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3분기, 상위 제품들의 성장으로 주요 항응고제 치료제 원외처방 규모가 확대됐다. 유비스트를 통해 올 3분기 주요 항응고제 치료제 원외처방을 확인한 결과, 2023년 3분기 1676억원에서 2024년 3분기 1756억원으로 4.8% 규모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성분명 에독사반)’은 현재 항응고제 시장에서 절반에 가까운 점유율을 보이는 제품이다. 2023년 3분기 782억원에서 2024년 3분기 857억원으로 원외처방이 늘어나며 9.6% 증가했다. 올해 분기별로도 1분기 277억원, 2분기 380억원, 3분기 299억원으로 꾸준히 원외처방액이 상승하는 모습이다. 릭시아나는 지난 9월 유럽심장학회 학술대회에서도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으며 NEJM에도 수록됐다. EPIC-CAD 연구 결과, 에독사반 단독요법은 항혈소판제 병용요법 대비 사망,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발생 위험을 56% 낮췄으며, 출혈위험도 단독요법에서 더 낮게 나타났다. 주요 허혈성사건 발생률도 에독사반 단독요법군 1.6%, 이중항혈전요법군 1.8%였으나, 주요 출혈 또는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비주요 출혈의 발생률은 에독사반 단독요법군이 4.7%로, 이중항혈전요법군
주요 항응고제 시장이 전분기 대비 비슷한 규모를 유지하는 모습이다. 특히 특허 방어에 성공했던 엘리퀴스의 원외처방액이 감소했으며, 특허를 지키지 못했던 자렐토가 오히려 규모 유지에 성공한 것으로 확인됐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주요 항응고제 시장의 원외처방액 규모는 569억원 규모로 2023년 4분기 대비 약 5200만원에 달하는 0.1% 규모 성장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항응고제 시장은 다양한 변화를 겪었지만, 릭시아나의 입지는 굳건하게 지켜지고 있었다. 에독사반 성분인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는 2023년 4분기 270억원을 기록한 가운데 2024년 1분기에는 277억원으로 2.6% 증가했다. 점유율 역시 주요 치료제 시장에서 48.7%로 높은 편이었다. 아픽사반 성분의 오리지날 제품인 BMS의 ‘엘리퀴스’는 2023년 4분기 197억원에서 2024년 1분기 192억원으로 규모가 2.3% 축소됐다. 이어 바이엘의 ‘자렐토(성분명 리바록사반)’이 75억원대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원외처방액이 약 4200만원 증가한 모습이다. 특히 리바록사반의 제네릭 시장도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다. 자렐토를 제외한 약 31개의 리바록
2023년 주요 항응고제들의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선두를 달리는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가 높은 원외처방액 증가율을 보이며 연매출 1000억원을 돌파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주요 항응고제(오리지날)의 원외처방액은 2022년 2324억원에서 2023년 2245억원으로 3.4% 감소했다. 1위 제품인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성분명 에독사반)’는 현재 46.9%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2022년 967억원에서 2023년 1052억원으로 원외처방액이 8.8% 증가했다. 특허 방어에 성공한 BMS의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 역시 원외처방액이 증가하고 있는 모습이다. 2022년 엘리퀴스의 원외처방액은 77억원이었지만 이번 2023년에는 772억원으로 4.9% 상승했으며, 현재 엘리퀴스의 시장 점유율은 34.4%로 나타났다. 반면 특허가 풀렸던 바이엘의 ‘자렐토(성분명 리바록사반)’는 계속해서 원외처방액이 감소하고 있다. 2022년 자렐토는 원외처방액이 493억원이었지만 2023년에는 309억원으로 원외처방액이 37.3% 하락했다. 현재 약 32개의 제네릭 원외처방액이 확인되고 있는 가운데, 약 3개의 제품
주요 항응고제 시장이 지난 상반기에 이어 이번 3분기에도 규모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2023년 3분기 주요 항응고제 시장의 총 합은 1675억원으로, 지난 2022년 3분기 1774억원 대비 5.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올해 1분기 556억원, 2분기 558억원, 3분기 561억원으로 점차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세부적으로 가장 원외처방액이 높은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성분명 에독사반)은 주요 항응고제 중 전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모두 원외처방액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2023년 누계는 782억원으로 2022년 3분기 714억원보다 9.4% 상승세를 그렸다. 올해 각 분기별 실적을 살펴보면 1분기 254억원, 2분기 259억원, 3분기 268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이번 분기 3.5% 확대됐다. BMS의 아픽사반 성분 오리지날인 엘리퀴스는 전분기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한 모습이었다. 2023년 3분기 누계는 575억원으로 2022년 3분기 549억원보다 4.7% 늘어났다. 1분기 189억원, 2분기 193억원으로 증가했지만 3분기 192억원으로 0.7% 축소됐다. 엘리퀴스의 특허 방
2023년 상반기 주요 항응고제 원외처방 시장이 감소했음에도 상위 제품들은 굳건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허가 풀린 리바록사반 성분에 대한 제네릭이 대거 출격하면서 규모가 크게 늘었다. 주요 항응고제 시장의 2023년 상반기 원외처방은 총 1114억원으로 2022년 하반기 1137억원보다 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올해 분기별로는 1분기 556억원에서 2분기 558억원으로 조금씩 증가한 모습이다. 이 중 가장 점유율이 높은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와 비엠에스의 ‘엘리퀴스’는 원외처방액이 소폭 증가했다.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는 원외처방액이 2022년 하반기 501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 513억원으로 2.4% 증가했다. 특히 올해 1분기 254억원에서 2분기 259억원으로 보다 증가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허 확보로 제네릭 방어에 성공했던 비엠에스의 ‘엘리퀴스’는 2022년 하반기 378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 383억원으로 1.2% 확대됐으며 분기별로도 1분기 189억원에서 2분기 193억원으로 상승했다. 바이엘의 ‘자렐토’는 2022년 하반기 198억원에서 2023년 상반기 158억원으로 크기 감소했으며 약 20%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2023년 5월, 주요 항응고제 시장이 지난 1분기 대비 4월과 5월 두 달 사이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이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 분석에 따르면 2023년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주요 항응고제 시장은 총 923억원으로 확인되면서 올해 상반기 1000억원을 돌파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4월에 177억원, 5월엔 189억원의 원외처방액을 달성했다. 처방액이 가장 높은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는 1분기 254억원에 더해 4월 82억원, 5월 87억원으로 올해 총 424억원을 기록했다. BMS의 ‘엘리퀴스’는 특허 방어로 원외처방 실적이 탄탄하게 성장하고 있다. 올해 원외처방액은 1분기 189억원과 더불어 4월 63억원, 5월 65억원으로 총 318억원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해 4분기 대비 올해 1분기 실적이 소폭 감소했던 바이엘의 ‘자렐토’도 올해 원외처방액이 계속 올라갔다. 1분기 자렐토의 원외처방액은 80억원으로, 4월 24억원, 5월 26억원의 기록을 보이며 5달 동안 130억원의 원외처방액이 확인됐다. 아울러 리바록사반 성분의 제네릭 중 선두를 달리고 있는 종근당의 제품은 1분기 1070억원으로 4월에는 3억원, 5
2023년 1분기 주요 항응고제 오리지날 시장이 지난 4분기와 비슷한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항응고제 주요 제품(오리지날)들의 2023년 1분기 원외처방액은 556억원으로 2022년 4분기 549억원보다 약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제품들이 비슷한 규모이긴 해도 조금씩 원외처방액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특허 만료로 제네릭이 대거 출시된 자렐토는 원외처방액이 적은 폭으로 감소한 모습이었다. 점유율이 가장 높았던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성분명 에독사반’은 2022년 4분기 252억원에서 2023년 1분기 254억원으로 0.8% 증가한 가운데, 점유율은 45.9%에서 45.8%로 감소했다. 이어 특허 방어에 성공한 비엠에스의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의 원외처방액은 전년도 4분기 187억원에서 이번 1분기 189억원으로 1.3% 확대됐다. 주요 항응고제 시장에서 엘리퀴스의 점유율은 34.1%였다. 그러나 제네릭의 맹추격을 받고 있는 바이엘의 ‘자렐토(성분명 리바록사반)’은 80억원대를 유지하기는 했으나 분기 사이 원외처방액이 약 1300만원 하락했다. 이에 따라 감소율은 0.2% 였으
2022년 주요 항응고제 시장 원외처방액이 감소한 가운데 상위 주력 제품들은 갈수록 원외처방과 시장 내 점유율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 자료를 분석한 결과, 주요 항응고제(오리지날 기준) 시장은 2022년 2185억원을 달성하면서 2021년의 2248억원 대비 원외처방이 2.8%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여전히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성분명 에독사반)’은 올해 점유율이 한층 더 확대됐다. 2021년에는 848억원으로 전체 원외처방액의 37.7%의 점유율을 보였으나 2022년 4.9% 증가한 889억원을 달성하면서 점유율도 40.7% 증가했다. 엘리퀴스와 자렐토의 특허 분쟁이 한바탕 지나간 이후 이제는 제약사들이 릭시아나를 눈여겨보고 있다. 물질특허가 2026년 11월, 조성물특허가 2028년에 만료를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아직 출시되지는 못했지만 최근에만 해도 한독, 휴텍스제약, 제뉴파마 등 여러 제약사들이 에독사반 성분으로 식약처로부터 허가를 받았으며, 업계는 엔비피헬스케어가 지난 해 제기한 물질특허 회피 심판과 관련해 면밀하게 지켜보고 있다. BMS의 ‘엘리퀴스(성분명 아픽사반)’도 점유율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가 항응고제 원외처방 시장에서 굳건하게 1위를 유지하고 있는 모습이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를 통해 2022년 11월 원외처방 현황이 확인됐다. 이 중 주요 NOAC 항응고제 시장은 3분기와 마찬가지로 10월, 11월 누계를 보더라도 릭시아나가 가장 매출이 높았고, 엘리퀴스, 자렐토, 프라닥사 등으로 순위를 이었다. 가장 매출이 높은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성분명 에독사반)’은 1분기 214억원, 2분기 218억원, 3분기 231억원으로 3분기까지 총 664억원의 매출을 달성하면서 주요 점유율 39.4%을 보이고 있다. 10월가 11월에는 74억원의 원외처방액으로 149억원을 달성한 가운데 두 달 동안의 점유율은 45.2%로 크게 늘었다. 릭시아나는 제네릭 출시가 5년도 채 남지 않은 만큼 최근 제네릭 허가가 본격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모습이다. 작년 말 동아에스티의 제네릭 품목 허가를 시작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적극적으로 제네릭 허가에 나서고 있다. 특히 이 달에는 제뉴원사이언스의 ‘엑시아반’, 휴텍스의 ‘엔시아나’, 제뉴파마의 ‘제뉴파마에독사반정, 한독의 ‘메가사반’ 등을 허가했다. 비엠에스 제품인 아픽사반 성분 오리지날
전년동기인 2021년 3분기 대비 상위 2개 제품들은 원외처방액이 증가하고, 하위 2개 제품들은 원외처방액이 감소하며 극명하게 갈리는 모습이었다. 의약품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 자료 분석 결과, 2022년 3분기누적 항응고제 시장은 총 1683억원을 기록해 2021년3분기 누계인 1660억원보다 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각 분기별로 비교하면 1분기 570억원, 2분기 556억원, 3분기557억원으로 이번 3분기에 전분기 대비 0.3% 증가했다. 1위제품인 다이이찌산쿄의 ‘릭시아나(성분명 에독사반)’은 2022년 3분기까지664억원 이상의 원외처방액을 달성하면서 전년 동기 623억원대비 6.4% 확대됐다. 올해 분기별로 비교하더라도 비슷한규모로 확대됐는데, 1분기 214억원, 2분기 218억원에서 3분기231억원으로 6.3% 증가했다. 릭시아나는매번 굳건히 항응고제 시장에서 1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최근 제네릭 출시를 위해 관련 제약사들이 다시고개를 내밀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는 제품 중 하나다. 특히엔비피헬스케어(구 네비팜)가 이 달 7일 릭시아나의 ‘디아민 유도체’ 특허에대해 소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을 청구하고 나섰다. 이 특허는 2026년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