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일)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학술/학회

질환 상태따라 약물보다 나은 ‘맞춤전정운동’, 활성화 방안은?

대한이과학회 ‘제57회 귀의 날 포럼’ 어지럼증 세션, ‘맞춤전정운동의 치료적 가치 재평가’ 발표
2022년 비급여 행위로 등재… 아직 인력, 장소 등 의료현장 적용 어려움 있어

어지러움의 원인인 전정기관의 이상을 치료하는 방법에는 약물과 수술 외에도 재활 치료인 ‘맞춤전정운동’이 존재한다. 

해당 치료법은 2017년 신의료기술로 등재됐으며, 2022년 건강보험 비급여행위로 등재됐다. 치료 효과를 인정받으면서도 아직 환경적인 제약이 많아 시행에 어려움이 있는 ‘맞춤전정운동’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 필요성이 제기됐다.


지난 9월 8일 열린 대한이과학회 주최 ‘제57회 귀의 날 포럼’ 1부에서는 어지럼증 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다뤄졌다.

가톨릭의대 이비인후과 전은주 교수가 ‘맞춤전정운동의 치료적 가치 재평가’라는 제목으로 마지막 발표 순서를 맡았다.

전은주 교수는  “어지럼증은 대부분 전정 기관의 이상으로 발생하고, 다양한 원인이 있어 의사들도 어려워하는 증상이다. 평형감각을 제6의 감각인 ‘육감’이라고도 하지만, 사라졌을 때의 심각성을 따지면 ‘0감’이라고도 할 수 있다”고 어지럼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맞춤전정운동은 내과적, 외과적 치료가 효과가 없는 경우에 전정기능 장애 상태를 최소화하고 신체 균형을 회복시키는 재활 목적의 치료로서 최근 ‘맞춤식 전정재활’이 시행되고 있다.

기존에도 ‘기성식 전정재활’이 존재했으나, 별도의 수가 없이 기본진료료에 포함돼 있어 현실적으로 적용이 어려웠고, 의사가 환자에게 간단히 리플릿을 제공하고 안내하는 방식으로 치료가 진행됐다.

이후 전정재활치료의 효과와 필요성을 인정받아 2017년 신의료기술 등재, 2022년 건강보험 비급여 등재를 거쳐 의료현장에서 사용되는 ‘맞춤식 전정재활(맞춤전정운동)’이 등장했다.

맞춤전정운동에는 주시훈련, 자세훈련, 보행훈련 등이 포함돼 있고, 주시 훈련의 경우에는 기본 훈련 6가지를 조합한 다양한 운동 방법이 존재한다. 균형과 보행 운동도 여러 동작을 병행하며, 1~2주에 한번씩 정기 평가를 시행하게 된다.

전 교수는 “전정재활치료의 유효성은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며, 만성 일측전정저하 ‘람세히헌트증후군’, ‘카나마이신 이독성’에 의한 양측전정저하, 고령의 다중감각균형장애 환자에 대해 직접 효과를 본 사례를 소개했다.

하지만 해당 치료법은 아직 비급여 의료행위에 머물러 있어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통한 정확한 시행 건수는 확인할 수 없지만 현장 적용이 저조한 상황이다. 전 교수는 “어지럼연구회 소속 전문의 4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1명(70%)이 맞춤전정운동을 사용하고, 13명(30%)은 사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고 말했다.

주목할 부분은 해당 치료법을 사용하지 않는 의사도 치료 효과는 인정했다는 것이다. 전 교수는 “맞춤전정운동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답한 13명 중 11명이 추후 사용할 계획이라고 말한 만큼 효과가 있으며, 의료진과 환자 모두 만족하는 치료법이다”라고 말했다.

맞춤전정운동을 시행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인력부족(11명), 공간부족(7명), 시간부족(4명) 등이 있었으며, 치료법을 시행한 경우 특히 전정신경염에서 효과가 있었고 평균 소요 시간은 30분 이내, 평균 치료 횟수는 2회가 가장 많았다. 

전 교수는 “맞춤전정운동 치료가 신설되면서 어지럼의 필수적인 치료 방법 중 하나인 전정재활에 대한 인식이 고취됐다. 맞춤전정운동은 약물이나 수술적 치료로 개선할 수 없는 어지럼과 균형장애를 겪는 환자에게 필수적인 치료법”이라고 말했다.

해당 치료법은 맞춤형 치료, 환자 중심 치료를 추구하는 현대의료의 방향성과도 일치한다. 전은주 교수에게 최근 주목받고 있는 환자의 활동을 중재해서 치료하는 ‘디지털 치료기기’와의 연계 가능성을 물어봤다.

이에 대해 전은주 교수는 “관련된 여러 시도가 있지만 환자 스스로 눈, 자세 등을 교정하기 어렵다는 부분에서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또 의료 현장에서 느끼는 한계에 대해 “현재로서는 맞춤전정운동을 위한 전문 수행 인력이 부족하고, 치료에 사용될 2~3m를 걸어다닐 병원 환경의 부재와 함께 환자의 생각보다 높게 형성된 비급여 가격에 대한 반발도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전 교수는 맞춤전정운동 활성화 방안으로서 ▲전정재활 전문가의 양성, ▲청각사, 청능사, 물리치료사 등 수행 인력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필수 평가법의 평가 결과에 따라 제시되는 표준 치료방법 프로토콜 개발, ▲환자 인식 개선을 들었다.

전 교수는 “질환 상태에 따라 전정재활치료가 약물치료보다 효과적이라는 환자의 인식 개선과 함께 의료 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