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주요 다국적 제약사들 중 3분의 2가 매출을 확장하며 전반적으로 순항했던 모습이다. 전자공시를 통해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 소속 주요 제약사들의 2023년 매출을 확인한 결과, 약 29개 제약사들의 매출이 확인됐으며 이들은 지난 해 8조 8510억원으로 2022년 10조 3003억원 대비 14.1% 감소했다. 이와 함께 영업이익은 3170억원에서 3887억원으로 22.6%, 당기순이익은 3727억원에서 4329억원으로 16.2% 확대됐다. 이 중 큰 변동이 있었던 화이자를 제외한다면, 2022년 매출 7조 749억원에서 2023년 매출 7조 2492억원으로 2.5%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백신효과로 1위 제약사가 화이자는 2022년 3조 2253억원에서 1조 6017억원으로 매출이 50.3%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1200억원에서 638억원으로 46.9%, 당기순이익은 1194억원에서 849억원으로 28.9% 하락했다. 백신 특수를 누리기 전, 화이자는 3900억원 규모의 매출을 기록해왔다. 2020년 말 주요 제품들을 보유하고 있던 업존 사업부를 분할하기는 했으나, 2021년 대국민 코로나19 접종이 시작되면서 매출은 단숨에
한국화이자제약이 압도적인 매출로 다국적제약사 중 2022년 매출 1위를 차지했다. 전자공시를 통해 KRPIA 소속 주요 제약사들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6개 제약사들의 매출 현황이 확보됐으며 이들의 총 매출은 2021년6조 8652억원에서 2022년 9조 954억원으로32.5%상승했다. 자세히 살펴보면 화이자의 매출은 2021년 1조 6939억원에서 3조 2253억원으로 90.4% 증가했는데, 전체 제약사 중 화이자의 매출이 10% 이상을 차지하는 셈이다. 또한 화이자의 영업이익은 592억원에서 1200억원으로 102.8%, 당기순이익은 959억원에서 1194억원으로 24.5% 상승했다. 반면 아스트라제네카는 높은 매출을 유지하고 있기는 했으나 매출이 6553억원에서 6151억원으로 6.1% 감소한 모습이다. 영업이익은 259억원에서 302억원으로 16.6%, 당기순이익은 173억원에서 230억원으로 33.2% 늘었다. 길리어드의 매출은 화이자만큼이나 매출 상승 비율이 높은 가운데 2021년 매출 2883억원에서 2022년 5654억원으로 96.1% 확대됐다. 영업이익은 125억원에서 230억원으로 84.1%, 당기순이익은 84억원에서 1
다국적 제약사의 유튜브 활용 현황은 국내 제약사에 비해 더딘 편이다. 게시되는 영상의대부분이제품 광고라는 한계점도 있지만, 채널만 개설됐을 뿐 채널을 방치해 최근 1년 동안의 활동 내용이전혀 확인되지 않는 제약사들의 채널도 여럿 확인된다. 이와 같은 다국적 제약사의 유튜브 운영 현황 중에서도 바이엘코리아는 2022년 하반기에도 주요 다국적제약사 중 조회수 1위를 차지했다. 바이엘은 현재 구독자수 3880명, 동영상 수 59개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3개월 동안8건의 영상이 추가됐다. 비타민 ‘베로카’나 ‘원어데이’ 영상이 주를 이뤘으며, 임신 준비 멀티비타민 ‘엘레뉴’나 건조 크림인 ‘비판톨더마’ 영상도 있었다. 가장 조회수가 높았던 영상은 가수 산다라박과 함께한 16초 분량의 ‘비판톨더마x겟잇뷰티’ 영상으로 240만회를 기록했다. 영상에서는 건조와의 전쟁을 선포한 산다라박에게 “비판톨 도와줘!”라는 구조 요청과 함께 “아침엔 비판톨 데일리로 속부터 촉촉, 저녁엔 비판톨 나이트로 영양과수분이 꽉! 속부터 달라지는 피부과학 ‘비판톨 더마”라는 나레이션이 더해지는 구성으로 진행됐다. 올해 7월 ‘헤일리온’이라는 새 법인으로 출범한 GSK코리아컨슈머헬스
국내 제약사에 이어 다국적 제약사 한국법인 11곳의 유튜브 운영 현황도 22일 파악됐다.조회수는 바이엘코리아 컨슈머헬스 채널이 제일 많았으며, 지난 3월 채널을 오픈한 한국오가논과 다양한 컨텐츠가 있는 오펠라헬스케어코리아의 유튜브 채널이 차세대 다국적 제약사 유튜브를 이끌어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다국적 제약사의 유튜브 운영은 국내 제약사에 비해 극과 극 현상을 보인다. 유튜브 채널 관리를 하는 제약사의 경우 꾸준하게 컨텐츠들이 올라오지만, 그렇지 않은 일부 제약사들은 마지막 영상이 1년 전 업로드 됐거나 7년 전, 심지어 10년 전이 마지막 영상 게시일이기도 하다. 바이엘코리아는 컨슈머헬스 사업부에서 유튜브 계정을 운영하고 있는데, 2015년 계정을 오픈해 현재 3660명의 구독자 수를 확보하고 있다. 동영상 개수는 51개이지만 조회수는 4536만 5441회로 다국적 제약사 중 가장 많은 조회수를 달성했다. 이 중 최근 6달 이내로는 8개의 영상이 확인되는데 질염치료제 ‘카네스텐’, 비타민B ‘베로카’, 멀티비타민 ‘원어데이’, 엽산 함유 건기식 ‘엘레뉴’ 등 제품 관련 영상들이 업로드됐다. 세부적으로는 카네스텐의 16초짜리 영상이 303만회로 가장 많이
2021년 접대비 지출이 확인된 KRPIA 소속 다국적 제약사 31곳 중 절반에 대해 접대비 지출 감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1개사의 2021년 접대비 지출은 약 72억원으로 매출인 5조 9422억원의 0.12%를 차지했다. 2020년에는 95억원을 접대비로 사용해 매출인 5조 2372억원의 0.18%를 차지하면서 2020년 대비 2021년 접대비 지출 비중이 감소했다. 특히 매출 상위 5개 제약사 역시 접대비 지출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매출의 규모가 500억원 초과이 경우 매출의 0.06%까지를 접대비 사용으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매출 1위인 아스트라제네카부터 접대비 비중이 0.15%를 차지하고 있다. 2021년 접대비는 약 9억원으로 2020년 6억원을 접대비로 사용한 것에 비해 액수도 늘었으며 비중도 0.13%에서 더욱 증가했다. 이는 노바티스 역시 마차가지다. 특히 2021년 9억원, 2020년 6억원으로 아스트라제네카와 액수는 비슷했지만 매출 규모에 따라 접대비의 비중이 높아졌다. 2020년 비중은 0.12%, 2021년 비중은 0.17%였다. 사노피 아벤티스는 2020년 대비 접대비 비중이 절반으로 줄었음에도 비중이
전자공시를 통해 KRPIA 소속 다국적 제약사의 2021년 판매관리비 지출 현황이 확인됐다. 판매관리비를 가장 많이 지출한 곳은 사노피 아벤티스가, 판매관리비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존슨앤드존슨이 차지했다. 판관비 지출 현황이 확인된 32개 제약사의 전체 판관비는 1조 5129억원으로 매출의 24.2%였다. 2020년에는 1조 4520억원을 기록했으며, 비중은 24.7%이었다 다국적 제약사 중 가장 매출이 높은 아스트라제네카는 2021년 판관비로 1184억원을 사용해 전체 매출 중 18.1%를 차지했다. 2020년에는 판관비가 1122억원로 2021년보다 적었으나 비중은 22.5%로 오히려 더 높았다. 노바티스는 2020년과 비슷한 비용을 유지하고 있었다. 2020년에는 1145억원을, 2021년에는 1140억원을 판매관리비로 사용했으며 비중은 21.5%에서 21%로 소폭 감소했다. 사노피-아벤티스는 판관비 비용과 비중 모두 예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에는 1339억원을 지출해 매출의 27.3%를 차지했으나 2021년에는 1197억원을 지출했으며 비중도 22.6%로 확인됐다. 얀센은 이와 반대로 증가한 모습이다. 2020년에는 686억원을 판
4월 11일을 기준으로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 회원27개 제약사의 2021년 매출이 확인됐다. 그 결과 아스트라제네카가 가장 높은 매출을 달성했으며, 이 중 19개의 제약사가 2020년 대비 매출 상승에 성공했다. 27개 제약사들은 2020년4조 3995억원을 기록했으며, 2021년에는 6.6% 확대된 4조6895억원을 달성했다. 먼저 아스트라제네카는 2020년 4980억원에서2021년 6553억원으로 31.6% 증가했다. 특히 폐암 치료제 ‘타그리소’의 매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많은 우려가 있었으나 보란 듯이매출 상승을 거뒀다. 사노피-아벤티스는 2020년4903억원에서 2021년 5300억원으로 매출이 8.1% 성장했다. 얀센도 높은 비율로 매출이 확대됐는데, 2020년에는 3433억원을 기록했으며, 2021년에는 14.7% 증가한 3938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로슈는 26개 제약사 중 가장 크게 매출이 감소한 제약사로 확인됐다. 2020년에는 4438억원을 달성했으나 2020년에는 3439억원으로 1000억원가량 감소하면서 22.5% 줄어들었다. 바이엘은 타 제약사들 대비 소폭 상승했다. 2020년에는 3326억원을 기록했으며 202
다국적 제약사들이 여러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우들을 응원하기 위해 팔을 걷었다. 특히 암과 싸우는 환우들을 위한 다양한 활동들이 다양하게 펼쳐져 그들을 위로했다. 애브비는 에이워크와 컬처위크 등 사내행사를 통해 암과 희귀난치질환 환우를 위해 걷기 기부 활동을, MSD는 암을 경험했던 환자들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챌린지를 진행했다. 다케다는 혈액암 환자들을 응원하기 위해 직접 헌혈을 진행했고, 룬드벡은 정신 건강의 날을 맞아 임직원들의 정신건강 관리를 도울 아로마 향수를 제작하고, 공공형 주간치료센터에 후원금을 전달했다. ◆애브비, 에이워크·컬처위크 통해 희귀난치질환 환자 응원 한국애브비는이달 1일부터 암·희귀난치질환 환자를 위한 걷기 캠페인 ‘에이워크(A-Walk) 2021’를 진행하고 있다. 걸으면서쓰레기를 주워 환경보호를 실천할 수 있는 플로깅도 진행되며, 참여한 직원들의 총 걸음 수에 따라 후원금이결정된다. 6000만걸음 달성 시 600만원, 7000만걸음 달성 시 800만원,7700만걸음 달성 시 1000만원이 후원 될 예정이다. ‘컬처위크(Celebration of Culture)’도 진행됐다. 이번 컬처위크는희귀난치질환 환자의 삶
주요 다국적제약사 13곳의 연구개발비가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개발비는 각 회사의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로, 좋은 신약을 개발하게 되면 질병 치료는 물론 제약사에게도 이익을 주기 때문에 중요하게 여겨진다. 때문에 각 제약사의 연구개발비에 얼마나 많은 투자를 기울이는지도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각 제약사 사업보고서에 의하면 상위 13곳 제약사의 총 연구개발비는 914억원으로 확인됐다. 이는 2019년의 1007억에 비하면 0.48% 감소한 수치다. ◆’최다’ 연구개발비는 로슈·노바티스·얀센 연구개발을 위해 가장 많은 비용을 투자하고 있는 곳은 한국로슈다. 2020년에만 403억원을 투자했고, 전년도에도 357억원으로 상당한 비용을 투자했다. 높은 비용만큼이나 매출에서 연구개발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높다. 2020년에는 9.09%, 2019년에는 8.24%를 연구개발비로 할당하고 있다. 한국노바티스 역시 2019년보다는 줄었지만 꽤 높은 비용을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2020년에는 229억원, 2019년 216억원을 투자했는데 이는 각각 전체 매출 대비 4.32%, 4.39%를 차지하는 규모다. 한국얀센도 연구개발비에 100억원
다국적제약사 25곳이 작년 한 해 매출액 대비 접대비 비중을 0.13%로 감소시켰다. 2019년에는 76억원으로 0.17%를 차지하던 접대비 비중이 2020년에는 60억원으로 줄어든 것이다. 접대비는 기업활동에서 당해 사업과 관련해 지출하는 비용이다. 기업회계나 세무회계에서는 기업 운영을 위해 ‘필요 불가결한 것’으로 기간계산에서 손금으로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접대비는 사용자의 개인적 교제나 불법적인 이익의 은폐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을 내포하고 있다는 한계도 안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접대비에 대한 한도를 두고 있다. 수입이 100억원 초과~500억원 이하인 회사의 경우 0.2%, 수입이 500억원 초과인 회사의 경우 0.03%로 제한하고 있으나 현재는 코로나19로 인해 경제가 악화되면서 각각 0.25%, 0.06%로 완화됐다. ◆접대비 비중이 낮은 제약사는? 접대비 비중이 낮은 곳으로 꼽히는 제약사들은 대체적으로 매출과 관계 없이 접대비가 1억원을 넘지 않았다. 그 중에서도 바이엘코리아와 한국룬드벡이 대표적이다. 이들 제약사들은 접대비의 비중이 0.01%로 가장 낮았다. 2019년의 접대비도 바이엘코리아는 0.02%, 룬드벡은 0.03%로 가장 낮은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