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 ADHD 환자는 인터넷 게임 중독 장애로 이어질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오전 11시 종로 내일캠퍼스 카페에서 열린 제4회 ADHD의 날 기념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기자간담회에서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정 교수가 '성인 ADHD와 중독 장애' 발제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정 교수팀이 국내 인터넷 게임 중독 환자 255명 대상으로 최근 3년간 관찰 · 추적한 연구에 따르면, ADHD 환자는 정상보다 인터넷 게임 중독이 더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교수는 "인터넷 게임 중독 장애만 있는 경우 1년 기준 50%, 3년 기준 약 90%까지 회복된다. 그런데 ADHD와 인터넷 게임 중독 장애를 같이 진단받은 경우 1년 기준 10명 중 1~2명 정도만 게임 중독에서 회복되며, 3년이 돼도 여전히 10%가량만 호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ADHD 환자는 재발 가능성 또한 심각하다. 재발 확률은 1년차는 5배, 2년차는 6배가량 차이가 벌어졌다.
이 교수는 "인터넷 게임 중독 장애 심각도를 점수화해 살핀 결과, ADHD 증상이 경감될 경우 인터넷 게임 중독 장애 증상도 확실하게 줄어들었다. 반대도 마찬가지다."라면서, "인터넷 게임 중독 장애 진단 시 기저질환에서 ADHD가 있는지 확인해야 하며, 치료에서도 ADHD를 신경 써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