크게 후보물질 발견 후 동물 등을 대상으로 하는 전임상시험과 사람을 대상으로 치료제의 안전성과 효과를 확인하는 임상시험의 단계로 진행된다. 특히 임상시험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를 줄이고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임상 단계에서 실패 가능성이 큰 후보물질을 미리 걸러내야 한다. 하지만 최근 전임상시험 단계에서의 생명윤리 문제와 동물시험 결과의 인체적용에 대한 한계가 지속적으로 제시되면서, 전세계적으로 동물대체시험법 도입을 위한 연구와 제도마련이 속속 진행되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은 신약 개발을 위한 동물시험 의무화 규정을 84년만에 폐기했고, 영국의 웰컴 생어연구소(Wellcome Sanger Institute)는 2021년에 동물 시험실을 폐쇄했다. 국내에서도 2017년
오하이오 먼로, 2023년 5월 23일 /PRNewswire/ -- 제약 산업을 위한 모든 범위의 능동 및 수동적 온도 제어 배송 솔루션을 제공하는 최대 공급업체인 CSafe는 Krystal의 Vyjuvek 유전자 치료용 저온 유통 솔루션을 제공하는 Krystal Biotech의 혁신적인 프로그램을 발표하게 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Krystal is utilizing CSafe’s Retest & Reuse program, which allows organizations to both contribute to global sustainability efforts and keep their supply chain costs as low as possible. CSafe의 Krystal용 맞춤형 열 운송 상자는 Vyjuvek 용량을 임상의와 환자에게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해 제품 여정 내내 -20°C를 유지합니다. 동급에서 최상인 진공 단열 패널(VIP) 기술 외에도 맞춤형 CSafe CGT Ultra 솔루션을 통해 제품 취급을 간소화한 것이 특징입니다. Vyjukek 공급망은 CSafe의 재시험 및 재사용
일동홀딩스와 일동제약이 강도 높은 경영쇄신 작업에 돌입한다. 일동제약그룹은 23일, 연구비용 효율화, 파이프라인 조기 라이선스 아웃(L/O) 추진, 품목 구조조정, 임직원 ERP 등을 포함한 쇄신안을 내부 구성원들에게 공표했다. 이번 쇄신안은 금리 상승 등 급변하는 금융시장 환경에 대비하고, 무엇보다 사업구조 재정비를 통한 이익 실현과 R&D 분야의 조기 성과 창출에 초점을 맞췄다. 우선, 연구개발 분야에서는 효율과 스피드를 높이고 라이선스 아웃을 위해 더욱 속도를 낼 수 있도록 계획을 조정하기로 했다. 최근 수년간 과감한 R&D 투자를 통해 상당수의 파이프라인을 확보한 만큼, 이제는 선택과 집중에 따른 효율적인 비용 집행으로 가시적 성과를 이끌어낸다는 판단이다. 영업·마케팅 분야에 있어서는, 이익 구조가 취약한 품목을 과감히 정리하고 합리적인 안전재고 운영으로 비용 부담을 최소화 하기로 했다. 또, 일동홀딩스와 일동제약의 임원 20% 이상을 감원하고, 남아있는 임원의 급여 20%를 반납하기로 합의했으며, 차장 이상 간부급 직원들을 대상으로 ERP를 가동, 금주부터 희망퇴직 신청을 받기로 했다. 이를 통해 조직 통합, 인원 재배치 등 합리적인
오는 5월 28일은 '세계 월경의 날'로 2013년 독일의 비영리단체 '워시 유나이티드(WASH United)'가 월경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지정한 기념일이다. 숫자 5와 28은 여성의 월경이 평균 '5일'간 지속되고 '28일' 간격으로 돌아온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월경은 마법, 매직, 마술로 표현되는 여성의 생리현상이지만, 욱씬한 고통에 남모를 고충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일명 생리통이라고 불리는 월경통은 월경 시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하복부 통증으로 국내 보고에 따르면 월경 여성의 약 80%가 월경통을 경험한다. 아픔을 동반한 월경통 과연 어디까지 참아야 할까? 세계 월경의 날을 앞두고 이대서울병원 산부인과 박소연 교수는 여성들이 겪는 월경통에 대해 설명했다. 박소연 교수에 따르면 월경통은 발생 원인에 따라 일차 월경통과 이차 월경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차 월경통은 부인과 이상이 동반되지 않은 주기적 통증으로 문제가 없는 월경통이며, 이차 월경통은 부인과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월경통이다. 박 교수는 "20세 이후에 발생한 월경통 또는 최근에 심해지는 통증, 월경이 시작되기 전부터 통증이 시작돼 월경이 끝난 이후에도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
피부미용 의료기기 제조기업 비올이 지난 20일 부산에서 2023년 첫 번째 실펌엑스 유저미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부산 롯데호텔에서 부산·울산·경남 지역 피부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개최한 이번 유저미팅은 ‘실펌엑스를 이용한 색소 치료’를 주제로 더욱 다양한 치료 케이스 및 환자 만족도를 극대화할 최신 노하우를 공유하기 위한 소통과 교류의 장으로써 마련됐다. 연사로 참여한 부산 벧엘피부과 최수영 원장은 “실펌엑스는 색소 치료의 게임체인저(Game Changer)”라며, 실펌엑스의 다양한 기미 치료 활용법과 니들RF 기기의 색소 치료 원리에 대한 강연을 진행했다. 또한 신규 론칭한 ‘XB-49팁’을 소개하고, 약 40% 향상된 시술 속도와 더욱 넓어진 시술 면적의 장점을 이용한 두피 케어, 탈모 치료, 목주름 개선 효과에 대해 발표했다. 하늘느낌피부과 최천필 원장은 실펌엑스를 활용한 난치성 기미 치료의 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새로운 치료 방안을 제시했다. 최 원장은 잘 치료되지 않거나 까다로운 환자 케이스를 소개하면서 “재발성 색소침착은 PW 모드를 이용해 진피층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비올의 주력제품인 실펌엑스는 연속성 고주
대한간학회(이사장 배시현)와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이사장 김필여)가 지난 5월 22일, 2030년까지 국내 C형간염 퇴치를 위한 ‘2030 Goodbye C형간염 공동캠페인 업무협약식(MOU)’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소속 강사진, 마약 투약 경험자 및 그 가족에게 C형간염의 위중성 및 조기 검진과 치료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취시키고 적극적인 환자 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2030년까지 국내 C형간염 퇴치 목표 달성에 기여하기 위한 취지를 담아 체결됐다. 대한간학회와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는 회원 대상 C형간염 검진 기회 제공, C형간염 인식설문조사 등을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대한간학회 배시현 이사장은 “C형간염은 혈액을 매개로 전염되는 감염병으로 한 번 감염되면 대부분 만성화되기 때문에 간경변증, 간암으로 악화될 수 있다. 대부분 증상이 없기 때문에 본인도 모른 채 주변 사람들에게 C형간염을 옮기는 전파자가 될 수 있어 더욱 우려되는 질환이다”고 전했다. 또한, “아직까지 예방 백신은 없지만, 다행히 부작용 없이 단기간에 완치할 수 있는 경구 항바이러스제가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무엇보다
한국노바티스(대표이사 사장 유병재)는 유전성 망막변성질환 환자들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유전자 검사를 지원하는 ‘Early Bird(얼리버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Early Bird는 유전성 망막변성질환 환자에게 정확한 원인 유전자 진단과 유전자 검사 결과 해석을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들이 효과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한국노바티스가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참여 조건은 ▲시력 (VA) ≤ 20/60 (양안) ▲ 충분한 생존 망막 세포의 존재 ▲ 과거 유전자 검사 경험이 없는 IRD 환자 (단, 불확실성변이형(VUS), 단일 대립유전자성 RPE65 유전자 변형의 결과(monoallelic RPE65m)인 경우는 참여 가능) ▲ 50세 미만 ▲ 야맹증 (night blindness)에 모두 부합하는 경우다. 유전자 검사를 희망하거나 필요한 환자가 있을 시 의료진이 전화 또는 이메일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신청 및 결과 전달은 모두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Early Bird 프로그램 전용 유전자 검사 키트는 택배를 통해 수령과 회수 모두 가능하며, 간단한 샘플 채취 후 6주 이내에 이메일을 통해 결과를 받
한국화이자제약(대표이사 사장 오동욱)은 지난 5월 17일, ’폐렴구균의 미생물학적 특성 및 백신의 유용성’을 주제로 국내 의료진 대상 온라인 웨비나를 개최했다. 이번 웨비나는 영유아에서 폐렴구균 혈청형 분포를 고려한 폐렴구균 예방 접종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마련됐다. 연자로 나선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신정환 교수는 2017-2019년 국내 16개 병원에서 수집된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을 일으키는 폐렴구균 균주를 분석한 연구를 토대로 국내 침습성 폐렴구균 진단 관련 최신 지견을 나누고, 국내 영유아∙성인에서 폐렴구균 혈청형 분포에 따른 예방 접종 선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발표에 따르면, 화이자 폐렴구균 백신(13가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의 국내 도입 이후 침습성 폐렴구균 질환을 일으키는 혈청형을 분석한 결과, 13가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 혈청형 커버리지가 전 연령 28.7%, 5세 이하 영유아 14.0%, 19세 이상 성인 30.6%, 65세 이상 노인 33.9%로 폭넓게 나타났다. 이에 신 교수는 13가 백신에 포함된 혈청형의 커버리지가 5세 이하의 소아에서 매우 낮게 확인되는 만큼 전 연령에 걸쳐 해당 혈청형들이 포함된 백신 접종을 통해 폐렴구
최근 우울증 등 정신질환을 앓았거나 앓고 있는 20~30대 성인은 또래에 비해 심근경색 위험이 58%, 뇌졸중 위험이 42% 높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미국 CNN 뉴스 채널에 소개됐다. 젊은 성인들도 정신질환 병력이 있다면 심혈관질환에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최의근 교수·박찬순 임상강사와 숭실대 한경도 교수 공동연구팀이 2009~2012년 사이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20~39세 성인 655만 7727명을 추적 관찰해 정신질환 유무에 따른 심혈관질환(심근경색, 뇌졸중) 발생 위험을 비교한 결과가 22일 발표됐다. 정신질환을 앓는 환자는 일반인보다 기대수명이 짧은데, 이는 정신질환자가 신체적 질환에도 취약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졌다. 특히 정신질환자는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심혈관질환’이 일반인에 비해 잘 발생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연구팀은 젊은 나이의 정신질환이 평생 동안 심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는지 확인하기 위해 20~30대 젊은 성인 약 650만 명을 정신질환 병력 유무에 따라 구분하고, 약 7년 동안 심근경색 및 뇌졸중 발생을 추적 관찰했다. 생활습관(흡연, 음주)과 만성질환(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에서 정신질환 유무에 따른
국내 의료기기 기업의 발전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과기부·산업부·복지부·식약처 출연 기관으로서 규제 통과부터 시장 진출까지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이하 범부처사업단)이 2020년 출범, 어느덧 4년차를 맞았다. 올해로 16회를 맞은 ‘의료기기의 날’ 행사는 26일 서울 웨스틴 조선 호텔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 후원, 한국의료기기협동조합 주관으로 개최된다. 관계자들을 격려하는 의미에서 매년 한국의료기기협동조합과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가 번갈아 행사를 주관, 개최하고 있다. ‘의료기기의 날’ 행사에 앞서 한국의료기기협동조합의 주선으로 국내 의료기기 산업 관련 인물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한다. 국내 최초·최대 규모의 연구개발 지원 사업을 운영 중인 범부처사업단의 김법민 단장을 22일 범부처사업단 사무실에서 만났다. Q. 의료기기의 날 개최에 대한 격려 말씀 및 소개 부탁드린다. 올해로 16회를 맞은 ‘의료기기의 날’ 행사 개최를 축하드린다. 작년에 법정 기념일 지정 발의가 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빨리 지정이 됐으면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함께 의료기기협동조합과 의료기기산업협회에서 의료기기 산업 발전 관련 좋은 계기를 마련해 주신 것에 대해서
동아에스티와 에스티팜 그리고 하나제약이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크게 획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시의 분기보고서를 통해 2023년 1분기 상위 30위 제약사들 중 18개 제약사들의 정부보조금 수령 현황이 확인됐다 이들 중 가장 매출이 높은 제약사인 한미약품은 연구개발비용 386억원 중 2900만원이 1분기 정부보조금으로 확인됐다. 지난 2022년에는 정부보조금으로 12억원 이상을 획득했으며, 연구개발비용은 2136억원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매출이 높았던 녹십자는 정부보조금이 많았던 제약사였는데, 올해 1분기는 연구개발비용 568억원 중 6억 9500만원을 정부보조금으로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십자는 작년 연구개발비용으로 2136억원을 사용했으며, 정부보조금은 59억원을 받았다. 반면 대웅제약의 경우 정부보조금을 반환한 것으로 보인다. 올해 1분기 연구개발비용은 814억원이었지만 정부보조금은 -1억 9500만원으로 확인됐으며, 2022년에는 연구개발비용 2013억원, 정부보조금은 -7억 6900만원이었다. 제일약품은 이번 1분기 정부보조금으로 약 1억원을 받았다. 연구개발비용은 111억원이었으며 지난 2022년 연구개발비용은 490억원, 정부보조금은 20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