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표적항암제들이 지난 2월까지955억원 규모를 달성하면서 1분기 내 1000억원달성을 예고했다. 특히 급여로 인한 접근성 개선이 이뤄지면서 타그리소와 렉라자의 원외처방액이 무서운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유비스트 자료를 통해 지난 2월까지의 주요 표적항암제 원외처방액이확인됐다. 그 결과 주요 표적항암제들은 전년 동기인 2024년 2월 821억원에서 이번 2025년 2월 95억원으로 16.4% 증가했다. 폐암 치료제들 중 EGFR 표적 치료제는 2024년 2월 304억원에서 2025년 2월 434억원으로 42.9% 증가했다. 이 중에서도 가장 눈여겨볼만한 것이 타그리소와 렉라자다. 아스트라제네카의‘타그리소’가 184억원에서 279억원으로 원외처방액이 51.6% 증가하며 표적항암제 시장에서 30% 가까운 점유율을 기록했다. 유한양행의 ‘렉라자’ 역시 같은 기간 동안 57억원에서 113억원으로 97.3% 증가하며11.9%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반면 베링거인겔하임의 ‘지오트립’이 27억원에서 21억원으로22.5%, 아스트라제네카의 ‘이레사’가 24억원에서 14억원으로38.9%, 로슈의 ‘타쎄바’가 10억원에서 5억원으로 49.1% 하락했다. EGFR 표적
2024년 11월 주요 경구용 표적항암제의 원외처방액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금년부터 비소세포폐암 1차치료 급여를 획득한 타그리소와 렉라자의 높은 성장률이 돋보이고 있다. 11월 주요 표적항암제들의 원외처방액은 2023년 11월 4053억원대에서 2024년 11월 4829억원 규모로 19.2% 증가했다. 이 중에서도 핵심 제품들이 포함된 EGFR 표적치료제들은 2023년 11월 1429억원에서 이번 2024년 11월 1955억원으로 36.7% 확대됐다. 같은 기간 동안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는 825억원에서 1226억원으로 48.6%, 유한양행의 렉라자는 227억원에서 421억원으로 85.1% 성장하며 내년도의 활약에 대해 더욱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반면 베링거인겔하임의 ‘지오트립’이 175억원에서 143억원으로 18.4%, 아스트라제네카의 ‘이레사’가 152억원에서 114억원으로 24.9% 감소했고, 로슈의 ‘타쎄바’ 역시 48억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ALK 표적 치료제들은 2023년 11월 450억원에서 2024년 11월 503억원으로 11.9% 확대됐다. 로슈의 ‘알레센자’가 307억원에서 331억원으로 8%, 다케다의 ‘알룬브릭’
타그리소와 렉라자의 성장에 힘입어 2024년 3분기 주요 표적항암제들의 원외처방액 시장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확대된 모습이다. 특히 그간 여성암 치료제들 위주로 성장세를 보였따면, 이제는 폐암, 백혈병, 간암, 유방암, 난소암 등 여러 적응증에서도 고르게 성장세를 보였다. 유비스트 자료 분석 결과, 주요 표적항암제들은 2023년 3분기 3319억원규모에서 2024년 3분기 16.8% 확대됐다. 폐암치료제들 중 EGFR을 표적하는 치료제들은 2023년 3분기 1180억원에서 2024년 3분기 1550억원으로 31.4% 확대됐다. 특히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가 684억원에서 967억원으로 41.3% 증가하며 주요 표적항암제 시장에서 24.9%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올 분기별로도 279억원, 322억원, 364억원으로 순조로운 상승세를 보였다. 유한양행 ‘렉라자’도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며 타그리소를 맹추격 중이다. 2023년 3분기 179억원을 기록했으나 올해부터 급여 확대에 힘입어 324억원으로 81% 증가했다. 렉라자는 1분기 89억원, 2분기 107억원, 3분기 128억원으로 꾸준히 성장곡선을 그리고 있다. 반면 베링거인겔하임의 ‘지오트립’은 20
백혈병 2세대 표적항암제 ‘선제적 용량 감소’가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은 혈액내과 김동욱 교수가 백혈병 표적항암제 ‘다사티닙’ 복용에 대한 임상 데이터를 비교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7월 22일 밝혔다. 김동욱 교수(교신저자) 연구팀(부산백병원 이원식 교수, 서울대병원 신동엽 교수)은 임상연구를 진행해 표준용량군(PCR-DEPTH)에선 다사티닙 100㎎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환자 102명을, 용량감소군(DAS-CHANGE)에서는 조기 유전자 반응을 획득한 환자에서 부작용이 있는 경우 1일 용량을 80㎎으로 감량하는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복용량과 유전자 반응 비율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만성골수성백혈병의 2세대 표적항암제인 ‘다사티닙’의 복용량을 선제적으로 줄일 경우 부작용이 감소하면서 장기적으로는 치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먼저 복용량은 당연히 용량감소군(80.1%)보다 표준용량군(99.6%)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주요 유전자 반응에서는 오히려 표준용량군(65.2%)보다 용량감소군(77.1%)이 더 치료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왔다. 의정부을지대병원 혈액내과 김동욱 교수는 “
주요 표적항암제들의 원외처방액이 지난 하반기 대비 높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특히 유한양행 ‘렉라자’의 원외처방액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주요 항암제의 원외처방액이 지난 하반기 대비 14.7%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실적을 분기별로 살펴봐도 1238억원에서 1288억원으로 계속 규모가 확대되는 모습이었다. 폐암치료제 중에서는 EGFR을 표적하는 치료제들의 원외처방이 보다 크게 증가했다.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가 2023년 하반기 438억원에서 602억원으로 37.3%, 유한양행의 ‘렉라자’가 138억원에서 196억원으로 41.7% 상승하며 대세를 입증했다. 반면 베링거인겔하임의 ‘지오트립’은 91억원에서 82억원으로 10.1%, 아스트라제네카의 ‘이레사’가 77억원에서 66억원으로 14.1% 하락했다. 또 로슈의 ‘타쎄바’가 27억원에서 30억원으로 12.7% 상승했다. ALK 표적 항암치료제들은 지난 하반기 대비 이번 상반기에 원외처방액이 257억원에서 280억원으로 9% 상승했다. 로슈의 ‘알레센자’가 171억원에서 183억원으로 6.9%, 다케다의 ‘알룬브릭’이 58억원에서
최근 의료대란으로 인해 중증질환연합회의 성명 발표 등 환자들이 불편함을 겪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는 가운데, 중증질환 치료제 중 하나인 표적항암제들의 원외처방은 오히려 해당 기간 동안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약품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주요 경구용 표적항암제들의 원외처방액은 2023년 5월 누계 원외처방 1854억원에서 2024년 5월 누계 원외처방 2120억원으로 14.3%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물론 일부 제품에서 감소를 보이기는 했지만 폐암, 유방암, 백혈병, 난소암, 간암 등 전반적으로 모두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특히 주요 표적항암제 시장에서 40% 가까운 점유율을 보이는 EGFR 표적 폐암치료제들은 2024년 5월 645억원에서 2024년 5월 809억원으로 25.5% 증가했으며 ALK 표적 폐암치료제들도 2023년 5월 200억원에서 2024년 5월 238억원으로 19.2% 상승했다.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가 381억원에서 495억원으로 30.1% 증가한 가운데, 특히 유한양행의 ‘렉라자’가 89억원에서 163억원으로 82% 증가하며 눈에 띄게 증가했다. 두 제품 모두 올해부터 1차치료에 대한 급여가 적용되면서 날개를
2024년 1분기 주요경구용 표적항암제 원외처방 시장이 순조롭게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특히 그간 여성암 치료제들을 중심으로 성장이 두드러졌던 반면, 이번에는주요 적응증들 모두 전반적으로 원외처방액이 확대됐다. 뿐만 아니라 올해부터 급여가 적용되기 시작한 타그리소와렉라자 역시 큰 폭으로 매출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주요 표적항암제 원외처방 시장은 1238억원 규모로, 2023년 4분기 1099억원대비 12.6% 증가했다. 폐암치료제들 중 EGFR을 표적하는 치료제들은 전체 시장에서 37.1%를 차지하며 2023년 4분기 371억원에서 2024년 1분기459억원으로 23.7% 확대됐다. 이 중 아스트라제네카 ‘타그리소’의원외처방액이 210억원에서 279억원으로 33.1% 증가했으며, 유한양행 ‘렉라자’의 원외처방액은 70억원에서 89억원으로 27.9% 확대됐다. 그러나 베링거인겔하임의 ‘지오트립’이 42억원에서 40억원으로 5%, 아스트라제네카의‘이레사’가 34억원대에서약 7900만원 가까이 감소하면서 원외처방액이 줄어들게 됐으며, 로슈의‘타쎄바는 13억원에서15억원으로 원외처방액이 12.3
2023년 3분기 주요 표적항암제 원외처방액 시장에서 대부분의 제품이 확대 모습을 보였지만, 몇몇 적응증이 크게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 소폭 줄어든 모습을 보였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에 따르면 2023년 3분기 주요 표적항암제들의 원외처방액은 총 3318억원을 기록하면서 2022년 3분기 3340억원에서 0.7%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올핸는 1분기 1121억원, 2분기 1087억원, 3분기 1109억원으로 2분기 감소했으나 다시 2% 확대됐다. 세부적으로는 폐암, 유방암, 난소암 표적치료제들의 원외처방액이 증가했으며, 백혈병, 간암 표적치료제들의 원외처방액은 감소했다. 먼저 폐암 치료제 중 EGFR 표적치료제의 원외처방액은 2022년 3분기 1102억원에서 2023년 3분기 누계 1185억원으로 7.5% 하락했다. 가장 점유율이 높은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가 2022년 3분기 670억원에서 2023년 3분기 684억원으로 2.1% 증가했으며, 유한양행의 ‘렉라자’은 2022년 3분기 119억원에서 2023년 3분기 179억원으로 49.7% 증가했다. 베링거인겔하임의 ‘지오트립’이 2022년 3분기 128억원에서 2023년 3분기 147억
주요 경구용 표적항암제 원외처방이 하락했다. 2021년 대비 2022년 증가했던 연간 원외처방과는 사뭇 대조되는 모습이다. 의약품 시장조사기관 유비스트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3년 1분기 주요 경구용 표적항암제 원외처방은 2022년 4분기 1177억원에서 2023년 1분기 1128억원으로 4.2% 감소했다. EGFR 표적 폐암, 백혈병, 난소암, 간암 등 대부분의 적응증에 대한 약품들이 원외처방 감소를 맞은 가운데, ALK 표적 폐암, 유방암에 대한 항암제는 원외처방액이 증가했다. 먼저 EGFR 표적 항암제의 원외처방액은 2022년 4분기 405억원에서 2023년 1분기 389억원으로 4.1% 줄어들었지만 34.5%의 시장 점유율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세부적으로는 아스트라제네카의 두 제품인 타그리소와 이레사도 원외처방 하락을 피하지 못했다. 타그리소(성분명 오시머티닙)는 2022년 4분기 234억원에서 2023년 1분기 226억원으로 3.2% 감소했으며 주요 제품들 중 20.1%의 점유율을 자랑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레사(성분명 제피티닙)는 2022년 4분기 49억원에서 2023년 1분기 44억원으로 9.7% 감소했다. 2위 제품으
국립암센터(원장 서홍관) 연구진이 국내 최대 규모로 췌장암 환자의 유전적 원인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췌장암은 명확한 증상이 없고, 조기 진단이 어려워 5년 생존율이 13.9%에 불과한 가장 예후가 좋지 않은 암이다. 췌장암의 위험 인자로는 흡연, 체질량지수의 증가, 당뇨, 음주, 만성 췌장염 등이 있으며 유전적 요인은 5~10%로 알려져 있다. 이는 대부분 국외 연구에 의해 알려져 왔으며, 국내에서는 소규모 췌장암 유전인자에 대한 연구만 수행됐다. 이러한 가운데 국립암센터 표적치료연구과 공선영, 종양면역연구과 우상명, 소화기내과 유금혜, 중재의학연구과 전중원, 의학통계분석팀 이동은, 진단검사의학과 심효은, 분자영상연구과 김윤희, 외과 한성식, 종양외과학연구과 박상재 교수, GC지놈(GC Genome) 조은해 소장, 최종문 전문의 연구팀은 국내 최대 규모인 췌장암 환자 300명의 유전적 원인을 분석했다. 분석을 수행한 결과 연구팀은 췌장암 환자 300명 중 20명(약 6.7%)에서 유전적 유전자 병원성 변이 소견이 나타난 것을 확인했다. 또한 3개 유전자에서 흔하게 ATM 31.8%, BRCA1 13.6%, BRCA2 13.6%로 변이가 나타남을 발견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