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웍스(대표 김후식)가 치과의 디지털 전환 트렌드인 ‘디지털 덴티스트리’에 맞춰 콘빔 CT(CBCT)용 동영상 디텍터 매출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디지털 덴티스트리는 치과 진단부터 교정, 치료, 임플란트 및 보철물 제작 등 진료 전 과정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치료의 작업 흐름을 간소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CT와 구강 스캐너 등으로 환자의 치아 및 구강 구조를 디지털 방식으로 시각화 후, 3D CAD 설계 및 3D 프린터로 치아 구조물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작할 수 있어 기존 아날로그 방식 대비 효율적인 진료가 가능하다. 이와 관련 뷰웍스는 3D 콘빔 CT 촬영에 활용되는 치과용 동영상 디텍터 ‘VIVIX-D’ 시리즈를 중심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콘빔 CT는 글로벌 치과 시장에서 보편화된 디지털 진단 방식으로, 저선량 엑스레이 촬영은 물론 고해상도 및 3차원 영상 구현이 가능해 사랑니 발치, 임플란트 시술 준비 과정에서 세밀한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다. 특히 ‘VIVIX-D’ 시리즈의 특장점으로 디지털 덴티스트리에 최적화된 기술, CBCT 시스템과의 높은 호환성이 꼽히고 있다. 최신 패널 기술인 ‘IGZO(Indium Gallium Zinc…
2024-09-24 11:04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단백질체학) 기반 정밀의료 기술 개발 기업 베르티스(대표 노동영, 한승만)는 췌관선암(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PDAC) 진단용 단백질 바이오마커를 탐색한 연구 결과가 세계적 권위의 생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 ‘분자세포단백질체학지(Molecular & Cellular Proteomics)’ 9월호에 게재됐다고 24일 밝혔다. 췌장암은 발생 초기에 증상을 거의 보이지 않아 조기 발견이 매우 어렵고, 대부분의 환자가 이미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며 생존율이 매우 낮아 치명적이다. 2024년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17~2021년 췌장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15.9%로 주요 10대 암 가운데 가장 예후가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췌장암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유형인 PDAC는 5년 평균 생존율이 10% 미만에 불과해 가장 치명적인 암 유형 중 하나로 꼽힌다. 췌장암 선별에는 현재 혈액 바이오마커인 CA19-9가 활용되고 있지만 정밀도가 낮아 유용성이 제한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연구는 혈액 내 여러 개의 단백질 바이오마커를 동시에 정밀하게 정량할 수 있어 대량의
2024-09-24 11:01테라펙스(대표이사 이구)는 국가신약개발사업단(단장 박영민, 이하 ‘사업단’)의 2024년도 제2차 국가신약개발사업 ‘글로벌 진출 및 파트너링 촉진을 위한 우수 신약개발 지원’에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선정으로 테라펙스는 향후 1년 6개월간 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기존의 혈액암 치료제에 불응하거나 약물 반응성이 낮은 재발 및 불응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용 표적단백질분해제(TPD) 기반의 항체약물접합체(ADC) 후보물질 도출을 최종 목표로 과제를 수행한다. 테라펙스는 이를 위해 ADC 전문 바이오텍인 피노바이오와 함께 ADC 최적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앞서 테라펙스는 지난 4월 피노바이오와 TPD 기반의 ADC 항암제 연구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ADC는 세포독성물질을 페이로드(Payload)로 활용한 반면, 테라펙스는 TPD를 페이로드로 사용함으로써 정상 세포에 대한 선택성을 확보해 독성을 최소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테라펙스 이구 대표는 “이번 신약개발 지원 사업 선정은 자사의 TPD 페이로드로 만든 ADC 선도물질의 차별성을 인정받은 것으로 평가된다”며, “효능과 안전성을 갖춘 차세대 ADC…
2024-09-24 10:55엑소시스템즈(대표 이후만)는 신경근육계 임상적 기능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디지털바이오마커 기술’에 대한 연구결과를 관련 분야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TNSRE)에 게재했다고 24일 밝혔다. 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은 Google Scholar 색인에서 Rehabilitation Therapy 분야 최상단에 자리한 SCI급 학술지다. 이번 논문은 엑소시스템즈의 AI 디지털바이오마커 기반의 신경근육계 기능평가 기술에 대한 임상적 유효성과 적용 가능성을 보다 확장해 확인한 연구 결과를 담고 있다. 기존의 신경근육계 임상적 기능평가는 재래식 운동기능평가 혹은 동작분석 등 현상적인 부분으로 파악할 수밖에 없어 그 기저의 원인을 알기 어렵고 측정 및 평가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로 인해 각 질병마다 특화된 운동기능평가가 별도로 존재하는 등 다양한 질환에 통일되게 적용할 수 있는 지표가 부재한 상황이다. 이번 연구는 다양한 피험자를 대상
2024-09-24 10:53국내 당뇨병 환우회인 당뇨와건강(대표 염동식)은 국내 2형당뇨병 환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2형당뇨병 환자의 당화혈색소 인지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고 24일 발표했다. 당화혈색소는 단면적인 혈당 수치가 아니라 8-10주 정도 혈당 조절의 평균치라고 할 수 있으며, 매일 혈당 조절이 얼마나 잘 되었는가를 반영하는 지표다. 당뇨와건강은 여론조사 전문 기관인 한국리서치를 통해 지난 6월 24일부터 7월 5일까지 만 19세 이상의 성인 2형당뇨병 환자 500명을 대상으로 ‘당뇨병 관리 행태 파악을 위한 2형당뇨병 환자 인식 조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2형당뇨병 환자들의 당화혈색소에 대한 인식 수준 및 혈당 관리 실태를 확인함으로써 2형당뇨병 환자들이 치료 목표 달성에 실패하는 이유를 탐색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됐다. 설문조사 대상은 2형당뇨병으로 진단받은 동시에 현재 치료제를 복용 또는 투여하고 있는 환자였다. 2형당뇨병은 당뇨 관련 합병증으로 인한 삶의 질 감소 및 사망 위험 증가를 야기하는 만성 진행성 질병이다. 대한당뇨병학회(2023), 미국당뇨병학회(202
2024-09-24 10:49바이넥스는 24일 공시를 통해 바이오 의약품 개발 기업과 본격적인 상용화 대량 생산에 앞서 단일 품목에 대한 175억 규모의 상용화 규모 시험 생산(PPQ)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사업연도 매출액의 11.27%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계약 상대방은 CMO 계약의 속성상 비밀 유지 사유로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PPQ 공급 계약은 지난 8월 31일 양사가 체결한 포괄적 협력 계약(Master Service Agreement)의 일환으로, 바이넥스는 바이오 의약품에 대한 PPQ 생산을 조속히 완료하고, 상업용 바이오 의약품을 생산해 A사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양사는 PPQ 공급 계약에 앞서 다수의 바이오 의약품에 대한 장기적 생산 협력 확대를 골자로 하는 포괄적 협력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바이넥스는 다수의 바이오 의약품을 개발 중인 A사와의 위탁 생산 협력 관계 구축을 통해 국내 바이오 의약품 CMO 활성화 및 국내 바이오 업계 생산 네트워크 확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바이넥스는 A사와의 이번 협력 및 최근 미 FDA 실사를 통해 글로벌 수준의 생산 기술력 및 우수 의약품 제조 관리 시설로 한단계 도약할 수 있는…
2024-09-24 10:45노을 주식회사(대표 임찬양, 이하 ‘노을’)가 전문가 수준의 AI 진단 성능을 유럽에서도 입증했다. 노을은 스페인 국립보건연구소에서 진행한 마이랩의 AI 진단 성능 결과를 2024 국제 열대의학 및 말라리아 학회(International Congress for Tropical Medicine and Malaria)에서 공개했다. 연구 결과 현미경 진단 대비 민감도 94.4%, 특이도 97.2%, 일치율 92%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스페인 말라리아 국가 지정 실험실인 국립보건연구소 미생물학 센터(National Center for Microbiology of Spain’s Carlos III Health Institute)의 주도로 말라리아 진단 전과정을 자동화한 온디바이스 AI 기반 솔루션인 마이랩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됐다. 말라리아 감염이 의심되는 329명 환자의 혈액 표본을 수집해 마이랩 AI와 표준 현미경 검사와의 진단 결과를 비교했다. 연구 결과 마이랩 AI의 민감도는 94.4%, 특이도는 97.2%로 나타났으며, 현미경 검사와의 일치율은 92%로 나타났다. 불일치한 12개 검체 중 8건은 현미경 위음성으로 확인됐다. 마일랩의 AI 성능이 표준 진
2024-09-24 10:42GE헬스케어 코리아(대표: 김용덕)는 지난 20일 GE 헬스케어코리아 사옥에서 국내 의료 AI전문 스타트업 빔웍스와 공동 마케팅 추진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식에는 김재일, 김원화 빔웍스 대표와 GE 헬스케어코리아 김용덕 대표, 초음파사업부 조일규 상무가 참석했다. 빔웍스는 유방암 영상 검출·진단 보조 소프트웨어인 ‘CadAI-B(캐디-비)’를 개발하고, 제 23호 혁신의료기기로 지정 받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은 유망 국내 의료 AI 스타트업이다. GE 헬스케어는 3D 게임 등에서 사용하는 그래픽 프로세서(GPU) 기반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을 결합한 소프트웨어 빔포밍 기술을 자사의 범용 초음파 기기에 탑재해 해상도를 높였다. GE헬스케어는 이를 통해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계 여성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치밀유방에서의 암 병변 진단 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이러한 기술적 협업을 통한 기술적 우수성을 알리기 위한 공동 마케팅에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 마케팅 및 교육 자료 공유, 영업 및 임상 교육 전문가들에게 상호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 제고를 위해 상호 협력하며, 지역 내 박람회 등에서 양사의 제
2024-09-24 10:38㈜씨케이리제온(CK Regeon Inc.; 대표이사 최강열)이 당뇨병성 창상 치료용 저분자화합물 후보물질들에 대한 한국, 미국, 중국에 이어 유럽에서 등록됐다고 밝혔다. 금번 특허는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 및 당뇨유발동물모델에서 피부 상처의 회복 및 신혈관생성 기능을 방해하는 CXXC5의 기능을 저해하는 저분자화합물을 개발해 지적재산권을 확보했으며, 최근 임상 1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바 있다. 당뇨병성 족부궤양은 당뇨병 환자에서 종종 발생하는 합병증의 하나다.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환자는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으며, 환자 4명 중 1명이 족부궤양이 발병할 수 있다. 당뇨병성 족부궤양은 일반상처와 달리 상처가 잘 치유되지 않으며, 심하게 진행 시 발가락 혹은 발을 절단해야 하는 심각한 질환으로 치료를 위해서는 손상된 조직재건을 위한 피부세포의 재생과 신생혈관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당뇨병성 족부궤양 치료에 사용되는 성장인자 치료제들은 제한적인 효능과 암 발생 가능성 등의 문제 때문에 의학적 미충족 의료수요(unmet medical needs)가 매우 높다. 현재까지 개발된 당뇨병성 족부궤양 상처치료제로는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아 당뇨병의 신경병
2024-09-24 10:15바이엘 코리아(대표이사: 이진아)는 지난 13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된 2024년 유럽종양학회(European Society for Medical Oncology, ESMO) 연례 학술대회에서 호르몬 반응성 전이성 전립선암(metastatic hormone-sensitive prostate cancer, 이하 mHSPC) 치료제 다로루타마이드의 유효성 및 안전성 프로파일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24일 밝혔다. 3상 임상시험 ARANOTE결과, 다로루타마이드와 안드로겐 차단요법(Androgen Deprivation Therapy, 이하 ADT)을 병용한 치료가mHSPC 환자에서 위약과 ADT를 병용한 대조군 대비 방사선학적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을 46% 유의하게 감소(HR 0.54; 95% CI 0.41–0.71; P<0.0001)시켰다. 이러한 방사선학적 무진행 생존율(radiographic Progression-Free Survival, rPFS) 개선 효과는 고/저위험의(high- and low-volume) mHSPC 환자를 포함한 하위 그룹에서 일관되게 나타났으며(고위험: 40%(HR 0.60; 95% CI 0.44-0.80), 저위험:
2024-09-24 10:08스카이랩스(대표 이병환)는 24일 의료법인 은성의료재단(이사장 구자성)과 스마트병원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 기관이 스마트 의료 기술을 바탕으로 자원과 역량을 공유하며, 환자 중심의 케어를 강화하기 위한 공동 목표를 담고 있다. 양측은 이를 통해 스마트 의료 환경 구축에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스카이랩스는 좋은병원들에 스마트 반지형 혈압 모니터링 기기 ‘CART BP Pro(카트 비피 프로)’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기기는 환자의 혈압을 24시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의료진이 즉각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통해 좋은병원들은 환자 맞춤형 진료와 스마트병원 시스템을 강화해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카트 비피 프로는 세계 최초로 의료기기 인증을 받은 스마트 반지형 기기로, 올해 6월부터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되어 환자들이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은성의료재단은 이 기기를 산하 11개 병원에 도입해 스마트 모니터링 시스템을 본격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좋은병원들은 백색 고혈압, 가면 고혈압, 야간 고혈압…
2024-09-24 10:04트윈피그바이오랩(대표 배현수)이 한국과학기술원 서울홍릉강소특구가 주관하는 ‘포스트 팁스(Post-TIPS)’ 개발 과제에 최종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포스트 팁스는 팁스(TIPS)를 통해 검증된 졸업기업 중 유망 창업 기업을 발굴,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의 발돋움을 지원하는 육성 프로그램으로 18개월간 최대 5억 원의 사업화 자금을 지원한다. 트윈피그바이오랩은 이번 포스트 팁스 선정을 통해 ‘TB551’로 차세대 면역항암제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및 사업 고도화를 더욱 가속화 할 예정이다. TB551은 Tumor promoting 세포들의 표적 제거, 종양의 종류나 성장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TME 구성세포의 맞춤 제거, TME 구성 특정세포의 분화 및 활성 조절과 같은 종양미세환경 편집(TME Editing) 기술을 통해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펩타이드-약물 결합체 기반 플랫폼 기술을 적용한 펩타이드-약물 결합체다. 종양미세환경의 핵심 요소이며 면역저해환경을 조성해 암의 성장과 전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CAF(Cancer-associated fibroblasts)를 표적하는 First-in-Class 면역항암제로 암세포를 직접 타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존
2024-09-24 08:19아시아를 대표하는 헬스케어 기업 지피테라퓨틱스코리아(대표 마크 프랑크)는 새로운 시즌으로 화제를 모으고 있는 SNL크루가 제안하는 <액티넘EX골드>가 직장인들의 호응을 얻으며 유튜브(@Actinum) 광고 누적 조회 수 200만 뷰를 돌파했다고 24일 밝혔다. 액티넘은 권혁수, 김민교, 김아영 등 SNL의 ‘MZ 오피스’ 크루를 <액티넘EX골드>의 모델로 발탁하고, ‘효과의 차이가 능력의 차이’를 슬로건으로 광고 캠페인을 진행했다. 최근 새롭게 시작한 시즌6가 화제를 모으면서 SNL크루가 제안하는 <액티넘EX골드>까지 관심을 받고 있다. 광고 영상에서는 디스플레이를 많이 보는 현대 직장인들이 흔하게 겪는 피로와 눈, 목, 어깨 결림 등의 통증을 ‘MZ 오피스’ 캐릭터들이 과장되면서도 유머러스하게 보여줌으로써 <액티넘EX골드>의 효능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준다. TV 광고 영상 외에도 <액티넘EX골드>를 복용한 직원들의 활력 넘치는 회사 생활이 재미있게 담긴 ‘아영이의 첫 출근 B-LOG’ 영상 또한 41만 회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주목받고 있다. 지피테라퓨틱스 관계자는 “액티넘EX골드 광고 영상에 많은 관
2024-09-24 08:16최근 ‘응급실 뺑뺑이’가 심각해지다 못해 심정지로 4개월 영아와 30대 여성, 70대 노인 등이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하는 등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더 이상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사망 위험이 남의 일이 아니게 됐다. 그러나 의료현장에서는 여론의 성토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이유로 환자 수용을 거절하고 있으며, 설상가상으로 응급실에서 의사들이 제발 적극적으로 소신진료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달라고 외치다가 더 이상 희망이 없다는 생각에 떠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메디포뉴스는 현실적으로 응급환자를 응급실에서 수용할 수 없는 문제가 무엇이 있으며, ‘응급실 뺑뺑이’ 등의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어떤 방향으로 정부가 접근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대한응급의학의사회 이형민 회장을 만나 이야기를 나눠봤다. Q. 응급실에서 응급환자를 진료할 진료과의 의사가 없다면서 다른 곳으로 전원시키는 일이 계속 발생하고 있습니다. 정확히 현장에는 어떤 문제가 있는 상황인가요? A. 먼저 응급실에서 하는 치료는 ‘응급처치’이며, 응급처치 이후에 다른 최종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특정 진료과에 연결해서 최종 치료를 하게 됩니다. 응급처치와 최종 치료는 분리돼야 함에도 우리
2024-09-24 05:50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회장 박소연)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 European Commission)로부터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투즈뉴’(Tuznue, 파이프라인명 HD201, 성분명 트라스트주맙)의 품목 허가를 최종 획득했다고 23일 밝혔다. 지난 7월 26일 유럽 의약품청(EMA: European Medicines Agency) 산하 약물사용 자문 위원회(CHMP: Committee for Medicinal Products for Human Use)의 승인 권고 이후 2개월이 채 되지 않은 빠른 승인이다. 이로써 투즈뉴는 유방암과 전이성 위암 치료제로 사용되는 허셉틴 바이오시밀러로서 연간 5.5조원에 달하는 세계 무대에 공식적으로 데뷔할 수 있게 됐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의 이번 품목허가 승인은 지난 7월 품목허가 권고 당시 밝힌 대로, 9월 말 현재에도 셀트리온, 삼성바이오에피스에 이어 국내 세번째에 해당한다. 이는 바이오시밀러의 최종 승인은 임상 개발과 규제기관 파일링(filing) 능력을 갖춘 소수의 플레이어만이 최종성공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회사는 이번 투즈뉴의 승인 성공 경험으로 현재 3상 결과 분석이 한창 진행 중인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HD
2024-09-23 21:49의학과 공학 간 융합 연구의 성과를 공유하고, 새로운 연구 과제를 발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서울대학교는 의과대학과 공과대학이 공동으로 주최한 ‘2023년 융합연구 과제 발표회 및 2024년 과제 선정식’이 지난 20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융합관에서 개최됐다고 9월 23일 밝혔다. 이번 발표회에서는 2023년에 선정된 6개의 융합연구 과제에 대한 성과 발표가 진행됐으며, 각 연구팀은 지난 1년간의 연구 과정과 결과물을 공유했다. 특히, 연구 발표는 의학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학적 접근을 중점적으로 다뤘으며, 이를 통해 어떻게 두 학문이 함께 새로운 해답을 찾아가는지를 잘 보여주었다. 또한, 올해 선정된 2024년 과제 6개 팀(신규과제 5개, 계속과제 1개)에 대한 소개도 함께 이루어졌다. 이 과제들은 향후 1년간 학제간 협력을 통해 다양한 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며, 의학과 공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혁신적 아이디어들이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외에도 이번 행사에서는 특별히 박완범 의과대학 교수와 권성훈 공과대학 교수가 최근 공동 연구한 논문이 국제 학술지 ‘Nature’에 게재된 성과를 발표하는 시간도 마련됐다. 이들의 연구는 ‘uR
2024-09-23 16:58국립중앙의료원이 인천 나은병원 및 인천권역 시군·보건소 등 유관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필수보건의료 협력 분야인 ‘퇴원환자 지역사회 연계 사업’의 진행 사례를 공유하고 현안 및 과제를 논의했다.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교육훈련센터는 지난 12~13일 양일간 송도 센트럴파크호텔에서 ‘공공의료 강화를 위한 지역사회 연계 전략 수립 워크숍’을 실시했다고 9월 23일 밝혔다. 이번 워크숍은 권역·지역 내 보건의료기관 간 협력 확대를 위해 작년부터 개설해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이번에는 사전 모집 공고 시 신청한 지역책임의료기관 중 ‘인천 나은병원’을 선정해 공동으로 교육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은 ▲인천광역시 공공보건의료 추진 현황 및 주요 이슈 공유 ▲필수 보건의료분야 필수분야(퇴원환자·중증응급) 사례 공유 내용 ▲인천권역 ‘퇴원환자 관리 현황 및 지역사회 연계사업’현안 및 과제 논의 등이다.
2024-09-23 16:58초도물량 약 42만 회분을 시작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 백신인 모더나 백신 총 200만 회분이 순차적으로 도입된다. 질병관리청은 ’24~’25절기 코로나19 접종에 활용할 모더나 신규 변이(JN.1) 백신 초도물량 약 63만 회분을 9월 23~24일 양일간 도입한다고 밝혔다. 모더나 신규 백신은 화이자 신규 백신과 동일하게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를 받았으며, 초도물량(약 63만 회분)을 포함한 총 200만 회분을 순차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이번 절기 백신 확보 물량은 ▲화이자 523만 회분 ▲모더나 200만 회분 ▲노바백스 32만 회분 등 총 755만 회분이며, 노바백스 백신은 긴급사용승인 완료 후 도입될 예정이다.
2024-09-23 16:58건양대병원이 오는 9월 26일 오후 2시 암센터 5층 대강당에서 대장암 건강강좌를 개최한다. 이번 강좌는 대한대장항문학회가 정한 ‘9월 대장암의 달’을 기념해 마련되었으며, 건양대병원 대장암 다학제 진료팀이 질환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강의를 준비했다. 강좌는 ▲대장암센터 소개(외과 최원준 교수) ▲대장암의 조기 검진(소화기내과 구훈섭 교수) ▲대장암의 수술적 치료(외과 노승재 교수) ▲장루 교육(이혜란 간호사) 순으로 진행되며, 강의 후에는 질의응답 시간도 마련됐다. 한편, 이번 건강강좌는 별도의 신청 없이 누구나 무료로 참여 가능하고, 참석자 전원에게는 소정의 기념품도 증정한다.
2024-09-23 16:58고려대 안암병원 장기이식센터가 장기·인체조직기증에 대한 인식 향상과 생명나눔 문화 확산을 꾀하는 캠페인을 개최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장기이식센터가 지난 9~15일 1주일간 생명나눔 주간을 맞이해 생명나눔 희망의 씨앗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9월 23일 밝혔다. ‘생명나눔 주간’은 매년 9월 두 번째 월요일부터 일주일 간 장기·인체조직기증자의 이웃사랑과 희생정신을 기리고 생명나눔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지정됐다. 캠페인에서는 한국장기조직기증원(KODA)과의 협력으로 기증자 스토리 전시회가 진행됐다. 이 전시회에는 기증자의 유가족과 새 삶을 얻은 수혜자들의 감동적인 메시지가 담겨있어, 교직원과 내원객들의 큰 호응을 이끌어냈다. 또한, 장기이식센터는 장기기증 및 인체조직기증 방법과 절차를 안내하고, 교육 및 홍보를 위한 팜플렛을 배포하며, 뇌사 장기 및 인체조직기증에 대한 긍정적 인식 제고에 앞장섰다. 아울러 캠페인 기간 동안 기증 희망등록을 한 분들에게는 소정의 선물을 전달했다.
2024-09-23 1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