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0.9℃
  • 구름조금강릉 22.7℃
  • 흐림서울 21.7℃
  • 맑음대전 24.6℃
  • 맑음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3.8℃
  • 맑음광주 23.4℃
  • 구름조금부산 25.1℃
  • 맑음고창 23.7℃
  • 구름많음제주 23.0℃
  • 구름많음강화 21.1℃
  • 구름조금보은 22.0℃
  • 맑음금산 23.5℃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조금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24.9℃
기상청 제공

제약/바이오

젠자임 다발성경화증 분야의 30개의 신규 데이터 발표

젠자임, AAN서 오바지오 및 렘트라다 중심으로

젠자임 코퍼레이션은 오바지오(성분명 테리플루노마이드)와 렘트라다(성분명 알렘투주맙)를 중심으로 다발성경화증 파이프라인에 대한 30개의 최신 데이터를 제67회 미국신경과학회(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AN) 연례학술회의에서 발표했다.

발표에는 경구용 다발성경화증 치료제 오바지오의 12년 장기 연장연구 결과와 렘트라다 4년 추적관찰 결과가 포함됐다.

미국신경과학회에서 발표된 젠자임의 다발성경화증 연구들은, 선택적 세포 조절(immunomodulation), 뇌 조직의 감소를 막는 신경보호(neuroprotection), 신경의 탈락된 수초를 회복시키는 재수초화(remyelination)에 이르기 까지, 다발성경화증의 원인이 되는 T세포와 B세포를 모두 타겟으로 한 면역학적 접근을 통해 도출된 결과들이다.

경구용 다발성경화증 치료제인 오바지오의 이번 신규 데이터는 최대 12년에 이르는 장기간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이다. 오바지오의 재발 및 장애 지연 효과는 연구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낮게 유지되었으며, 예상치 못한 이상반응은 발생하지 않아 안전성 및 내약성 역시 장기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바지오와 디메틸 푸마레이트(dimethyl fumarate) 제제의 주요 연구들을 사후 비교한 분석에서는, 재발 또는 장애 진행 예방을 위해 치료가 필요한 환자 수(Number Needed to Treat, NNT)를 평가했다.

한 번의 재발 방지를 위해 치료가 필요한 환자수는 오바지오와 디메틸 푸마레이트 제제가 유사하게 나타난 반면, 장애 진행 예방을 위해 치료가 필요한 환자수는 디메틸 푸마레이트 제제 연구에서 더 많았다.

다만 본 연구는 두 제제의 중추적 임상연구를 사후 비교한 것으로, 연구 디자인이 다르다는 한계점이 있다. 특정 치료의 효과 뿐 아니라, 재발과 같은 사건의 빈도가 얼마나 드물게 발생하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인 NNT를 비교했다. 예를 들어 낮은 NNT 수치는 일정 기간 동안 재발을 경험하는 환자의 수가 더 적음을 의미한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이자 대한 다발성경화증 학회장인 김광국 교수는 “서로 다른 임상연구 결과를 사후 분석을 통해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NNT라는 척도를 이용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연구”라고 말했다.

고용량 인터페론 베타-1a 피하주사 제제와의 직접 비교 임상(CARE-MS I 및 CARE-MS II)을 통해 유의한 연간재발률 감소를 입증한 다발성경화증 치료제 렘트라다는, 이번 발표를 통해 뇌 용적 손실 (brain atrophy) 둔화 및 MRI 병변활성도 감소 효과가 4년 동안 유지됨이 확인됐다.

뇌 용적 손실은 다발성경화증 환자에게 나타나는 가장 파괴적인 병리학적 과정을 나타내는 척도로, 렘트라다®는 신경 보호 작용을 통해 환자의 뇌 조직의 감소를 막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렘트라다는 1차년도에 5일 간, 그리고 12개월 후인 2차년도에 3일 간 정맥 주사 투약이라는 혁신적인 용법용량으로 치료 과정이 완료된다.

연장연구 기간 동안 렘트라다 관련 새롭게 보고된 위험성은 없었다. 렘트라다와 관련된 심각한 부작용인 자가면역성 갑상선 질환이나 혈구감소증, 감염과 폐렴 등은, 위해 관리 계획에 따른 지속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조기 발견 및 관리가 가능하다.

영국 캠브리지대학교 임상뇌과학과 교수인 알래스데어 콜즈(Alasdair Coles) 박사는 “렘트라다로 치료받은 환자들이 마지막 치료를 받은 지 3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뇌 위축 완화를 경험했고, 새로운 병변 출현을 보이지 않았다는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며 “이와 같은 MRI 결과는 렘트라다가 다발성경화증의 재발과 장애에 있어서 장기간 지속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지를 알아본 이번 연장연구의 목적과 결과를 뒷받침한다”고 덧붙였다.

젠자임의 다발성경화증 사업부문 대표 빌 사이볼드(Bill Sibold)는 "이번 미국신경과학회에서 발표된 젠자임의 데이터들은, 오바지오와 렘트라다가 장기간 치료 지속성에 있어서 의미 있는 과학적 해답을 제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젠자임의 차세대 다발성경화증 치료제에 대한 추가적 발견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기쁘다. 이번 발표를 통해 젠자임은 다발성경화증 환자들을 위한 장기적인 헌신을 증명했으며, 앞으로도 다발성경화증의 미충족 치료분야 개발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이어갈 것이다"고 전했다.