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삼중고’ 겪는 바이오산업, 돌파 방안은?

‘BIX2023’ 기조세션 ‘한국 바이오산업의 현황과 나아갈 방향’서 바이오 전문가 의견 교류
신뢰성 회복, M&A, 콜라보레이션, 인재 영입 등 필요

국내 바이오산업의 ‘삼중고’로 꼽히는 고환율, 투자심리 위축, 높아진 상장 문턱의 극복 방안으로 신뢰성 회복, M&A(인수합병), 콜라보레이션, 인재 영입 및 양성 등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제시됐다.


한국바이오협회와 RX코리아가 공동 개최하는 글로벌 종합 바이오 컨벤션인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3(BIOPLUS-INTERPHEX KOREA 2023, 이하 BIX)’이 12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렸다.


이날 진행된 기조세션에는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을 좌장으로, 황만순 한국투자파트너스 대표이사, 김용주 레고켐 바이오사이언스 대표, 김열홍 유한양행 R&D총괄 사장이 연사로 참여해 ‘한국 바이오산업의 현황과 나아갈 방향’에 대해 조언했다.



먼저 황만순 대표이사는 바이오산업에 대한 투자 분위기가 우호적으로 변화했다고 언급하며, “국내 벤처 투자 전체에서 바이오산업에 투자되는 비중이 10여년 전만 해도 4%정도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10% 이상으로 올랐다. 투자 금액 규모도 커졌으며, 투자 주체도 벤처캐피털 일부에서 은행권 전체와 중형, 대형 제약사까지 참여하게 되며 투자자의 풀이 늘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국내 바이오 클러스터가 하드웨어에 치중했지만, 앞으로는 소프트웨어 콘텐츠에 충실한 바이오 클러스터들이 조성될 것이라고 예측하며, 이 과정에서 정부가 힘을 실어 줄 것을 당부했다. 또 바이오산업에 대한 공매도를 제한할 필요가 있으며, M&A 활성화 등 새로운 트리거 포인트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바이오산업 특히 벤처의 신뢰성 제고 또한 강조했다. 황만순 대표이사는 “좋은 연구 데이터와 연구원의 우수성을 보여주면 신뢰가 생길 것이다. 또 제대로 된 이사회를 운영하는 것으로도 신뢰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용주 대표는 “상장한 지 10년이 됐지만 요즘같이 시장에서 외면 받는 일이 별로 없었다. 경제 여건 얘기도 있지만, 스스로 만든 부분도 많다고 생각한다”고 꼬집으며, “그런 측면에서 보면 정리할 건 정리해야 한다. 또 우리가 스타트업을 만들 때 무슨 목적으로 무엇을 위해 만들었는지 깊이 생각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용주 대표는 파트너십의 중요성 또한 강조했다.


김용주 대표는 “우리는 우리가 잘하고 있는 분야에 집중하면 된다. 우리가 부족한 부분에 대해선 파트너링을 맺고 있다”며, “내공이 생기기 전까지는 우리가 직접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 글로벌 파마와의 콜라보레이션도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김열홍 사장은 인재 영입 등으로 신약 개발 역량을 키워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김열홍 사장은 “바이오산업의 핵심은 인재”라며, “아카데미나 벤처에서도 능력이 뛰어난 분들이 후보물질을 만들고 있다. 이들과의 접점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상업화로 연결될 수 있는 아이템에는 아낌없는 지원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덧붙였다.

김열홍 사장은 “각 대학에서 우수한 아이디어를 갖고 있거나 신약 파이프라인을 개발하는 인재에게 연구비를 지원하고, 상업화로 연결될 수 있는 아이템은 공동 연구를 하거나 우리 연구원을 해당 연구실에 파견해 추후 회사를 만들 수 있게 지원하는 등 획기적인 접근을 해야 한다”며, “우리가 잘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하며 인재를 키우고, 인재들에게 희망을 던져줘야 한다. 보스턴의 랩센트럴이 성공한 이유도 아이디어를 가진 연구원들이 쉽게 스핀오프 창업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방향성을 상실하는 바이오 벤처가 상당히 많다는 점에 아쉬움을 토로하며, “베스트 인 클래스(Best In Class), 퍼스트 인 클래스(First In Class)를 개발해, 실제 임상에 활용할 수 있는 약을 만든다는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며 “앞으로 어떤 임상 포지션을 할 것인지 면밀한 전략을 세운다면, 성공적인 신약 개발이 이뤄질 것이다. 그것만이 바이오산업이 사는 길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