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30 (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병원/의원

“한국 노인 치매 인식수준 매우 낮다”

분당서울대병원, 잘못된 정보로 치료 적기 놓쳐

2008년도 보건복지가족부가 65세 이상 한국 노인 8,0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치매 인식도 조사에서 한국 노인의 치매에 대한 인식 수준이 100점 만점에 약 60점 수준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원장 정진엽) 신경정신과 김기웅 교수에 따르면 “이는 일본 등의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로 치매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홍보가 절실하다”고 피력했다.

또한 연구결과 “치매 인식도는 학력이 낮고 연령이 높을수록 저조했으며, 도시지역 거주자에 반해 저학력 고령자의 비율이 높은 농촌 지역 거주자 및 여성에게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 밝혔다.

치매 인식도 점수는 15개 문항에 대한 15점 만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치매에 대한 인지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연구 결과 전체 평균 점수는 9.3점(표준편차 1.9점)이었고 100점으로 환산하면 61.9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김기웅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사람들이 치매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지식으로 인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음을 지적했다.

치매 인식도를 묻는 15개 문항 중 5문항(노인은 100명중 한 명 꼴로 치매에 걸릴 수 있다, 부모가 치매 환자면 자식도 치매에 걸리게 된다, 옛날 일을 잘 기억하면 치매가 아니다, 치매는 치료가 불가능하다, 치매 환자는 모두 장애인으로 등록할 수 있다)의 정답률이 50% 미만이었다.

항목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노인은 100명 중 한 명꼴로 치매에 걸릴 수 있다” 라는 문항에 대한 정답률은 31.1%로 조사됐다.

치매가 얼마나 흔한 병인지에 대해 일반인의 상식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인데 100명중 한명은 실제 유병률에 비해 매우 낮은 수치임에도 불구하고 치매가 노인 인구에서 매우 흔한 병임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김기웅 교수는 “이런 인식의 결과는 치매의 조기 발견 및 치료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며 “치매는 노인에서 매우 호발하는 질병으로 65세 이상의 노인들은 자신과 배우자의 인지기능에 대해서 늘 주의 깊게 관심을 가지고 이전과의 작은 변화에도 전문가와 상담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고 설명했다.

또한 “부모가 치매 환자면 자식도 치매에 걸리게 된다” 라는 문항의 정답률은 32.8%로, 실제 치매는 유전적인 경향성은 있지만 유전병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환자와 자녀들은 막연한 불안과 공포감을 느끼고 있었다.

“옛날 일을 잘 기억하면 치매가 아니다” 라는 문항의 정답률은 26.8%로 가장 잘못 알고 있는 지식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최근 일에 대한 기억력 저하가 있더라도 과거 일에 대한 기억을 유지하고 있으면 치매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는 잘못된 지식이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김기웅 교수는 “이런 잘못 알고 있는 지식으로 인해 기억력 저하가 상당히 진행된 후에야 치매에 대한 평가를 받기 때문에 치매에 대한 조기 진단의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고 전했다.

또한 “치매는 치료가 불가능하다” 라는 문항의 정답률은 39.2%로, 치매의 치료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60% 이상이나 될 정도로 치매 치료에 대한 일반인의 생각이 매우 부정적임을 시사했다.

이에 대해 김 교수는 “실제 모든 치매 중 약 10% 정도는 완치가 가능하고 30% 정도는 치매의 진행을 멈출 수 있다”며, “또 나머지 60%는 증상을 완화시켜 병의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으므로 치매 인식에 대한 적극적인 대국민 홍보가 필요하다” 고 강조했다.

또한 치매 교육을 받은 사람들의 치매 인식도 평균 점수는 9.5점(표준편차 1.8점)으로 치매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의 9.3점(표준편차 1.9점)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조사 대상의 3.8%만이 치매 교육을 받은 적이 있고, 나머지 93.7%는 치매에 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매에 대한 지식 습득 경로는 방송이 45.3%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이웃을 통한 경우가 19.1%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신문, 보건소, 병원을 통한 정보 습득은 각각 10% 미만이였으며, 치매에 대한 지식을 전혀 얻지 못한 경우는 14.3% 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웃과 같은 비전문적 경로를 통해 치매 지식을 습득한 경우는 치매 인식도 평균 점수가 9.1점으로 전체 평균 점수 9.3점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와 비전문가를 통한 정보 습득은 오히려 치매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조장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정신과 김기웅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 치매에 대한 잘못된 지식은 치매의 조기 진단 및 치료의 방해 요인으로 작용한다” 며 “치매에 대한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 홍보를 통해 치매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여 치매 인식도를 높이는 과정이 절실하다” 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