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더마코리아㈜(대표이사 김연희)는 지난 30일 주한스위스대사관에서 진행한 ‘민감 피부 바로 알기’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갈더마가 피부건강 인식을 높이고 민감 피부 관리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매년 진행하는 글로벌 SAM(Skin Awareness Month) 캠페인의 일환으로 개최됐다. 갈더마코리아는 76년의 피부과학 노하우를 바탕으로 전세계 70% 이상의 인구가 가지고 있는 민감 피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소개하고 관심을 촉구하기 위해 매년 ‘민감 피부 바로 알기’ 행사를 주최하고 있다. 올해는 한국과 스위스의 수교 60주년을 기념해 주한스위스대사관에서 진행됐다. 이 날 행사는 ‘더마 과학 연구소’를 컨셉으로 갈더마의 피부과학 노하우가 담긴 대표 제품들을 한 자리에서 선보이는 공간이 마련됐다. 또한 갈더마의 더마과학 헤리티지를 영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갤러리 존이 함께 마련됐으며, 이외에도 새롭게 출시한 세타필 클렌징 제품과 기존 보습 제품들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는 부스가 마련돼 참여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전문가 강연 세션에서는 포레피부과 이하은 대표원장, 와인피부과 김홍석 원장, 닥터스피부과 잠실송파점 정성규
글로벌 토탈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 기업 휴젤㈜의 PDO 봉합사 브랜드 ‘리셀비(Licellvi/ 국내 제품명: 블루로즈 포르테)’가 태국에서 론칭됐다고 1일 밝혔다. 리셀비는 휴젤의 자회사이자 국내 의료용 봉합사 제조 기업 ‘제이월드’가 생산하는 PDO(폴리다이옥사논) 성분의 봉합사 브랜드다. 차별화된 비열처리 가공 방식을 채택, 기존 열(Heat)에 약한 PDO 봉합사의 단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강력한 효과를 갖췄다. 지난 3월 태국 식약청(TFDA)으로부터 리셀비 10개 제품에 대한 허가를 획득했으며, 이번 브랜드 론칭을 기념해 7일 태국 풀만 호텔 스쿰빗(Pullman Hotel sukumvit)에서 현지 HCPs(의료 전문가) 200여명을 대상으로 세미나도 개최된다. 이번 세미나는 휴젤 마케팅사업부 강민종 전무(제이월드 대표 겸임)의 브랜드 소개를 시작으로 총 4개 세션이 진행, 국내 이황희 원장(청담 NB의원)을 비롯해 현지 KOL(Key Opinion Leader) 3인이 실 시술법에 대한 기초 이론, 성공도를 높이는 다양한 시술 노하우 등을 발표한다. 태국의 봉합사 시장은 현지 식약청의 엄격한 허가 심사 과정으로 인해 승인 획득까지 많은 시간과 비
“혁신 기술을 통해 국내 알레르기 시장 기술의 스탠다드 모델로 자리잡을 것이며, 회사를 글로벌 스탠다드 리딩 컴퍼니로 만들 것입니다.” 체외 진단 의료기기 전문기업 프로테옴텍이 31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코스닥 상장 후 포부와 성장 전략을 밝혔다. 지난 2000년 설립된 프로테옴텍은 체외 진단 의료기기 등을 개발·제조하며 성장했다. 대표 제품으로는 알레르기 질환 최다 다중 진단이 가능한 ‘프로티아 알러지-Q 128M’과 반려견과 반려묘 체외 진단제품인 ‘애니티아(ANITIA)’ 등이 있으며, 이로써 독자적인 면역진단 기술을 보유하게 됐다. 임국진 대표이사는 “알레르기 진단 제품의 경우 기존에는 한 번에 최대 20가지만 검사가 가능했지만, 프로테옴텍 제품은 이를 업그레이드 해 128가지 검사가 가능하게 했다”며, “내년에는 192가지 검사가 가능한 제품을 출시할 예정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알레르기를 한 번에 진단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동물에서도 알레르기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동물병원에 방문하는 강아지의 30~40%는 알레르기 때문이라고 한다“며, ”과거에는 우리나라 제품이 없어 검사를 위해 혈액을 외국으로 보내야 했지만, 프로테
케이원메드글로벌은 브라질 쿠리치바에서 5월 27일부터 5월 30일까지 개최되는 중남미피부과학회(Reunion Anual De Dermatologos Latino Americanos 2023, RADLA 2023)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RADLA 2023는 매년 약 3,000여 명 이상의 피부과 전문의들이 참여하는 중남미 최대 규모의 피부미용 학회로, 올해로 40회를 맞이했다. 1973년 아르헨티나를 시작으로 우루과이, 칠레 등 여러 국가에서 개최됐으며, 중남미 시장의 미용 정보와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는 학회이기도 하다. 이번 학회에서 케이원메드글로벌은 REMFAT, SINESON3 등의 기기를 선보여 해외 의료진들과 바이어들의 관심을 끌었다. 특히 REMFAT의 경우 피에조타입 체외충격파 기기로 유럽, 중동 등 세계 박람회에서 주목받은 기기다. 케이원메드글로벌 관계자는 “RADLA는 남미 시장의 성장을 체감할 수 있는 기회이자 한국의 의료기기 기술력을 한층 넓게 전파할 수 있는 무대다”라며, “여러 국가들이 자사 제품에 보여준 관심을 이어 나갈 수 있도록 해외 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글로벌 에스테틱 기업 멀츠 에스테틱스(대표 유수연, 이하 멀츠)가 지난 24일 정기 학술 교육 프로그램인 'MEX(Merz Experts) Webinar(이하 멕스 웨비나)'를 성료했다고 밝혔다. 19회차를 맞은 이번 멕스 웨비나는 ‘남성’의 피부 퀄리티(Skin Quality)를 주제로 3가지 강의 세션과 질의응답이 진행됐다. 약 500여명의 국내 의료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연세대학교 김희진 교수, 피어나클리닉 최호성 원장, 아이니클리닉 김민승 원장이 연자로 나서 한국인 남성 얼굴의 해부학적 특징과 멀츠의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한국 남성 맞춤형 프로토콜에 대한 강연이 이어졌다. 첫 번째 세션을 맡은 김희진 교수는 ‘해부학 기반 한국인 남성 얼굴의 특징(Anatomy-based fac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asculine face)’을 주제로 한국인 남성 얼굴의 해부학적 특징을 공유했다. 해당 강연에서 김 교수는 “해부학이라 하면 예전에는 의학과 치과의 기초 학문으로 생각했지만 현재의 해부학은 모든 임상 절차의 기초가 되는 학문”이라며, “얼굴은 신체에서 가장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인종과 성별, 개인에 따라서도
HLB가 다음달 9일 기준 한국거래소의 KRX300 헬스케어 지수에 신규 편입됨에 따라, 패시브 펀드 등 펀드 자금의 유입으로 인한 주가 상승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전일 한국거래소는 유료회원을 대상으로 한 공지를 통해, KRX 정기 지수변경이 이뤄지는 다음달 9일자로 HLB가 KRX300 헬스케어 지수에 편입된다고 밝혔다. 이로써 HLB는 FDA에 항암제의 신약허가 신청(NDA)을 완료한데 이어 헬스케어 지수에도 편입되며, 주가상승 모멘텀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을 개발해 온 HLB는 지난 수년간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권에 계속 랭크 돼왔고, 한때 시총 기준 2~3위에 머물러 있기도 했지만, 정작 헬스케어 지수에는 편입돼 있지 않았다.(30일 기준 시총액 4조 5,671억원) 이는 지난 15년간 HLB의 주업종이 바이오가 아닌 선박건조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HLB는 시총 상위 상장회사 중 기관과 외국인의 투자비중이 가장 낮은 회사 중 하나로 꼽혀왔다. 하지만 지난해 HLB 헬스케어 사업부문의 매출비중이 급증하면서 회사의 주업종이 선박에서 바이오로 변경됐고, 선박사업부도 ‘HLB ENG’로 물적분할 되면서, 현재 HLB는 바
한국애브비의 ‘린버크’가 미충족 수요가 높은 청소년 아토피피부염 시장의 키 플레이어(Key Player)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중증의 청소년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이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치료 옵션은 매우 한정적이었다. 지난 4월부터 한국애브비의 JAK억제제 린버크(Rinvoq, 성분명: 유파다시티닙, Upadacitinib)15mg이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만 12세 이상 청소년의 중등증~중증 아토피피부염 치료에 건강보험 급여가 확대 적용되며 치료의 길이 열렸다. 이와 관련해 한국애브비는 30일 린버크의 청소년 아토피피부염 환자 대상 보험 급여 적용을 기념해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선 청소년 아토피피부염의 치료 전략과 이에 관한 린버크의 치료적 가치를 공유했다. 청소년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의 가장 큰 고충은 가려움증과 그로 인한 수면장애, 수면장애로 인한 신장 발달 부진, 불안 및 우울증 등 정신적 문제 유발 등이다. 노출 부위에 병변이 있는 경우 사춘기 외모에 대한 자신감을 떨어뜨리고, 대외활동이나 교우 관계 등을 위축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청소년기의 아토피피부염은 어떻게 치료하는지에 따라
은성글로벌이 중남미 최대 규모의 피부미용 성형학회에 참가하며 중남미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메디컬 에스테틱 의료기기 전문기업 은성글로벌은 5월 27일부터 30일까지 브라질에서 열린 ‘중남미피부과학회(RADLA 2023)’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올해 40회를 맞은 RADLA(Reunion Anual De Dematologos Latinoamericanos)는 중남미 최대 규모의 피부미용성형학회로, 의료기기·제약 등 다양한 헬스케어 관련 기업들이 참가하며 매년 3,000여명 이상의 피부과 전문의와 글로벌 바이어가 방문한다. 은성글로벌은 학회에서 단독 부스를 구성하고 리포지X(Lipoge-X), 마이크로손 플러스(Microson Plus) 등 자사 의료기기를 전시했다. 리포지X와 마이크로손 플러스 모두 HIFU 기술을 사용해 비침습적 시술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은성글로벌 관계자는 “RADLA를 통해 브라질은 물론 중남미 시장에서 은성글로벌 의료기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릴 수 있었다”며 “브라질은 남미 최대의 미용성형 시장인 만큼 향후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갈더마코리아㈜(대표이사 김연희)는 자사의 콜라겐 생성 촉진 주사 ‘스컬트라®’의 작용원리와 외형, 사용방법 및 주의사항이 15일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에 업데이트됐다고 밝혔다. 이번 허가사항 업데이트로 스컬트라®의 수화 용량이 기존 5mL에서 리도카인 1mL를 포함한 9mL 용량으로 변경됐다. 새로운 용량의 스컬트라®는 국소 마취제인 리도카인을 선택적으로 함께 투여해 시술 부위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용법에서는 스컬트라 분말을 액체와 희석시키는 과정인 수화 2시간 이후부터 사용 가능했지만, 이번에 수화 즉시 사용 가능한 사용법이 추가됐다. 기타 사용 준비사항과 사용방법, 주의사항 항목에서 보다 구체적인 설명도 추가됐고, 안전성이 입증된 시술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새로운 용량과 사용법 옵션이 추가되면서 보다 편리하고 맞춤화된 시술이 가능해졌다. 이번 추가 승인은 새로운 스컬트라® 9mL 용량의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을 5mL 용량과 비교 평가한 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임상 결과 스컬트라® 9mL 용량 투여군에서 5mL 용량군과 유사한 수준의 팔자주름 개선 효과가 나타났으며, 통증은 5mL 용량군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
글로벌 토탈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 기업 휴젤㈜(사장 손지훈)이 최근 태국 방콕 시암 켐핀스키 호텔(Siam Kempinski Hotel)에서 미용ㆍ성형 학술 포럼 ‘2023 H.E.L.F in Bangkok’을 성황리에 마쳤다고 30일 밝혔다. 2013년 처음 시작된 H.E.L.F(Hugel Expert Leader’s Forum)는 국내외 미용ㆍ성형 분야 의료진 및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최신 학술 지견 및 시술 노하우를 공유하는 휴젤의 대표적인 학술포럼이다. 올해는 ‘진실성을 향해(Towards Genuineness): 전 연령대를 위한 에스테틱 전략을 찾아서(In pursuit of aesthetic strategies for all ages)’를 주제로, 휴젤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미적 가치를 알림과 동시에, H.E.L.F를 글로벌 에스테틱 업계 발전에 기여하는 교류의 중심지로 자리매김 시키겠다는 다짐을 담았다. 태국 지역에서는 지난 2019년에 이어 4년 만에 행사가 개최됐으며, 태국을 비롯한 한국 및 중국 업계 권위자 총 11명이 연자로 참여해 아시아 지역 최신 메디컬 에스테틱 트렌드와 이에 걸맞는 통합적인 시술 솔루션을 강의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총
AI(인공지능)가 피부과 진료 의사의 진단 영역을 대신할 수 있을까? 물론 의사의 역할을 온전히 대체하긴 어렵지만, 이상 소견을 탐지하고 특정 질병의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엔 의사보다 더 나은 성적을 보이곤 해, 잘 활용하면 의사의 판단 지원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나정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 교수는 대한피부외과학회와 아시아피부외과가 공동 개최한 국제심포지엄에서 ‘Artificial Intelligence in Dermato-oncology(피부종양학의 인공지능)’주제 발표를 통해 피부종양 진단에서 AI의 성과와 가능성을 제시했다. AI는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해 복잡한 패턴을 식별하며, 신속하고 정확한 분석을 내릴 수 있다. 특히 종양의 악성, 양성을 구별하는 일은 AI에게 가장 기본적인 수준으로, 이미 피부종양학 영역에서는 AI를 종종 활용하고 있다.나정임 교수는 “악성 종양과 양성 종양을 감별하는 건 의사가 하기 어려운데, AI에겐 가장 기본적인 일이다. AI가 의사보다 잘할 확률이 꽤 높다”고 밝혔다. 나정임 교수가 제시한 선행 연구 논문에 따르면 피부과 의사와 AI가 피부확대경(Dermoscopic) 이미지를 이용해 악성 종양과 양성 종양을 감별
HLB글로벌은 26일 공시를 통해 자회사인 미디어커머스 플랫폼 기업 ‘티아이코퍼레이션’과의 합병을 이사회 결의를 통해 승인했다고 밝혔다. 합병기일은 7월 1일이며 합병이 완료되면 비상장법인인 티아이코퍼레이션은 HLB글로벌의 ‘미디어커머스 사업부’로 재편되고, 미디어커머스 사업부는 티아이코퍼레이션 대표직을 맡았던 오태인 사장이 총괄할 예정이다. HLB글로벌은 자회사 프레시코, HLB생활건강 등을 통해 항산화건강음료 ‘아임얼라이브콤부차’, ‘엘리샤코이’ 등 식음료사업과 화장품 사업을 영위하는 HLB그룹의 대표 B2C 기업이다. 최근 ‘아임얼라이브 콤부차’의 광고 모델로 드라마 ‘더 글로리’에서 활약한 배우 임지연을 발탁, 새로운 광고를 론칭했으며 고객의 니즈와 시대 변화에 맞게 젊고 세련된 디자인으로 패키징 리뉴얼도 진행했다. 합병이 완료되면 HLB글로벌은 ‘아임얼라이브 콤부차’, ‘엘리샤코이’에 더해 남성 향수 '조마드', EMS 마사지기 '셀프리쉬', 차량 용품 '카밈', 영유아 방문미술 교육 브랜드 '파파덕' 등을 보유한 국내 대표 종합 미디어커머스 기업으로 도약한다. 김광재 HLB글로벌 대표는 “재무구조 개선과 경영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티아이코퍼레이션
엔케이맥스의 NK세포치료제 슈퍼NK(SNK01)가 TKI 불응성 비소세포폐암 임상에서 질병통제율(Disease Control Rate, DCR) 100%가 확인되며 유의미한 치료효과를 입증했다. 엔케이맥스는 26일 TKI 불응성 비소세포폐암 임상1/2a상 임상 중간결과 논문 초록(Abstract)을 공개했다.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6월 4일(현지시간) 포스터 발표 예정이다. 본 임상은 머크(Merck KGaA)와 '공동임상 및 약물 공급계약 체결을 통해 얼비툭스를 무상 공급 받아 진행되고 있다. EGFR, ALK 또는 ROS1 유전자 변이에 대한 TKI 치료에 실패한 국소 진행성 또는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환자 24명을 모집해 진행한다. 얼비툭스를 매개로 NK세포의 항체 의존성 세포 독성(Antibody- 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ADCC) 기전의 항암치료가 목적이다. 초록에는 젬시타빈/카보플라틴(n=6) 또는 젬시타빈/카보플라틴/세툭시맙(n=6)과 함께 8주 동안 매주 SNK01(40억개 또는 60억개)을 투여한 EGFR 유전자 변이가 있는 총 12명의 환자에 대한 데이터가 공개됐다. 투여 결
HLB 미국 자회사 엘레바가 미국 뉴저지 보건부(New Jersey Department of Health)로부터 의약품 판매면허를 취득하며, 리보세라닙의 미국 내 판매 준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 16일 간암 1차 치료제로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에 대한 NDA를 제출한 이후 불과 일주일 만에 첫 의약품 판매면허까지 취득하며, 신약허가 절차와 함께 상업화를 동시에 준비해온 투 트랙 전략이 빛을 발하게 됐다. 엘레바는 미국 상업화 준비에 1년 이상 소요되는 점을 고려해 수 개월 전부터 각종 면허나 등록 절차, 마케팅 준비 등을 진행해왔다. 이번에 뉴저지주에서 이상 없이 면허를 받게 된 만큼, 앞으로 미국 전역에서 순차적으로 의약품 판매 면허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HLB는 FDA의 신약허가 후 미국 전 지역에서 리보세라닙이 빠르고 효과적으로 처방·유통 될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준비하고 있다. 미국은 직접판매, 유럽 등은 기술수출 전략을 수립한 만큼 미국의 경우 주요 암센터를 중심으로 마케팅 활동을 펼칠 예정이며, 유럽은 ASCO, BIO USA 등에 참석해 다국적 제약사와 협력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또한 한국의 경우 HLB생명과학이 식약처에
대웅제약의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 후보물질 ‘베르시포로신’ 연구 결과가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로 개발 중인 베르시포로신(Bersiporocin)의 효능과 안전성을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분자 기전 규명 연구가 국제 SCIE(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논문인 ‘유럽분자생물학회 분자의학’(European Molecular Biology Organization Molecular Medicine)에 김성훈 연세대학교 교수와 황광연 고려대학교 교수 연구팀의 공동연구를 통해 등재됐다고 26일 밝혔다. 논문명은 ‘PARS1의 비대칭 억제를 통한 섬유증 제어(Control of fibrosis via asymmetric inhibition of prolyl-tRNA synthetase 1)’이다. 유럽분자생물학회 분자의학 저널은 2021~2022년 인용지수(Impact Factor, I.F.) 14.005로 관련 연구자들이 논문 등재 및 인용을 위해 많이 찾는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이며, 이 분야 상위 5% 이내의 학술지다. 특발성 폐섬유증은 폐에 콜라겐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돼 폐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