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4 (월)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해외뉴스

유럽의회 위원회, WHO-제약회사 유착 관계 비판

제약산업계와 공공기관이 협력하는 규칙 개정토록 촉구

유럽의회 위원회(The Council of Europe Parliamentary Assembly)는 항간에 비판적으로 대두된 H1N1 독감 대유행에 관련된 고발 보고를 지지하고 제약산업계가 공공 기관과 협력하는 규칙이 개정돼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지난 4일 발표된 대유행 관련 유럽의회 보건위원회의 보고를 채택했던 위원회의 논의에서 유럽의회는 WHO, EU 보건기관 및 각국 정부가 신종 독감의 대유행에 대한 처리 결과로 대량의 공공 돈이 낭비되고 유럽 공공기관들이 보건 위험에 대해 두려움과 공포에 휩싸이게 된 것이라고 비난하고 있다. 대유행의 위급성을 WHO가 과도하게 판정한 증거가 넘쳐 결국 공중 보건 집행에 있어 우선적인 처리에 차질을 불러오게 했다는 것.

위원회는 보건위원회와 영국 노동당의원 후린(Paul Flynn)이 제기한 보고를 지지했다. 즉, 대유행 발생에 대한 의사결정의 투명성 부족과 제약회사 측이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 사실을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공공보건기관의 대처와 의사결정에서의 신뢰 저하는 심각한 장래 대유행 사례에 엄청난 재난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 경고하고 있다.

의회는 WHO가 너무 방어적이고 대유행에 대한 판정 및 정의 과정에서 변경하거나 독감 발발의 진행에 대한 수정을 받아드리려 하지 않으려고 한다고 비난했으며, WHO나 유럽 보건 기구 및 대유행 선포 관련 권장사항에 직접적으로 참여한 유럽 자문기관들은 WHO 비상위원회 회원들의 이름과 이들 제약계와의 이해 갈등에 대해 공개를 꺼리고 있다는 것이다.

의회는 모든 공중 보건당국 및 특히 WHO에 대해 대유행 처리에 제기된 항간의 비평과 우려를 전달하고 EU 회원국들에게 이해관계에 부당한 영향으로 처리하지 못한 경우 이에 대한 적절한 보호 시스템을 개발하라고 종용했다.

각국 정부는 독자적 연구, 임상 및 전문 자문 등을 지원하는 공공자금을 제약산업에서 기부하는 방식으로 조달토록 제시했으며 민간 부서가 공중 보건 공포를 이용해 부당한 이익을 취하지 않도록 강력히 요구했다.

또한 의회는 매체들은 공중보건 분야에 인기몰이나 공포감 조성 등을 피해야 한다고 말하고 제약산업은 공공기구와 협력에 있어 규칙과 기능을 개정해 주요 공중보건에 관한 문제에 대해서는 투명성을 높이고 회사의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번주 BBC 연설에서 영국 뉴포트 노동당의원 후린은 WHO가 주요 역병이 발생되고 있다는 가능성으로 전 세계를 경악하게 했다고 언급하고 이 결과로 수 십억 달러가 백신과 항바이러스 약품에 지불됐고 이러한 약물들은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상업적 이해와 과학자와의 사이에 방화벽이 무너졌다며 이익을 챙긴 쪽은 제약회사들이었다고 비판했다. 대유행이 어떤 것인지 규정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부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