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30,50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이수유비케어의 UBIST에 따르면 2월 원외처방 조제액은 전년동기대비 12.4% 증가한 5942억원을 기록했다.(참조: 동부증권 18일자 보고서)심한 일교차로 인해 감기환자가 증가하면서 진해거담제(+47.3%)와 항생제(+32.9%)가 높은증가율을 기록했다. 치매, 파킨슨병 등 중추신경용약이 +32.9%, 동맥경화용제가 +23.1%Y 증가하며, 여전히 높은 성장세를 이어갔다.업체별로는 유한양행이 상위 품목의 큰 폭 성장을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33.9% 증가했다.항혈전제 안플라그는 56.1,당뇨병치료제 보글리코스는 43.8% 증가했다.동아제약은 위점막보호제 스티렌과 허혈성개선제 오팔몬이 각각 22.0%, 36.2% 성장하며29.9%의 증가율을 기록했다.특히 일동제약의 27.5% 성장이 눈에 띄는데 이는 혈액순환개선제 사미온이 66.2% 증가하며 20.7억원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3월24일은 ‘세계 결핵의 날’이다. 가난 때문에 제대로 못먹던 시대에 창궐했던 결핵. 하지만 아직도 세계적으로 매년 200만명이 목숨을 잃을만큼 위세를 떨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우리나라에 결핵이 없어진 것으로 착각하고 있다. 하지만 결핵환자는 최근 증가세로 돌아섰다. 고원중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교수의 도움으로 결핵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Q&A로 살펴본다.▲결핵 Q & A1. 결핵은 노인들이 걸리는 병이다?과거 결핵은 노인들이 많이 걸리는 병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우리나라 결핵 감염자의 특징은 20~30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실제로 2005년 폐결핵으로 새로 감염된 환자의 연령대별 비율을 살펴보면 ▲20대가 19%, 70대 이상이 17%, 30대 16%, 40대 15%, 60대 13% 순으로 나타나 20~30대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노인이 걸리는 병이라는 이유는 과거 해방전후, 전쟁 등을 겪으며 위생상태와 영양상태가 극히 안좋았을 때인 60~80년대의 이야기로 어렸을 때 결핵균에 감염되어 내재돼 있다가 노인이 되어 면역력이 떨어지며 질환으로 나타났다.그러나 최근에는 위생상태와 영양상태
복제약과 오리지널약의 약효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에 대해 소비자 집단(Consumlab.com)과 민간 약사 집단(People's Pharmacy)은 FDA를 상대로 제네릭약과 오리지날약의 차이를 공개하도록 촉구하고 있다. ConsumerLab.com에서 고혈압 치료약 Toprol XL의 제네릭약을 조사한 결과 두 회사에서 판매하고 있는 제네릭 약물이 용해 과정과 보조 성분에 차이가 있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차이가 바로 소비자들이 다른 제네릭약으로 변경했을 때에 발생하는 불평을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2006년 후반기 제네릭 약이 나오기 전 Toprol XL의 매출은 17억 달러라고 IMS 는 보고 하고 있으며 이는 고혈압 치료약 중 선두 주자이다. Toprol XL을 제네릭 의약품으로 변경한 후 소비자들은 혈압이 갑자기 오르고 심박이 증가하는 문제를 호소했다. 다른 부작용으로 오심, 현운, 발진 및 편두통을 포함한 두통을 호소하기도 했다. 이러한 부작용 대부분은 Toprol XL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 대부분 부작용들은 오리지날 약인 Toprol XL로 변경하면 사라진다는 것이다. ConsumerLab.com은 이러한 불평에 대해 http://www.
요즘 같은 환절기에는 특히 감기에 걸리기 쉽다. 감기는 비강, 인두, 후두, 기관, 기관지, 폐와 같은 호흡기에 급성 카타르성염증(일과성으로 낫기 쉬운 염증)이 일어나는 병으로 누구에게나 잘 걸리는 흔한 병이다. 간단하고 가벼운 병으로 생각되기도 하지만 그 원인은 다양하다. 그러나 표면에 나타나는 증세는 재채기, 콧물, 목아픔, 목쉼, 기침, 발열, 두통, 전신권태 등 모두 비슷해 일관해 감기라고 부른다. 감기는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어른 감기의 15∼40%를 차지하는 리노바이러스(rhinovirus)는 코감기를 일으키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독감의 원인이 된다. 감기의 발병에는 바이러스의 감염뿐 아니라 침범한 바이러스에 대한 환자의 방어력, 급격한 체온 변동, 체력 소모 등이 관여된다.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용혈성 포도상구균 등과 같은 박테리아에 의해서도 감기가 발병할 수 있으며 신사구체염, 류마티스성열 등의 합병증이 초래되기도 한다. 감기에 걸렸을 때에는 우선 충분한 휴식과 함께 수분(1일 6∼8잔) 섭취가 필수적이다. 오한이 있을 때는 따뜻한 음료, 열감기에는 미온 음료를 섭취해 충분한 수분을 보충하도록 해야 한다. 또 적절한 온도와 습도 조절로 가래를
전국 농산어촌 보건소의 공중보건의 신규 배치가 올해도 늦어지면서 의료공백 사태가 연례 행사처럼 되풀이되고 있다.18일 강원도에 따르면 도내 18개 시·군 보건의료원과 보건지소 등에 배치된 일반의, 치과의, 한의사 등 공중보건의 390명 중 40%에 달하는 153명이 다음달 6일자로 복무를 마치고 떠나지만, 신규인력 배치는 그달 28일쯤에나 가능하다. 전남도는 공중보건의 712명 가운데 211명, 충북도는 319명 가운데 131명이 다음달 6일자로 제대해 3주간의 의료공백이 생기는 등 전국 지자체마다 30∼40%의 공중보건의가 장기 공석이 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이같은 의료공백 사태는 공중보건의와 군의관 훈련기간 일수의 차이 때문에 발생한다. 공중보건의 군사훈련 기간은 4주인데 비해 군의관은 8주간 훈련을 받고 있다. 국방부가 2006년 이들의 전역일자를 맞추기 위해 공중보건의 소집을 4주 늦추면서 신규 인원의 배치도 함께 늦어져 이같은 공백 사태가 3년째 되풀이되고 있다.이에 따라 지자체들은 공중보건의 공백이 생긴 보건지소의 경우 인근 보건지소에서 근무하는 공중보건의들이 순환근무를 실시하고, 병의원과 진료체계를 유지해 환자진료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이동석 안과원장 장인상. 18일 강남성모병원, 발인 20일 5시30분, (02)590-2697
유희철 전북대의대 교수(일반외과) 모친상. 18일 전북대병원 장례식장, 발인 20일 오전 9시30분. 연락처 (063)250-2450, 011-670-2971.
하정옥 영남대학교 의과대학장(소아청소년과 교수)은 3월20일 서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2층 교수회의실에서 개최되는 ‘2009학년도 의학전문대학원 입학전형 최종 협의 관련 회의’에 참석한다. 이날 회의에서 2009학년도 의학전문대학원 수시 및 정시 지원 형태(단수 혹은 복수)에 대한 결정을 할 방침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용흥 원장)은 KOTRA(홍기화 사장), 한국노바티스(피터야거 사장)과 함께 ‘바이오기술 글로벌 사업화 프로젝트(Get Armed To Explore global market(GATE) Project)’설명회를 19일 Kotra 국제회의실에서 개최한다.본 설명회는 창업예정이거나 창업 초기의 국내 비상장 바이오 기업과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며, ‘GATE Project 개요’(Kotra 박용수 팀장), ‘GATE 1차 기술성 심사안내’(한국보건산업진흥원 김용우 연구원), ‘Pharmaceutical deal making 에서의 전략 및 경향’(맥킨지인포코레이티드 강혜진 박사), ‘From the lab bench to the global market'(노바티스 피터야거 사장), ‘노바티스 벤처펀드의 소개 및 심사기준 안내’(노바티스벤처펀드 안야 코에니크 박사) 등의 발표가 있을 예정이다.이번 설명회에서는 프로젝트에 참여를 원하는 국내 바이오 기업들을 위한 참여방식, 지원내용 등 세부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국내 바이오 기업들을 대상으로 글로벌화를 위한 전문적이고 유용한 정보들이 제공될 예정이다.설명회 이후에는 공모 참여신청서의 접수(3/20
우리나라 신생아 출산율이 2년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황금돼지해였던 지난해 신생아 수는 총 49만7000명으로 전년보다 약 4만5000명이 늘었다. 합계출산율(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 수) 역시 지난해에는 1.26명으로 2년 연속 상승했다. 출산율이 이처럼 고무적으로 높아진 것은 정부의 지속적인 출산 장려 정책 때문이다. 하지만 고령출산 비율도 그만큼 높아지는 만큼 이제는 출산율의 양적 증가 못지않게 질적 관리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많은 임산부들이 임신성 당뇨병, 임신중독증 등을 잘 알고 또 이에 대한 대처도 잘 하고 있지만 반면, 소홀히 여기거나 잘 몰라서 그냥 지나치는 질환들도 많이 있다. 이에 임산부가 조심해야 하는 각종 임신성 질환들에 대해 알아본다.▲하지정맥류임신 7~9개월경에 들어서면 오래 걷기도 힘들뿐더러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묵직하고 뻐근해진다. 잠잘 때 다리에 쥐가 나기도 한다. 간혹 피부 겉 층에 붉은빛 혹은 검푸른 빛을 띤 혈관이 비쳐보이게 된다. 이는 임신으로 인한 하지정맥류 증상이다. 하지정맥류는 심장으로 올라가야 할 정맥혈이 종아리에 고이면서 혈관이 늘어나는 질환. 발끝에서 심장으로 향하는
무엇이든지 적당한 것이 제일이다. 치아의 개수도 예외는 아니다. 아이들의 유치는 대개 생후 6~7개월부터 아래 앞니가 나와 24~30개월에 아래, 위 10개씩 총 20개가 난다. 아이의 유치는 먼저 난 순대로 빠져 영구치로 대체된다. 만 6세경 아래 앞니가, 만 7~8세경에는 윗 앞니가 빠지면서 영구치가 난다. 영구치는 만 13세까지 28개가 나와야 정상이다(사랑니를 포함하면 32개). 그러나 간혹 치아의 개수가 정상보다 더 많거나 부족할 수도 있다. 아이 입천장에 이빨이 하나 더 나 있는 경우, 혹은 선천적으로 영구치가 부족한 경우 등이 그 예다. 치아 개수가 정상보다 많은 과잉치와 정상보다 부족한 무치증에 대해 황성식 미소드림치과 원장 도움말을 통해 알아봤다.▲잇몸 속에 이가 더 나 있어요- 과잉치주부 김승희(39) 씨는 얼마 전 8살짜리 아들과 함께 치과를 찾았다. 앞니는 처음부터 벌어져서 나온다고 알고 있긴 했지만 아들의 앞니는 벌어진 정도가 유독 심했다. X-ray까지 찍어본 결과, 뜻밖에 깜짝 놀랄 얘기를 들었다. 아들의 벌어진 앞니 사이에 치아가 하나 더 숨어 있어서 영구치가 잇몸 밖으로 나오지 못한다는 것이다. 아들은 입천장에 이빨이 하나 더
세계 제 1 위 제약 기업 화이자(Pfizer Inc.)가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진행하는 ‘화이자 아시아 R&D전략적 제휴 설명회’를 우리나라에서 갖는다. 국내 기업과 바이오벤처, 학계와 연구기관들을 대상으로 신약 연구분야의 제휴 기회를 모색하고자 하는 이번 설명회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후원하며, 4월 3~4일 이틀간에 걸쳐 신라호텔에서 진행된다. 이에 따라 화이자 글로벌 연구 총괄 책임자 로드 맥켄지 (Rod MacKenzie) 수석부사장과 화이자 제휴 및 과학 전문가팀 20여명이 대거 방한한다. 화이자는 4월 3일 오전에 이번 설명회의 취지에 대한 설명을 갖고, 같은 날 오후부터 4일 오후까지는 국내 바이오 기업의 최고경영자, 임상시험기관(CSO), 연구 기관 및 대학 관계자들과 개별 1:1 면담을 통해 사업개발, 라이센싱 및 기술 이전 등 핵심 사항들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이미 국내제약사, 바이오 산업 기업, 관련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150여명이 참가 신청을 마친 상태이다.화이자 글로벌 연구 총괄책임자인 로드 멕킨지 부사장은 “화이자는 혁신적인 신약 연구개발 노력의 일환으로 지난 20년간 전략적 제휴를 통해 제품개발 및 상용화
아주대병원 신경통증클리닉이 최근 국내 처음으로 ‘정맥신경 치료실’을 개소했다.병원 2층 신경통증클리닉 외래에 위치한 정맥신경 치료실은 정맥을 통해 신경을 안정시키고 통증을 경감시키는 약물(약물명:리도카인, 케타민)을 주입하는 ‘정맥신경 치료’를 시행한다. 이 치료는 대부분의 만성통증질환에서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복합부위통증후군(CRPS)에서도 효과가 커 주목된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교통사고나 골절 등의 외상 후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지만 신경계 이상으로 시도 때도 없이 극심한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현재까지 완치가 거의 힘들고 극심한 통증으로 일상생활이 힘들고 심한 경우 자살을 기도하는 등 힘들고 까다로운 질환이다.정맥신경 치료는 치료방법이 비교적 간단하고 대부분의 만성통증에서 치료효과가 있지만, 국내에서는 고가의 환자 감시장비, 많은 의료 인력과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점 때문에 그동안 거의 시행되지 않아 왔다.이에 대해 신경통증클리닉 김찬 교수는 “최근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를 비롯해 만성통증 환자들이 계속 늘면서 ‘정맥신경 치료’의 필요성이 점점 커져 이번에 치료실을 대폭 확장(2
순천병원(병원장 고재운)은 최근 입원환자를 20명을 선정해 ‘2008 신메뉴 품평회’를 가졌다. 이날 품평회에서는 한식류, 중식류,양식류, 밑반찬류 등을 구분, 50여종의 메뉴를 선보이고 직접 눈으로 즐기고 입으로 맛을 느끼면서 새롭게 식사의 질과 형태를 체험했다. 이날 선보인 신메뉴 중 한식류는 인삼영양밥, 냉이달래콩가루국, 채소메밀전병 외15종, 중식류는 중국식 해물볶음밥 외 6종 양식은 파인애플 볶음밥 외 6종 밑반찬류는 콩호두조림 외 8종, 기타 새송이꼬치, 각종 소스류 등으로 50여종이다.
굿모닝신한증권 배기달 연구원은 17일 보고서를 통해 올해 들어 유한양행의 주가가 연초 대비 6.3% 하락, 경쟁업체인 동아제약, 한미약품에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며 이는 ▲주요 품목의 약가 인하로 인해 수익성 개선이 힘들 것이라는 우려 ▲한미약품이 주도하고 있는 제약업계 재편에서 소외되고 있는 현실 ▲유한킴벌리에 대한 기대감 저하라는 우려 때문이라고 밝혔다.하지만, 이는 단지 기울일 뿐 주요 품목의 약가 인하에도 불구하고 실적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용현금 등을 고려하면 향후 제약업계 구조 재편은 유한양행이 주도할 수 있다고 보여진다고 우려를 불식 시켰다.또한, 핵심 자회사인 유한킴벌리도 여전히 실적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여져 현재 부진한 주가는 제자리를 찾아 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배 연구원은 지난해 157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던 항응혈제 ‘안플라그’는 지난 해 10월 제네릭 제품의 출시로 인해 약가가 20% 인하됐으며, 올 4월에는 고혈압치료제 ‘암로핀(지난해 매출 100억원)’의 40%대의 약가 인하가 예정되어 있어 올해 실적 개선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많은 상황이지만, ‘안플라그’는 약가 인하와 제네릭 제품의 출시에도 불
차상위 계층 건강보험 전환·의약품 처방조제 지원시스템·동일성분 의약품 7일 이상 중복 처방·청구시 삭감 등 4월1일부터 적용되는 의료제도를 살펴본다.▲차상위 계층 건강보험 전환의료급여 환자 중 차상위 계층을 건강보험으로 전환하는 제도로 환자의 자격이 건강보험으로 변경됐더라도 기존 지역·직장으로 소속되는 것이 아니라 차상위1종·차상위 2종으로 소속된다.4월1일부터 차상위 1종만 우선 건강보험으로 적용되며, 차상위 2종은 2009년부터 적용된다.차상위는 보험구분이기 때문에 차상위환자는 질환에 관계없이 모두 외래 본인부담금 면제, 입원환자 본인부담은 기본식대의 20%만 해당되며 차상위계층 여부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수진자조회시 조회된다.▲의약품 처방조제 지원시스템병용금기 약품 및 연령금기 약품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프로그램을 통해 점검하도록 하며, 병용금기와 연령금기에 해당하는 약품을 처방하는 경우 그 사유를 실시간으로 심평원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제도이다.요양기관에서는 진료실 PC에 인터넷이 연결돼야 하며 PC에 공인인증서(의료급여 자격조회시 건보공단에서 발급받은 인증서)가 설치돼야 한다.또한 요양기관 법인 인증서를 심평원에 등록해야 한다.특히 병용금기 , 연령금기
국내 연구진이 신경펩타이드에 의한 성장조절 기전을 규명해 화제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재생의학연구센터 유권 박사팀은 신경펩타이드(sNPF)에 의한 인슐린 유전자 발현의 변화에 의해 말단 조직의 인슐린수용체 신호전달을 조절함으로써 개체와 조직의 크기가 달라짐을 초파리와 포유류 동물세포를 이용해 규명했다고 밝혔다.이번 연구는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권오유 교수 연구팀과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김안과 병원 이준행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수행됐다.신경펩타이드를 과발현 시킨 초파리는 정상에 비해 크기가 24%, 인슐린 유전자의 발현이 3배 정도 증가했고 지질세포의 크기도 40% 증가했다.반면, 신경펩타이드 발현을 억제시킨 초파리는 정상에 비해 크기가 23%, 인슐린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했으며 지질세포의 크기 또한 30% 감소했다.신경펩타이드에 의한 인슐린 유전자 발현의 증감은 개체와 조직의 크기뿐만 아니라 혈당 대사를 조절했며, 신경펩타이드 발현을 억제시킨 초파리는 정상 초파리에 비해 수명이 20% 증가됐다.신경펩타이드가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protein kinase)효소를 통해 인슐린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기전은 초파리뿐만 아니라
의료영상정보솔루션(PACS) 전문기업 인피니트테크놀로지(대표이사 이선주)가 지난 3월 7일부터 11일까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된 유럽방사선의학회(European Congress of Radiology 2008)에 참가했다고 밝혔다.올해 20번째로 개최된 이번 행사에는 297여 개의 방사선 관련 장비, 솔루션 업체가 대거 참가했고, 3만5000여명의 관계자들이 전시장을 방문했다. 의료영상정보솔루션 기업으로는 GE Healthcare, Siemens, Philips, Agfa 등 주요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들이 참가, 자사의 PACS 및 방사선과 시스템(RIS: Radiology Information System) 등을 소개했다. 인피니트는 “이번 전시회에서 INFINITT PACS 및 3D, 원격판독 솔루션을 선보였고 약 400여명이 전시 부스를 다녀갔다”며 “제품 시연을 지켜본 한 방문자는 인피니트 솔루션에 대해 PACS와 3D 영상 융합기술이매우 돋보이는 제품이라고 호평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전시회 참가로 인해 유럽시장 재 진출을 위한 발판이 마련됐다”며 “타 업체의 마케팅 담당자 및 지역 의료전문 잡지의 집중적인 관심을 유발한 것으로 볼 때,
우리나라 국민 절반 이상은 한방치료를 받았으며, 대부분은 한의학연구개발을 국가에서 지원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용흥)은 한의약연구개발사업의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20대 이상 전국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한방진료 실태와 한의약연구개발사업 연구수요’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는 향후 한의약연구개발사업의 지원방향을 올바로 설정하고 한의약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연구 사업을 기획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한방진료 실태에 관한 항목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이 식품을 한약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건강식품·차 종류·건강보조식품 종류들에서는 약 85%, 즙 종류에서는 약 50% 로 나타나, 국민들은 한의원에서 처방한 한약 외에도 많은 식품들을 한약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가장 선호하는 한약형태는 ‘탕약’ 69.3%, ‘환약’ 27.7%, ‘가루한약’ 2.8%로 나타났다.3년 이내 한방치료를 받아본 적이 있는지에 대해 한방치료 경험이 있다(59.9%)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한방치료 중 시술종류는 ‘침’이 82.7%로 대부분이었으며, ‘물리치료’가 45.9%, ‘뜸’과 ‘부항’이 각각 38
이상기 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은 3월17일 오후 1시20분 알렉산드레 카도소 브라질 리오데자네이루 주정부 과학기술부장관 일행(6명)을 접견한다.이 자리에서 생명연의 연구현황 소개 및 협력방안 논의와 유전체·바이오나노 등 연구시설을 시찰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