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한 해 급성심정지 환자는 33000여명에 달하고, 절반 이상이 70세 이상 고령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청이 2023년 한 해 동안 119구급대가 의료기관으로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를 12월 4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2023년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3만3586건(인구 10만 명당 65.7명) 발생했다.
여자(35.4%)보다 남자(64.5%)에서 더 많이 발생했고,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70세 이상에서의 발생이 전체의 53.4%를 차지했다.
119구급대가 이송한 환자 중 의무기록조사를 완료한 환자는 3만3402건(완료율 99.5%)이며,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주요 발생 원인은 ▲심근경색 ▲부정맥 ▲뇌졸중 등 질병에 의한 경우가 76.7%를 기록했다.
이어서 추락과 운수사고 등 질병 외인으로 인한 경우가 22.7%로 조사됐고, 심장 자체의 기능부전에 의한 심인성 원인이 전체의 71.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도로/고속도로, 상업시설 등의 공공장소(17.7%)보다 비공공장소에서 많이 발생(65.0%)했으며, 특히 가정에서의 발생이 전체의 47.0%로 가장 많았다.
급성심장정지 환자 생존율은 8.6%로 ’22년(7.8%) 대비 0.8%p 증가했으며,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9년도 수준(8.7%)으로 회복됐다.
뇌기능회복률은 5.6%로 ’22년(5.1%) 대비 0.5%p 상승했으며, 생존율과 마찬가지로 코로나19 유행 이전 수준(5.4%)으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는 31.3%였으며, 병원 도착 전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 생존율은 13.2%, 미시행된 경우는 7.8%로 시행 시 생존율이 1.7배 높았다.
뇌기능회복률 또한 일반인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경우 9.8%와 미시행된 경우 4.2%로, 심폐소생술 시행 시 뇌기능회복률이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과 회복에 심폐소생술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급성심장정지 관련 보건 정책 수립 및 연구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급성심장정지에 따른 생존율 제고를 위해 2008년부터 급성심장정지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2023년부터는 조사 결과를 연 2회 공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