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주요 B형간염 치료제, 1분기 원외처방 4.9% 감소

‘헵세라’ 허가 취하로 ‘부광아데포비어’가 아데포비르 시장 이끌어

2023년 1분기 B형간염 치료제 시장의 원외처방 감소가 이번 분기에도 이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3년 1분기 주요 B형간염 치료제의 원외처방액은 710억원으로 전분기인 2022년 4분기 747억원보다 4.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시장인 테노포비르 성분 시장 역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2022년 4분기의 원외처방액은 427억원을 달성했다면 2023년 1분기의 원외처방액은 412억원으로 3.4% 감소했다.

테노포비르 성분 시장 중 1위 제품인 비리어드 역시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길리어드의 두 제품 중 ‘비리어드’는 2021년 4분기 245억원에서 231억원으로 5.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길리어드의 또다른 제품인 ‘베믈리디’는 2022년 4분기 138억원에서 2023년 1분기 140억원으로 1.5% 증가했다.

이 밖의 제품 중에서는 종근당의 ‘테노포벨’이 9억원, 동아에스티의 ‘비리얼’이 7억원, 대웅제약의 ‘비리헤파’가 4억원대 등으로 순위를 잇고 있었다.

엔테카비르 성분은 테노포비르 성분 시장보다 원외처방액 감소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엔테카비르 성분 시장은 2022년 4분기 282억원에서 2023년 1분기 261억원으로 7원외처방액이 7.4% 하락했다.

엔테카비르 성분의 제품들 중 가장 원외처방액이 높은 비엠에스의 ‘바라크루드’도 원외처방액 감소율이 높게 나타났다. 바라크루드는 2022년 4분기 198억원에서 2023년 1분기 181억원으로 8.6% 하락했다.

이어 2위 제품인 동아에스티의 ‘바라클’은 25억원에서 24억원으로 4.7% 감소했으며, 이 외에 부광약품의 부광엔테카비르가 9억원에서 8억원으로, 삼일제약의 ‘엔페드’와 대웅제약의 ‘바라크로스’가 8억원에서 7억원으로 원외처방액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데포비르 성분 중에서는 1위 제품인 GSK의 ‘헵세라’가 시장에서 사라졌다는 점이 가장 주목할만한 점이다. 헵세라는 국내 허가 18년만인 지난 2022년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가 취하됐다.

헵세라가 사라지면서, 1위 자리는 부광약품의 ‘부광아테포비어’가 차지하게 됐다. 그러나 부광아테포비어 역시 전분기 대비 이번 분기에 7억에서 6억원으로 원외처방액이 줄어들었다.

기타 아데포비르 성분의 약품들 중에서는 동아에스티의 ‘헵세비어’가 2억원, 녹십자 ‘아뎁세라’, HK이노엔의 ‘헵큐어’, 종근당의 ‘에버헤파’가 1억원대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헵세라가 사라지기는 했으나 GSK의 제품 중에서는 라미부딘 성분의 ‘제픽스’가 자리를 지키고 있다. 제픽스는 2022년 4분기 9억원에서 2023년 1분기 8억원으로 3.3% 감소했다.

또 이번 1분기, 일동제약의 ‘베시포비르(성분명 베시포비르)’가 6억원, 부광약품의 ‘세비보(성분명 텔비부딘)’이 2억원, ‘레보비르(성분명 클레부딘)’가 1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